WHO에 의해서 국제 공인 361혈 및 다양한 경외 기혈이 있다. 또한 같은 경혈을 다르게 부르는 경우도 있어서, 검색에 참고하라고 경혈명에 대한 별명들을 따로 정리한다.
경혈명의 별명들(별명 기준)
■ 별명(이명) 가 기준
간모(肝募) =기문 간곡(間谷) =이간 강미(畺尾)=장강 강양(强陽)=낙각
객주(客主)=객주인(客主人)=상관 거교(巨교)=사죽공 거처(巨處)=오처
거허(巨虛)=상거허,하거허 거허상렴(巨虛上廉)=상거허 거허상렴(巨虛上廉)=상렴 거허하렴(巨虛下廉)=하거허
견중(肩中)=견중유 견첨(肩尖)=견우 견해(肩解)=견정 경묘(經妙)=소충
경시(經始)=소충 경충(頸衝)=견우 경충(頸衝)=비노 계곡(谿谷)=귀래
계조(季助)=장문 계혈(溪穴)=귀래 계협(季脅)=장문 고개(高蓋)=독유
고개(高蓋)=신유 고곡(高曲)=상곡 고익(高益)=독유 곡문(谷門)=천추
곡발(曲髮)=곡빈 곡아(曲牙)=협차 곡절(曲節)=소해 골단(骨端)=곡골
관량(關梁)=금문 관릉(關陵)=슬양관 관명(關明)=관문 관양(關陽)=슬양관
광명(光明)=찬죽 교의(交儀)=여구 교충(交衝)=후정 구허(丘虛)=丘墟
굴골(屈骨)=곡골 굴골(屈骨)=횡골 궁골(窮骨)=구미 궁골(窮骨)=장강
궐수(闕輸)=궐음유 궐양(厥陽)=비양 궐유(厥兪)=궐음유 궤호(饋戶)=백호
귀객청(鬼客廳)=수구 귀거(鬼居)=곡지 귀곡(鬼哭)=소상 귀굴(鬼窟)=노궁
귀궁(鬼宮)=인중 귀당(鬼堂)=상성 귀당(鬼堂)=척택 귀로(鬼路)=노궁
귀로(鬼路)=신맥 귀록(鬼錄)=은교 귀루(鬼壘)=은백 귀미(龜尾)=장강
귀사(鬼邪)=족삼리 귀사(鬼邪)=수삼리 귀상(鬼床)=협차 귀상(鬼牀)=협차
귀수(鬼受)=척택 귀시(鬼市)=승장 귀시(鬼市)=수구 귀신(鬼臣)=곡지
귀신(鬼信)=소상 귀심(鬼心)=어제 귀심(鬼心)=태릉 귀심(鬼心)=태연
귀안(鬼眼)=은백 귀영(鬼營)=노궁 귀장(鬼藏)=회음 귀침(鬼枕)=풍부
귀퇴(鬼腿)=곡지 귀혈(鬼穴)=풍부 근속(筋束)=근축 기가(氣街)=기충
기관(機關)=협차 기관(機關)=청회 기부(氣府)=경문 기사(氣舍)=신궐
기어(氣魚)=중극 기원(氣原)=중극 기유(氣兪)=경문 기합(氣合)=신궐
기회(氣會)=단중
■ 별명(이명) 나 기준
내곤륜(內崑崙)=태계 내근(內筋)=교신 뇌개(腦蓋)=낙각 누공(淚孔,淚空)=정명
■ 별명(이명) 다 기준
다소문(多所聞)=청궁 단전(丹田)=음교 단전(丹田)=기해 단전(丹田)=관원
단전(丹田)=석문 단중(亶中)=단중 대계(大溪)=태계
대금이십오(大禁二十五)=수오리 대릉(大陵)=태릉 대연(大淵)=태연
대용(大容)=천용 대우(大羽)=강간 대유(大兪)=대저 대종(大鍾)=태종
대중극(大中極)=관원 대지취모(大趾聚毛)=대돈 대창(大倉)=중완
대천(大泉)=태연 대천(太泉)=태연 대충(大衝)=태충 대포(大胞)=대포
독맥(督脈)=후계 동현(童玄)=열결 두봉(頭縫)=두유 두충(頭衝)=비노
■ 별명(이명) 마 기준
면 면옥(面玉)=소료 면왕(面王)=소료 면정(面正)=소료 명관(命關)=식두
