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대변)을 통한 진단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살다보면 회피하고 싶은 상황이나 사물들이 있습니다. 때로는 무서워서, 때로는 더러워서. 하지만, 대변은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대변의 형태, 횟수, 색깔, 점액 여부 등은 소화기 질환이나 전신 상태를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묽은 대변, 변비, 설사, 점액 대변 등 다양한 대변의 특징과 관련 질환을 알아보고, 배변 습관의 변화가 암 등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음을 확인하세요. 이 글에서는 대변의 상태와 관련된 건강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자신의 몸 상태를 점검하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건강한 생활은 대변 관찰에서 시작됩니다!

대변(大便) 개요

대변은 인체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항문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입니다.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가 식도를 거쳐 위와 소장을 통과하며 소화된 후, 수곡정미(水谷精微)와 찌꺼기로 나뉩니다. 수곡정미는 인체에 흡수되고 찌꺼기는 대장으로 운반되어 남은 수액을 흡수한 뒤 분변(糞便)이 되어 체외로 배출됩니다.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가 대변으로 배출되기까지 여러 장기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변의 상태를 관찰하면 소화기를 포함한 체내 장부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대변의 약 70%는 물이며, 나머지는 점액, 세균, 음식 찌꺼기로 구성됩니다. 정상적인 대변은 매일 1회 배출되며, 단단하지만 건조하지 않고 윤기가 있으며, 냄새는 나지만 불쾌하지 않고 색은 누렇습니다.

한의학과 양의학 모두 대변 관찰을 중요하게 여기며, 대변 검사를 임상의 3대 정규 검사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대변의 색깔, 상태, 양, 배변 횟수를 통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예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1] 대변 색깔별 특징, 원인, 관련 질병

대변 색깔의 변화는 건강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건강한 사람의 대변은 황갈색이며, 이는 대변 속에 담홍소(膽紅素, 담즙색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 백색 혹은 회백색 대변

  • 특징: 대변이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띰.
  • 원인:
    • 담즙 분비 장애 또는 담도 폐쇄.
    • 담결석(膽結石, 담낭과 담관에 생기는 돌), 담도종류(膽道腫瘤, 담도에 생긴 종양), 췌장암(膵臟癌, 이자암) 등이 원인일 수 있음.
    • 바륨죽 조형(바륨 조영검사) 후에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질병이 아닌 생리적 현상).
  • 관련 질병: 담도 폐쇄성 질환, 췌장암.

2) 백색 쌀뜨물 같은 대변

  • 특징: 대변이 쌀뜨물[쌀뜬물]처럼 희고 혼탁한 액체 형태로 나오며 양이 많음.
  • 원인:
    • 곽란(癨亂, 급성 전염성 위장염)에서 주로 나타남.
    • 곽란은 설사와 구토를 동반하며 열성(烈性, 심한 형태의) 전염병으로 분류됨.
  • 관련 질병: 곽란(전염성 위장염).

3) 백색 유지(油脂) 상태의 대변

  • 특징: 대변이 기름기가 많고 악취가 심하며 양이 많음.
  • 원인:
    • 이원성(儀源性, 외부 요인으로 발생한) 설사.
    • 소화관흡수장애증후군(消化管吸收障碍症候群, 영양분 흡수 장애).
    • 지방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해 대변에 포함됨.
  • 관련 질병: 흡수 장애 증후군, 이자 기능 부전.

4) 백색 점액 상태의 대변

  • 특징: 대변에 콧물처럼 희고 투명한 점액이 섞여 있음.
  • 원인:
    • 만성장염(慢性腸炎, 만성적인 장의 염증).
    • 장식육(腸息肉, 장 폴립) 또는 종류(腫瘤, 종양).
  • 관련 질병: 만성 장염, 장 폴립, 장 종양.

5) 짙은 황색 대변

  • 특징: 대변이 짙은 황색을 띰.
  • 원인:
    • 용혈성(溶血性, 적혈구가 파괴되는) 황달에서 주로 나타남.
    • 적혈구(赤血球, 혈액 내 산소를 운반하는 세포)가 과도하게 파괴되면서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대변 색이 짙어짐.
  • 관련 질병:
    • 용혈성 빈혈(溶血性貧血, 적혈구 파괴로 인한 빈혈).
    • 적혈구 선천적 결함, 용혈성 세균 감염, 악성 학질(惡性瘧疾, 말라리아), 면역반응, 화학약품 중독 등.