명광(明光)=찬죽 명당(明堂)=상성 명대(命帶)=신궐 명문(命門)=석문
목교(目교)=사죽공 목료(目)= 사죽공 목임읍(目臨泣)=두임읍 문곡(聞谷)=이간 미골하공(尾骨下空)=장강 미교(米교)=현로
미두(眉頭)=찬죽 미려(尾閭)=장강 미본(眉本)=찬죽 미설(米齧)=현로
미예(尾)=구미 미저(尾저)=장강
■ 별명(이명) 바 기준
박정(膊井)=견정 발제(髮際)=신정 방광모(膀胱募)=중극 배유(背兪)=대저
배유(背兪)=심유 배해(背解)=요유 백로(百勞)=대추 별양(別陽)=삼양락
별양(別陽)=양교 별양(別陽)=양지 병예(屛翳)=회음 보랑(步郞)=보랑
보원(補元)=천추 복굴(腹屈)=복결 복백(伏白)=복유
복백창양(伏白昌陽)=복유 복유(伏溜)=복유 복유(復留)=복유
복충맥(伏衝脈)=태충 본지(本池)=염천 부승(扶承)=승부 부양(付陽)=부양
부양(附陽)=부양 부양(趺陽)=충양 부중유(府中兪)=중부 분수(分水)=수분
분육(分肉)=양보 분중(分中)=환도 비격(臂膈)=비노 비뇌(臂腦)=비노
비모(脾募)=장문 비방(鼻傍)=곡차 비사(脾舍)=지기 비양(飛揚)=비양
비염(脾厭)=환도 비오리(臂五里)=수오리 비인중(鼻人中)=수구
비정(脾井)=견정 비준(鼻準)=소료 비처(飛處)=지구 비충(鼻衝)=곡차
비허(飛虛)=지구 비호(飛虎)=지구 빈골(골)=환도
■ 별명(이명) 사 기준
사두(蛇頭)=온유 사죽(絲竹)=사죽공 삼결교(三結交)=관원
삼관(三管)=상완,중완,하완 삼문(三門)=삼간 삼양(三陽)=백회
삼양오회(三陽五會)=백회 삼재혈(三才穴)=백회,선기,용천의 3혈
상개(商蓋)=독유 상거허(上巨虛)=상렴 상곤륜(上崑崙)=곤륜 상골(尙骨)=견우
상관(上關)=객주인 상관(上管)=상완 상기(上紀)=중완 상기(上紀)=상완
상기해(上氣海)=단중 상림(上林)=상거허 상문(上門)=유문 상산(傷山)=승산
상삼리(上三里)=수삼리 상자궁(上慈宮)=충문 상저(上저)=대추
석궁(石宮)=음도 석궐(石闕)=석관 선기(旋機,旋璣)=璇璣 설본(舌本)=염천
설식(薛息)=유근 설염(舌厭)=아문 설엽(舌壓)=아문 설횡(舌橫)=아문
섭유(섭유)=뇌공 성성(惺惺)=풍부 소곡(少谷)=삼간 소골(少骨)=삼간
소관(小關)=음교 소관(少關)=음교 소길(小吉)=소택 소력(消瀝)=소낙
소심(小心)=격유 소심(小心)=명문 소죽(小竹)=찬죽 소죽(小竹)=미충
속루(屬累)=명문 솔각(率角)=솔곡 솔곡(솔谷)=솔곡 솔골(率骨)=솔곡
수공(髓孔)=대영 수공(髓空)=요유 수공(髓孔)=요유
수규음(首竅陰)=두규음 수문(水門)=수돌 수부(髓府)=요유
수부(輸府)=유부 수부(髓府)=사만 수상렴(手上廉)=상렴 수수(垂手)=풍시
수유(髓兪)=요유 수원(水原)=수천 수장(垂漿)=승장 수중(髓中)=현로
수중(髓中)=사만 수지상렴(手之上廉)=상렴
수지하렴(手之下廉)=하렴 수천(水天)=수돌 수천(水泉)=대돈
수하렴(手下廉)=하렴 수혈(水穴)=부돌 수회(髓會)=현종 순상단(脣上端)=태단
순양(純陽)=상양 순원(循元)=천추 순제(循際)=천추 순척(循脊)=천추
승령(承令)=삼음교 승명(承命)=삼음교 시광(始光)=찬죽 식궁(食宮)=음도
식려(食呂)=음도 신광(神光)=첩근 신광(神光)=일월 신기(腎氣)=대횡
신당(神堂)=상성 신모(腎募)=경문 신문(신門)=신회 신상(신上)=신회
신종(神宗)=척중 심주(心主)=태릉 심지유(心之兪)=심유 십추(十椎)=대추
십추(十椎)=지양
■ 별명(이명) 아 기준
안사(安邪)=복삼 안야(安耶)=복삼 액공(液孔)=정명 액문(腋門)=연액
액문(腋門)=대거 액문(腋門)=液門 액문(掖門)=液門 야광(夜光)=찬죽
양관(梁關)=금문 양관(陽關)=슬양관 양관(陽關)=요양관 양교(陽교)=신맥
양교혈(陽교穴)=신맥 양굴(陽窟)=복결 양릉(陽陵)=슬양관 양릉(陽陵)=양릉천
양백(楊白)=陽白 양시(羊屎)=기충 양지릉천(陽之陵泉)=양릉천
양택(陽澤)=곡지 어미(魚尾)=동자료 어복(魚腹)=승산 어복산(魚腹山)=승산
어요(魚腰)=인당 어요(魚腰)=승산 어장(魚腸)=승산 억전(臆前)=구미
여세(旅細)=태계 여세(呂細)태계 역주(逆注)=온유
역주사두(逆注蛇頭)=온유 역중(域中)=욱중 연골(然骨)=연곡
연액(淵液)=淵腋 열궐(列闕)=열결 열부(熱府)=풍문 영장(靈牆)=영허
예골(銳骨)=권료 예중(銳中)=신문 오거유(五거兪)=의희 오리(五里)=노궁
오성(五星)=오리 오장유(五臟兪)=의희 오초지간(伍焦之間)=심유
오회(五會)=백회 오회(五會)=인영 옥방유(玉房兪)=백환유
옥영(玉英)=옥당 옥주(玉柱)=승산 옥천(玉泉)=중극 옥호(玉戶)=천돌
옥환유(玉環兪)=백환유 온유(溫留,溫流)=溫溜
온유사두(溫溜蛇頭)=온유 외구(外丘)=복토 외구(外勾)=복토
외명(外命)=복유 외슬안(外膝眼)=독비 외양(外陽)=부양 외추(外樞)=유도
요주(腰注,腰柱)=요유 요포(尿胞)=곡골 요혈(요穴)=팔료 요호(腰戶)=요유
용연(龍淵)=연곡 용주(容主)=객주인 용천(龍泉)=연곡 우골(骨)=견우
우관(右關)=석관 우자호(右子戶)=수도 원견(元見)=단중 원아(元兒)=단중
원재(員在)=찬죽 원주(元柱.員柱)=찬죽 위완(胃脘)=상완 위완(胃脘)=중완
위유(胃維)=지창 위중앙(委中央)=위중 유회(維會)=신궐 육주(肉柱)=승산
은교(은交)=은교 음경(陰經)=누곡 음관(陰關)=슬관 음관(陰關)=대혁
음관(陰關)=승부 음교(陰교)=조해 음릉(陰陵)=음릉천 음문(陰門)=음시
음문(음門)=아문 음백(陰白)=은백 음유(陰維)=대혁 음정(陰鼎)=음시
음지릉천(陰之陵泉)=음릉천 음포(陰胞)=陰包 응유(膺兪)=중부
응중유(膺中兪)=중부 이골(耳骨)=곡골 이기(利機)=석문 이기(利機)=회양
이문(耳門)=청회 이첨(耳尖)=솔곡 이환궁(泥丸宮)=백회 인중(人中)=수구
인횡(人橫)=대횡 일운(一雲)=통곡
■ 별명(이명) 자 기준
자골(刺骨)=속골 자궁(慈宮)=충문 자맥(資脈)=계맥 자호(子戶)=관원
자호(子戶)=기혈 잡풍(잡風)=뇌호 장결(腸結)=복결 장계(長溪)=천추