6) 녹색 대변

  • 특징: 대변이 녹색을 띠며 물이나 죽 같은 형태로 나오고 시큼한 냄새와 거품이 많음.
  • 원인:
    • 소화불량(消化不良,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않음) 및 장 기능 실조(腸機能失調, 장의 기능 이상).
    • 엽록소(葉綠素, 녹색 색소)가 많은 음식 섭취.
    • 장 내 산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 황색포도상구균(黃色葡萄狀球菌, 특정 세균)에 의한 장염에서 비린내가 나는 암녹색 물 같은 대변이 나타남.
  • 관련 질병: 급성 장염, 세균성 이질, 황색포도상구균 감염.

7) 담홍색 대변

  • 특징: 대변이 고기를 씻은 물처럼 담홍색을 띰.
  • 원인:
    • 호염균(好鹽菌, 소금에 잘 자라는 세균)에 오염된 소금 절임 식품 섭취로 인한 식중독.
    • 살모넬라균(살모넬라균, 장내 병원성 세균) 감염.
  • 관련 질병: 식중독, 살모넬라 감염.

8) 선홍색 대변

  • 특징: 대변 바깥에 선홍색 피가 묻어나오며 출혈량은 적음.
  • 원인:
    • 하부 소화관 출혈(下部消化管出血, 하부 소화기관에서의 출혈).
    • 항문열창(肛裂, 항문이 찢어진 상태): 배변 시 극심한 통증 동반.
    • 내치(內痔, 내부 치질): 출혈량이 일정하지 않고 핏덩어리가 보이는 경우.
    • 직장암(直腸癌, 항문과 연결된 직장의 암), 결장암(結腸癌, 대장의 암): 대변과 피가 섞여 나옴.
  • 관련 질병: 항문열창, 치질, 직장암, 결장암.

9) 암홍색 대변

  • 특징: 대변과 피가 고르게 섞여 있으며 과즙색을 띰.
  • 원인:
    • 아메바성 이질(阿米巴性痢疾, 아메바 감염에 의한 이질).
    • 결장 폴립(結腸息肉, 대장 내부의 폴립) 및 종류(腫瘤, 종양).
    • 응고 장애(凝固障碍, 혈액 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血小板減少性紫斑病).
      • 재생불량성 빈혈(再生不良性貧血, 골수 기능 저하로 인한 빈혈).
      • 백혈병(白血病, 혈액암) 등.
  • 관련 질병: 아메바성 이질, 결장 폴립, 응고 장애 질환.

10) 검은색 대변

  • 특징: 대변이 아스팔트처럼 검은색을 띠며 “아스팔트변“이라고도 불림.
  • 원인:
    • 상부 소화관 출혈(上部消化管出血, 위장관 상부에서의 출혈): 상부 소화관의 출혈로 인해 혈액이 위산과 반응하여 검은색으로 변합니다.
      •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 위염[위두염(胃竇炎)]
      • 간경화로 인한 정맥류 파열.
    • 음식 및 약물 섭취:
      • 음식 : 육류, 동물의 피, 간, 시금치
      • 약물 : 철분제(鐵分劑, 철분 보충제), 창연제(腸鉛劑: 장에서 작용하는 약물로, 일부는 흑색 대변을 유발할 수 있음), 활성탄(活性炭, 흡착제) 등.
  • 관련 질병: 검은색 대변은 상부 소화관 출혈로 인해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다음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 위궤양(胃潰瘍)십이지장궤양(十二指腸潰瘍)
      • 위와 십이지장의 점막이 손상되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위두염(胃竇炎, 위의 말단부 염증) 및 위점막 탈수
      • 위염(특히 위의 말단부인 위동(胃竇) 부위의 염증)이나 위점막 손상으로 출혈이 발생.
    • 간경화(肝硬化)로 인한 식도 및 위 정맥류 파열
      • 간경화로 인해 식도와 위저부 정맥이 확장되고, 이 정맥이 파열되면서 출혈이 발생.
    • 위암
      • 위암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할 경우에도 검은색 대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검은색 대변의 진단 방법 : 검은색 대변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 병력 청취
      •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조사하여 출혈, 음식 섭취, 약물 복용 여부를 확인합니다.
    • 물로 대변을 씻는 방법
      • 붉은색이 나타나는 경우: 소화관 출혈 가능성.
      • 검고 밝지 않으며 붉은색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음식이나 약물이 원인.
    • 채식 및 약물 중단
      • 2~3일 동안 채식을 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대변 색이 황갈색으로 돌아오는지 확인.

동양의학적 관점에서의 대변 색 진단

동양의학에서는 대변 색깔을 통해 신체 상태를 진단합니다:

  1. 진황색 대변(眞黃色粪便): 열(熱) 로 인한 상태.
  2. 백색 대변(白色粪便): 비허(脾虛, 비장의 기능 약화)로 발생.
  3. 붉은색 대변(赤色粪便): 혈열(血熱, 혈액에 열이 많아진 상태)로 발생.
  4. 검은색 대변(黑色粪便): 어적(瘀積, 혈액이 정체된 상태)이나 체내 노폐물이 쌓인 상태로 발생

[2] 대변의 형태

대변의 형태는 소화기 및 체내 건강 상태를 반영합니다. 형태에 따라 다양한 질병이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아래는 주요 대변 형태와 그 특징 및 관련 질병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묽은 물 같은 대변

  • 특징: 대변이 물처럼 묽고 점액이나 농혈(膿血, 고름과 피)이 섞여 나타남. 소화 불량이나 장 적충(腸滴蟲) 감염으로 인한 설사에서 나타납니다
  • 원인:
    • 소회불량(消化不良, 소화 불량).
    • 장적충(腸滴蟲, 트리코모나스 증) 감염.
    • 곽란증(癨亂症, 급성 전염성 위장염).
    • 비소중독(砒素中毒, 독성 물질 중독).
  • 관련 질병: 급성 장염, 곽란증, 중독성 소화불량.
  • 증상:
    • 심한 탈수 증상(눈이 퀭하게 꺼짐, 몸이 마름).
    • 어린아이의 경우 황녹색 물 같은 대변에 지방 덩어리와 점액이 섞여 나타남(계란탕대변).
  • 특이 사례:
    • 어린아이의 계란탕 대변: 황녹색 물 같은 대변에 희고 작은 덩어리(소화되지 않은 지방)가 섞여 있음. 소화 불량으로 인해 나타나며 음식 섭취를 줄이고 설탕과 소금을 탄 물을 섭취하면 회복 가능.
    • 어린아이가 녹색 솜 같은 것이 섞인 대변을 자주 보는 경우: 중독성 소화 불량을 의미하며 조기 치료 필요.
    • 초록색에 섬유질이 많은 묽은 대변: 채소 과다 섭취로 인한 결과.
    • 대변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섞이고 악취가 심한 경우: 과식으로 인해 발생하며 식사량을 줄여야 함.
  • 치료 방법:
    • 음식 섭취량 제한.
    • 설탕과 소금을 탄 끓인 물 섭취.
    • 소량의 묽은 죽(너무 진하지 않게) 섭취.
    • 배를 따뜻하게 유지.

2) 물컹물컹한 대변

  • 특징: 대변이 물컹물컹한 상태로 배출됨. 만성 결장염 환자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 원인:
    • 만성결장염(慢性結腸炎, 만성 대장 염증).
    • 찬 음식, 기름진 음식 섭취.
    • 오경사(五更瀉, 새벽에 설사): 한의학에서는 신양허(腎陽虛, 신장의 양기가 약함)로 봄.
  • 관련 질병: 만성결장염, 신양허증.
  • 치료 방법: 따뜻한 음식을 섭취하고, 찬 음식은 피함.

3) 유미즙 형태의 대변

  • 특징: 대변이 유미즙(乳糜汁, 우유처럼 희고 액체 상태)과 비슷함.
  • 원인:
    • 장의 유동운동 항진.
    • 장 분비액 증가.
    • 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설사.
  • 관련 질병: 감염성 설사, 비감염성 설사.

4) 점액 형태의 대변

  • 특징: 정상 대변에도 소량의 점액이 존재하지만, 대량의 점액은 병적 상태를 나타냅니다.
  • 원인:
    • 장염(腸炎, 장의 염증).
    • 이질(痢疾, 급성 전염성 장염).
    • 흡혈충병(吸血蟲病, 기생충 감염).
  • 관련 질병: 장염, 이질, 흡혈충병.
  • 특이사항:
    • 점액이 대변 속에 고르게 섞여 있으면 소장(小腸)의 염증.
    • 점액이 대변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대장(大腸)의 병변.