장곡(長谷)=천추 장골(壯骨)=태단 장굴(腸屈)=복애 장굴(腸窟)=복결
장료(長)=화료 장빈(長頻)=화료 장산(腸山)=승산 장애(腸哀)=복애
장유(臟兪)=신도 장중(掌中)=노궁 장평(長平)=장문 장협(長頰)=화료
장훼(長훼)=화료 저골(저骨)=장강 전관(前關)=동자료 전상(전上)=백회
전상(顚上)=백회 전장문(前章門)=충문 전청(轉聽)=천유 절골(絶骨)=양보
절골(絶骨)=현종 절양(絶陽)=상양 절잉(絶孕)=석문 정궁(精宮)=명문
정궁(精宮)=지실 정로(精露)=석문 정명(精明)=睛明 정문(頂門)=신회
제중(臍中)=신궐 조계(曹溪)=풍부 족상렴(足上廉)=상거허
족하렴(足下廉)=하거허 좌포문(左胞門)=수도 주곡(周谷)=이간
주중( 中)=척택 주첨( 尖)=주료 죽림(竹林)=명문 준두(準頭)=소료
중견정(中肩井)=견우 중공(中空)=중료 중관(中管)=중완 중괴(中魁)=양계
중도(中都)=신문 중려(中려)=중려유 중려내유(中려內兪)=중려유
중수(中守)=수분 중주(中柱)=중추 중현(重玄)=열결 지구(地衢)=용천
지궁(至宮)=목창 지기(地箕)=地機 지당(志堂)=지실 지두(地頭)=온유
지리개(智利介)=신주 지리기(智利氣)=신주 지리모(智利毛)=신주 지영(至榮)=목창
지오(地五)=지오회 지위(地衛)=용천 지충(地衝)=용천 직장(直腸)=승근
진기(塵氣)=신주 진장(眞腸)=승근 질양(跌陽)=충양
■ 별명(이명) 차 기준
차문(次門)=관원 창롱(窓籠)=천창 창롱(窓聾)=천창 창양(昌陽)=복유
창황(窓簧)=천창 척내유(脊內兪)=중려유
척오리(尺五里)=수오리 척유(脊兪)=척중 척주(脊柱)=척중
척지오리(尺之五里)=수오리 천개(天蓋)=결분 천경(天涇)=천천
천구(天瞿)=천돌 천구(天臼)=통천 천만(天滿)=백회 천백(天白)=통천
천습(天濕)=천천 천액(泉腋)=연액 천오회(天五會)=인영 천온(天溫)=천천
천응(天應)=아시혈(阿是穴)
천장(천腸)=축빈 천장(천腸)=승근 천정(天頂)=천정(天鼎)
천지(天池)=승장 천천(天泉)=태연 천회(天會)=천지 청가(聽呵)=청회
청냉천(淸冷泉)=청냉연 청령천(靑靈泉)=청령 청호(靑昊)=청냉연
체맥(體脈)=계맥 초혜대혈(草鞋帶穴)=해계 추료(椎)=권료
축빈(築濱)=築賓 충도(衝道)=신도 충맥혈(衝脈穴)=공손 충양(衝陽)=영향
치아(齒牙)=협차 침골(枕骨)=두규음
■ 별명(이명) 타 기준
태골(兌骨)=소부 태골(兌骨)=신문 태골(兌骨)=권료 태순(太順)=대돈
태양(太陽)=동자료 태음(太陰)=삼음교 태음락(太陰絡)=누곡
태음지내시(太陰之內市)=기문 태일(太一)=태을 태창(太倉)=중완
태천(太泉)=태연 태충(兌衝)=신문 통간(通間)=삼양락 통곡(通穀)=通谷
통관(通關)=음도 통문(通門)=삼양락
■ 별명(이명) 파 기준
편견(扁肩)=견우 편골(扁骨)=견우 평예(平)=회음 폐모(肺募)=중부
폐저(肺底)=지양 폐저(肺底)=영대 포간(胞間)=기혈 포문(胞門)=기혈
포황(包)=포황 피극(皮)= 부 피부(皮部)=승부
팔료(八)=상료,차료,중료,하료의 좌우8혈.