5) 언 것처럼 단단한 대변

  • 특징: 대변이 단단하고 표면에 점액이 소량 묻어 있음. 과민성 결장염 환자에게서 통상적으로 나타나며, 복통 후 점액이 엉긴 가는 대변을 봅니다.
  • 원인:
    • 과민성결장염(過敏性結腸炎, 대장 과민 증후군).
    • 경련성변비(痙攣性便秘, 대장 경련으로 인한 변비).
    • 만성세균성이질(慢性細菌性痢疾, 세균성 이질).
  • 관련 질병: 과민성결장염, 경련성 변비, 만성 세균성 이질.

6) 풀 같은 대변

  • 특징: 옅은 황색의 묽은 풀 같은 대변으로 점액이 섞이지 않음.
  • 원인:
    • 어린아이가 잘 때 배를 차게 함.
    • 기름진 음식을 과다 섭취.
    • 지방을 소화하지 못함.
  • 관련 질병: 영아 소화불량.
  • 치료 방법:
    • 배를 따뜻하게 유지.
    • 담백한 음식 섭취.
    • 쌀을 볶아 끓인 죽 섭취.

7) 거품이 많은 대변

  • 특징: 대변에 거품이 많고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가 섞임.
  • 원인:
    • 과식.
    • 설탕이 많이 든 음식 섭취.
  • 치료 방법: 설탕과 쌀죽을 적게 먹어 장의 부담을 줄임.

8) 산란형 대변

  • 특징: 대변 일부는 정상, 일부는 설사 형태.
  • 원인:
    • 영양실조.
    • 감기, 홍역 등.
  • 관련 질병: 어린아이의 영양실조, 감염성 질환.

9) 비누형 대변

  • 특징: 달걀노른자 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단단한 대변.
  • 원인:
    • 장 내 음식물 부패.
    • 단백질 과다 섭취.
  • 치료 방법: 꿀, 설탕 같은 당분 섭취.

10) 지방질 대변

  • 특징: 회백색 풀 또는 액상 대변으로 유지방처럼 번들거리며 악취가 납니다.
  • 원인:
    • 췌장(膵臟, 이자) 기능 장애.
    • 트립신(trypsin, 단백질 분해 효소) 부족.
  • 관련 질병: 췌장 기능 장애.

11) 두부찌꺼기 같은 대변

  • 특징: 황녹색에 점액이 섞인 묽은 대변으로 두부찌꺼기 같은 모양.
  • 원인:
    • 백색염주균(白色念珠菌, 칸디다균) 감염: 영아에게 주로 나타나며, 곰팡이에 의한 장염.
    • 신생아 간염 : 옅은 황색이나 회색의 두부찌꺼기 같은 대변, 피부 및 눈의 흰자위가 누렇게 변함.
  • 관련 질병: 칸디다 감염, 신생아 간염.
  • 특이사항:
    • 칸디다 장염은 항생제나 부신피질호르몬 장기 사용과 관련됨.
    • 신생아 간염 시 피부와 눈이 황색으로 변함.

12) 팥죽 같은 대변

  • 특징: 암홍색 혈변으로 팥죽 같은 모양.
  • 원인:
    • 출혈성장염(出血性腸炎, 대장 출혈).
  • 관련 질병: 출혈성 장염.
  • 증상: 극심한 복통, 중독 증상(창백한 안색, 사지 냉증).

13) 농혈 대변

  • 특징: 점액과 농혈이 섞인 대변.
  • 원인:
    • 이질(痢疾).
    • 구기양성결장염(潰瘍性結腸炎, 궤양성 대장염).
    • 결장암(結腸癌), 직장암(直腸癌).
  • 관련 질병:
    • 이질, 궤양성 결장염, 결장암, 직장암.
    • 아메바성 이질: 묽은 과즙 같은 혈변.
    • 세균성 이질: 점액과 농이 다량 섞임.

14) 염소 똥처럼 마르고 동글동글한 대변

  • 특징: 동글동글하고 단단하고 잘 나오지 않는 대변.
  • 원인:
    • 수술 후의 장유착(腸癒着, 장이 서로 붙음).
    • 복부 내의 종류(腫瘤, 종양)
    • 장중첩증(腸重疊症, 장이 겹침).
    • 탈수, 음액 및 진액 부족.
  • 관련 질병: 장유착, 장중첩증.
  • 특이 사례: 영유아의 황갈색 과립형 대변: 물 부족이나 과다한 땀 배출로 발생.

15) 가늘고 편평한 띠 같은 대변

  • 특징: 대변이 가늘고 편평하며 띠 모양.
  • 원인:
    • 직장협착(直腸狹窄).
    • 직장종류(直腸腫瘤, 직장 종양).
  • 관련 질병: 직장 협착, 직장종양, 직장암.

대변 형태와 병변 부위의 관계

  • 묽은 물 같은 대변: 소장 이상.
  • 죽 같은 대변: 회맹장 병변.
  • 거품이 많은 대변: 소장의 소화 불량.
  • 마른 죽 같은 대변: 결장 병변.
  • 농혈 대변: 직장 또는 S상 결장 병변.
  • 다량의 농 포함 대변: 만성 결장 기능 장애.

[3] 대변의 횟수

정상적인 대변 횟수는 하루 1회이며, 대변의 상태가 정상이라면 하루 3회 이하 또는 이틀에 한 번 정도도 정상 범위에 속합니다. 그러나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대변 상태가 비정상적이라면 이상으로 간주됩니다.

대변 횟수에 따른 정상 상태와 병증

상태 정의 및 정상 범위
정상 정상인은 하루에 한 번 대변을 보며, 대변이 가닥을 이루고 무르기가 적당하다.
하루 3회 이하 또는 이삼일에 한 번 대변을 보더라도 정상이다.
비정상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대변 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병증으로 간주된다.

1) 변비(便秘)

변비는 이삼일 이상 대변을 보지 못하고 대변이 말라 단단해지며 배출이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성인은 하루나 이틀 사이에 한 차례 이상 대변을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변비는 크게 기능성 변비기질성(器質性) 변비로 구분되며, 임상적으로는 기능성 변비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1) 기능성 변비 (습관성 변비)

정의: 특정한 기질적 병변 없이 발생하는 변비. 주로 생활습관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원인:

  • 식습관(편식):
    • 섬유소 섭취 부족으로 인해 장이 자극을 덜 받아 반사적인 유동운동이 약화되어 변비가 발생합니다.
    • 섬유소 섭취 부족 → 장의 자극 감소 → 유동운동 약화.
  • 잘못된 배변 습관:
    • 변의가 있어도 참거나 배변 시간이 일정하지 않음.
    • 배변 장소나 자세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 사하제(瀉下劑) 남용 또는 관장 습관으로 인해 직장 반사신경의 민감도가 저하되어 변비가 발생.
  • 정신적 요인:
    • 스트레스나 지나친 흥분이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활동 부족:
    • 장기간 누워 있는 상태나 신체 활동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발생합니다.

(2) 기질성 변비 (기질적 병변으로 인한 변비)

정의: 기질적 병변(장기 구조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장의 구조적 이상이나 외부 압박에 의해 변비가 유발됩니다.
원인:

  1. 장 내부의 문제
    • 장유착, 거대결장 등에 의해 부분적인 장폐색이 발생.
  2. 장 외부의 압박
    • 난소종양, 자궁근종, 복강 내 종양, 복수 등으로 장이 압박을 받는 경우.
  3. 직장 및 항문 질환
    • 염증, 치질, 항열(항문 열창) 등 직장·항문 질환이 원인.
  4. 기질성 변비의 의심 증상
    • 대변이 가늘어지거나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결장암, 직장암 의심.
    • 변비와 함께 급성 복통, 복부 팽창, 구토 발생: 장폐색 의심.
    • 만성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나타나며 복통, 발열, 체중 감소 동반: 장결핵 의심.
    • 대변이 가늘고 작으며 염소 똥처럼 끊어져 나오는 경우: 결장의 경련 또는 과민성 결장 의심.

특이사항:

  • 결장암/직장암 의심: 중노년에서 갑작스러운 진행성 변비, 대변 가늘어짐, 혈변.
  • 장폐색 의심: 변비와 급성 복통, 복부 팽창, 구토 동반.
  • 장결핵 의심: 만성 변비와 설사 교대, 복통, 발열, 체중 감소.