■ 별명(이명) 하 기준
하거허(下巨虛)=하렴 하관(下管)=하완 하극(下極)=횡골 하극(下極)=회음
하기(下記)=관원 하기해(下氣海)=기해 하도(下都)=중저 하독(下讀)=중독
하릉(下陵)=족삼리 하릉삼리(下陵三里)=족삼리 하림(下林)=하거허
하삼리(下三里)=삼음교 하삼리(下三里)=족삼리
하황(下)=관원 하황(下)=기해 하횡(下橫)=횡골 학정(鶴頂)=양구
한부(寒府)=슬양관 함골(陷骨)=함곡 함구(含口)=합곡 합골(合骨)=합곡 합노(合노)=뇌호 해저(海底)=회음 현장(懸漿)=승장 현주(懸柱)=현추
현천(懸泉)=중봉 협백(夾白)=협백 혜대(鞋帶)=해계 혜혈(혜穴)=승읍
호구(虎口)=합곡 혹중(或中)=욱중 혼호(魂戶)=백호 화협(禾脇)=장문
환곡(環谷)=신궐 환곡(環谷)=관원 환요(환요)=환도 활육(滑肉)=활육문
회골(會骨)=충양 회골(回骨)=곡골 회액(會額)=뇌호 회원(會原)=충양
회유(會維)=지창 횡설(橫舌)=아문 횡호(橫戶)=음교 후곡(後曲)=동자료
후관(後關)=청회 흉설(胸薛)=유근 흉지음유(胸之陰兪)=장강
특이 별명
십삼귀혈(十三鬼穴)
십삼귀혈(十三鬼穴)은 전통 한의학에서 정신적 및 신경적 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13개의 경혈을 말합니다. 이들 경혈은 귀(鬼)자가 들어간 별명 또는 병명과 관련이 있습니다. 각 혈자리는 특정한 병명과 관련이 있으며, 귀(鬼)자가 들어간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십삼귀혈은 주로 정신적 혼란, 발작, 불안, 불면증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귀궁(鬼宮) – 인중(印堂) : 정신적 혼란, 발작
- 귀침(鬼枕) – 풍부(風府) : 정신적 불안, 두통, 목 통증
- 귀신(鬼信) – 신맥(申脈) : 불안, 불면증, 정신적 문제
- 귀성(鬼城) – 승장(承漿) : 정신적 혼란, 발작
- 귀로(鬼路) – 소상(少商) : 정신적 불안, 발작
- 귀심(鬼心) – 대릉(大陵) : 정신적 문제, 불안, 심장 문제
- 귀장(鬼藏) – 곡지(曲池) : 정신적 불안, 발작
- 귀당(鬼堂) – 노궁(勞宮) : 정신적 불안, 발작
- 귀사(鬼邪) – 회음(會陰) : 정신적 문제, 발작
- 귀주(鬼路) – 협거(頬車) : 정신적 불안, 발작
- 귀전(鬼殿) – 상성(上星) : 정신적 문제, 두통
- 귀창(鬼窓) – 대추(大椎) : 정신적 문제, 목 통증
- 귀침(鬼床) – 해천(海泉) : 정신적 문제, 혀 통증
이 혈자리들은 각각의 위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정신적 및 신경적 문제를 다루는 데 사용됩니다.
회양구침혈(回陽九針穴)
동양의학에서 “회양구침혈(回陽九針穴)”은 인체의 기운을 회복시키고 양기를 되돌리는 데 사용되는 아홉 개의 중요한 혈자리를 말합니다. 이 혈자리는 주로 응급 상황에서 기운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음은 회양구침혈과 그 소속 경혈입니다:
- 아문(啞門): 독맥에 속하며, 목 뒤쪽, 제2 경추 아래에 위치합니다.
- 노궁(勞宮): 심포경에 속하며, 손바닥 중앙에 위치합니다.
- 용천(湧泉): 신경에 속하며, 발바닥의 앞쪽 1/3 지점에 위치합니다.
- 족삼리(足三里): 위경에 속하며, 무릎 아래 3촌에 위치합니다.
- 삼음교(三陰交): 비경에 속하며, 발목 안쪽 복사뼈 위 3촌에 위치합니다.
- 합곡(合谷): 대장경에 속하며, 손등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위치합니다.
- 중완(中脘): 임맥에 속하며, 배꼽 위 4촌에 위치합니다.
- 태계(太谿): 신경에 속하며, 발목 안쪽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에 위치합니다.
- 환도(環跳): 담경에 속하며, 엉덩이 부위에 위치합니다.
이 혈자리들은 기운을 강화하고 생명력을 회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급성 질환이나 기절 등의 응급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각 혈자리는 특정 경락에 속해 있으며, 해당 경락의 흐름을 조절하여 신체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