(3) 부교감신경 활동 억제에 따른 변비

부교감신경 활동이 억제되면서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척추의 병변
    • 척추 이상으로 인해 부교감신경 활동이 저하됩니다.
  2. 중독
    • 납, 비소, 수은, 인 등의 중독으로 변비가 발생.
  3. 장 유동운동 약화
    • 직장점막 충혈, 배변반사신경 소실 등으로 장의 연동운동이 약화되어 대변 이동이 어려워집니다.
  4. 직장점막 충혈 및 배변반사신경 소실
    • 직장 점막의 충혈이나 배변 반사신경 손실로 인해 변비가 발생.
  5. 약물 복용
    • 특정 약물이 부교감신경이 억제되어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수산화알루미늄
      • 테라마이신(Terramycin)
      •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 클로로마이세틴(Chloromycetin)

연결 링크(클릭)

👉 변비 치료 혈자리 링크

2) 설사(泄瀉)

정의: 대변 횟수가 많아지고 변이 묽으며 점액이나 농혈이 섞여 나오는 상태.
원인: 장점막의 분비 및 흡수 장애, 장의 유동운동 과도.

(1) 주요 원인

  • 감염성 질환: 급성·만성 장염, 이질(세균성/아메바성), 살모넬라 감염.
  • 내분비 및 대사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위장 호르몬 이상.
  • 급성 중독: 독성 물질(복어 독, 동유(桐油)) 섭취.
  • 음식물 문제: 체질에 맞지 않는 음식 섭취(음식 알레르기), 감기로 인한 소화불량.

(2) 설사의 유형

유형 특징
급성 설사 갑작스러운 설사, 짧은 기간 동안 횟수 많음.
만성 설사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지속, 횟수 적음.

(3) 설사와 복통의 관계

복통 위치가능한 원인
배꼽 주위호염균 오염 음식물 중독
왼쪽 아랫배세균성 이질
오른쪽 아랫배아메바성 이질, 장결핵
상복부 중앙장위염
설사 후 복통 완화장염, 장결핵
설사 후에도 복통 지속이질

(4) 기타 설사 관련 특이사항

  • 복부 종괴: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지면 장내 종양 의심.
  • 간·비장 비대: 흡혈충병 의심(흡혈충병 유행 지역 거주자).
  • 급성 설사 + 발열: 장 세균 감염, 음식물 중독, 살모넬라 감염.
  • 만성 설사 + 발열: 만성 세균성 이질, 아메바성 이질, 흡혈충병, 장결핵, 결장암.

연결 링크(클릭)

👉 설사 치료 혈자리 링크

용어 해설

  1. 기질성(器質性): 장기 구조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병증을 의미.
  2. 사하제(瀉下劑): 대변을 부드럽게 하거나 배변을 촉진하는 약물.
  3. 이급후중(裊急後重): 배변 후에도 잔변감이 남아 불편한 상태.
  4. 항열(肛裂): 항문 부위의 열상(찢어진 상처).
  5. 흡혈충병(吸血蟲病): 흡혈충에 감염되어 간과 비장이 비대해지는 기생충 질환.

변비와 설사 요약

  • 변비와 설사는 대변 횟수와 상태의 변화를 기준으로 진단하며, 각각 기능성 및 기질성 원인으로 나뉜다.
  • 변비는 주로 식습관, 배변 습관, 신경 활동 억제 등으로 발생하며, 설사는 감염성 질환, 음식물 문제, 내분비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 병증의 특성과 동반 증상을 통해 기저 질환(결장암, 장결핵 등)을 의심할 수 있다.

[4] 배변 습관의 변화

  • 정상적인 배변 습관: 각 개인마다 일정한 패턴을 유지.
  • 이상 증상:
    • 하루에 한 번 대변을 보던 사람이 갑자기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나타남.
    • 이급후중(변을 봐도 잔변감이 남아있는 상태)이 동반되면 대장암 가능성 의심.

동양의학에서 망진

망진법(望診法)은 동양의학에서 대변, 소변, 피부 등 신체 외부의 변화를 관찰하여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대변은 소화기와 전신 건강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로, 형태, 색깔, 냄새, 횟수 등을 통해 내부 장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묽은 대변은 소화 불량이나 장염을, 단단한 대변은 변비나 체내 열의 과다를 암시하며, 점액이나 혈변은 염증성 질환이나 암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망진법은 이러한 대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질병의 원인을 찾고,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망진법(望診法)은 동양의학에서 환자의 외부적인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건강 상태와 질병의 원인을 진단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사진법(四診法)—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의 첫 번째 단계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신체의 변화를 통해 내부 장부의 이상을 파악합니다.

주요 관찰 대상

  1. 얼굴 및 피부 상태
    • 얼굴빛과 피부의 색조, 윤기, 건조함 등을 통해 기혈(氣血)의 순환 상태와 장부의 기능을 평가합니다.
    • 예를 들어, 얼굴이 창백하면 혈허(血虛)나 기허(氣虛)를 의심할 수 있고, 붉은 기운이 강하면 열증(熱症)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혀(설진, 舌診)
    • 혀의 색깔, 모양, 백태(설태)의 두께와 색상 등을 관찰하여 몸의 음양(陰陽)과 장부 상태를 분석합니다.
    • 예를 들어, 혀가 붉고 설태가 얇으면 열증, 혀가 창백하고 설태가 두꺼우면 한증(寒症)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눈빛과 표정
    • 눈빛의 맑음과 흐림, 표정의 생기 유무를 통해 정신 상태(신지, 神志)와 몸의 전반적인 건강을 확인합니다.
    • 눈빛이 흐리거나 생기가 없으면 기력이 쇠한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4. 체형과 움직임
    • 체형의 비만, 마름, 자세, 걸음걸이 등을 관찰하여 기운의 흐름과 장부의 균형을 진단합니다.
    • 예를 들어, 몸이 지나치게 마른 경우 음허(陰虛)를, 비만한 경우 습담(濕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5. 분비물과 배설물
    • 대변, 소변, 땀, 코 점액 등의 상태를 관찰하여 장부 기능과 몸의 균형 상태를 평가합니다.
    • 대변이 묽거나 단단한 경우, 소변의 색깔과 냄새, 땀의 과다 여부 등은 각각 비장, 신장, 폐의 건강 상태를 나타냅니다.
  6. 머리카락과 손톱
    • 머리카락의 윤기와 손톱의 색깔, 모양 등을 통해 혈액 순환과 영양 상태를 확인합니다.
    • 머리카락이 푸석하거나 손톱이 창백하면 혈허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망진법의 특징

  • 비침습적 진단: 환자의 신체를 직접 만지지 않고 외부 관찰만으로 진단이 이루어지므로 부담이 적습니다.
  • 종합적 접근: 단순히 한 가지 증상만 보지 않고, 신체의 다양한 외부 징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몸 전체의 균형 상태를 평가합니다.
  • 내부 장부와의 연결: 외부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내부 장부의 이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망진법의 활용

망진법은 특히 초기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가 구체적으로 증상을 설명하지 못하거나, 증상이 내부 장기의 이상으로 인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을 때, 망진법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 얼굴빛이 노랗고 피곤해 보이는 경우: 비위(脾胃)의 기능 저하를 의심.
  • 혀가 붉고 설태가 얇은 경우: 체내 열이 과도하거나 음허 상태.
  • 대변이 묽고 잦은 경우: 비장 기능 약화나 장염 가능성.

망진법의 한계

망진법은 외부적인 증상을 관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내부 장기의 세부적인 상태나 복잡한 병변을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진, 절진 등 다른 진단법과 함께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책

책제목 :망진 望診  황제내경과 서양의학이 만났다

똥(대변)을 통한 진단 1

저자: 팽청화 저 / 이상룡김종석 공역
정보청홍 | 2007년 08월 29일  | 33,000원 | yes24링크
[요약] 이 책은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수집한 광범위한 망진 관련 연구의 기초 위에 임상진단을 결합하고 과학적인 정리분석과 연구를 거쳐 머리에서 발끝까지 신체의 각 조직과 기관에 대한 망진법(望診法)을 체계적으로 논술했으며, 수천 가지의 망진에 의한 질병 진단방법을 소개하였다
별점
4.7

 

관련 글

사진법(四診法)

다른 사람의 댓글

댓글 작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