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중표(裏中表)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리중표(裏中表)인체의 구조적 및 병리적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주로 인체의 각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병리적 상태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설명합니다. 앞 글에서 설명했던 개합추(開闔樞)와의 관계도 추가적으로 설명합니다.

리중표(裏中表)란 무엇인가?

침뜸 치료혈 취혈시 통상 표리관계, 동기관계(동일 명칭의 경락), 교삼합관계(12경락 유주표에서 대각선 방향 경락)에 있는 혈을 취혈하여  상하좌우 균형있게 자침합니다.

리중표는 사기의 침투과정을 알려주는 것으로 통상 사기는 양(표) -> 음(리)로 오고, 양에서는 태양경에 가장 먼저 영향을 미치고 다음에 소양경 또는 양명경으로 심화되며, 이후 태음경으로 옮아 간다는 것입니다. (사기가 강할 경우 태양경에서 바로 태음경으로 속전속결 침투하는 경우도 흔하다고 하네요.) 

사기가 소음경에 까지 침투하면 심각한 양상이 됩니다. 몸속에서 사기와 정기가 치열한 공방을 펼치게 되죠. 이단계에 있는 환자는 구토, 설사, 고열, 헛소리 등 거의 반죽음 상태에 빠집니다. 사기와 정기의 전투에서 다행히 정기가 승리하면 몸이 가뿐하게 쾌차하고 몸의 잔병이 떠나가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사기가 승리하면 이 때도 몸이 약화된 상태가 되지만 어느 정도 안정이 됩니다. 그러나 언뜻 안정화 된 것같지만 가장 심각한 궐음병으로 전이가 된 상태입니다. 즉 오장의 기혈을 약화시키는 만성병이 된 것입니다.

병의 치유 과정은 심화 과정의 역순이 된다고 합니다. 궐음병 -> 소음병 -> 태음병 순이되지요. 이 때 주의할 점은 궐음병, 소음병 등에서 효과가 높았던 처방이 전혀 먹히지 않는 단계가 온다는 것입니다. 즉 치유과정에서 사기가 양명경으로 옮아간 상태인데 소음경이나 태음경 치료를 하고 있다면 효과가 나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이치지요.

따라서 병이 옮아 다니는 과정의 길목에서 치료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고 이에 따라 리중표를 이용한 처방법이 나온 것입니다. 후한의 장중경이 지었다는 “상한론“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개합추(開闔樞)와 리중표(裏中表)

개합추(開闔樞)와 리중표(裏中表)는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생리적 균형과 병리적 상태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들입니다. 이 두 개념은 인체의 기(氣)와 에너지 흐름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데 있어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개합추(開闔樞) 개념

개합추는 인체의 기(氣)와 에너지의 운동과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주로 기의 흐름과 그 조절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합니다.

개합추는 주로 기의 동적 변화를 설명하며, 인체의 기가 어떻게 외부와 내부를 오가며 균형을 유지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리중표(裏中表) 개념

리중표는 인체의 구조적 및 병리적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주로 인체의 각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병리적 상태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설명합니다.

리중표는 주로 인체의 구조적 구분과 그에 따른 병리적 상태를 설명하며, 병이 인체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표면적 vs. 내부적)에 따라 치료 접근법이 달라집니다.

개합추와 리중표의 관계

개합추와 리중표는 인체의 에너지 흐름과 균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집니다.

개(開)와 표(表):

개는 외부로 향하는 기의 확산과 방어를 주관하며, 이는 표와 관련이 깊습니다. 표는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첫 번째 방어선으로, 외부의 병사(病邪)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합(闔)와 리(裏):

합은 내부로 향하는 기의 수렴과 저장을 담당하며, 이는 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리는 인체 내부의 장기와 깊숙한 조직을 포함하며, 내부의 에너지 저장과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樞)와 중(中):

추는 개와 합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며, 이는 중과 관련이 있습니다. 중은 리와 표 사이의 중간 영역으로, 경락을 통해 에너지를 조절하고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개합추와 리중표는 모두 인체의 에너지 흐름과 균형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들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개합추는 기의 확산, 수렴, 중재를 통해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며, 리중표는 인체의 내부와 외부, 그리고 그 사이의 중간 영역을 통해 에너지의 흐름과 방어를 설명합니다. 이 두 개념을 통해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과정과 병리적 상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개합추와 리중표의 개념의 차이

초점:

  • 개합추는 기의 운동과 변화를 중심으로 인체의 에너지 흐름과 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 리중표는 인체의 구조적 구분과 병리적 상태를 중심으로 인체의 각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병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적용 방식:

  • 개합추는 기의 동적 변화와 조절을 통해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리중표는 병의 위치와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설명 범위:

  • 개합추는 기의 흐름과 그 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리중표는 병리적 상태와 그에 따른 치료 접근법을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보완적이며,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및 병리적 상태를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삼음삼양/육경변증/외사침입순서/개합추/리중표

삼음삼양은 음양과 오행처럼 인체와 자연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틀이면서 동시에 육기와 육경과 같은 구체적인 체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인체의 생리적, 병리적 상태를 설명하고 치료하는 데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육경변증에서 육경(3음경+3양경 : 태양,양명,소양, 태음,소음,궐음)의 전변순서, 그리고 외사가 육경에 침입하는 순서는 비슷한 듯 차이가 있어서 혼동을 일으킨다.

또한, 개합추의 개념과 리중표의 개념과 3양-2양-1양/3음-2음-1음의 위치와 순서 관계를 종합적으로 통합적으로 연결해서, 혼돈 없이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연결 링크(클릭)

삼음삼양에 대해서는 링크 참조

통합이해 이미지

삼음삼양-리중표-외사침입순서-표중리2

통합 이미지 해설

일단 우리 손목 부분을 보면, 3음경과 3양경의 위치를 명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의 위치와 순서 개념은 암기하고 있는 것이 좋다.) 그래서 손목 위치를 기본 개념으로 육경의 전변 순서와 외사가 육경에 침범하는 순서를 한 눈에 비교/구분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 보았다. (손목 부분을 기반으로 설명한 이유는, 눈에 보면서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아서 누구나 손쉽게 볼 수 있는 손목 부분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손목 부분이 6경의 흐름 위치가 명확하기도 해서 순서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편리한 점도 있고, 6경의 흐름 위치도 확실히 기억하면 좋다.)

일단은, 손등쪽 부분(3양경)의 경락의 흐름을 보면, (3양)수태양소장경(2양)수양병대장경(1양)수소양삼초경이 있다. 그리고 손바닥쪽 (3음경)의 경락의 흐름을 보면 (3음)수태음폐경(2음)수소음심경(1음)수궐음심포경이 있다.

또한, 3음3양의 깊이를 보면(리/중/표), 양경은 양명경이 리(裏,제일 안쪽 깊은 곳)이고 음경은 궐음경이 리(裏,깊은곳)에 있다. 리중표는 경락의 깊이로 구분된다.

양경의 경우(손등쪽)은, [2양-양명경]이 엄지쪽에 있으면서 제일 깊은(裏) (양경)경락이다.. 음경의 경우(손바닥쪽)은 손목 가운데 [1음-궐음경]이 제일 깊은(裏) (음경)경락이다. 즉 양경은 2양이 리(裏)이고, 음경은 1음이 리(裏)이다. 리(裏)의 경락[육경]의 위치를 눈여겨 살펴보자.

육경변증에서 전변 순서와 육경의 외사 침입 순서는 아래와 같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

육경변증 전변 순서 : 리중표(裏中表) 1
육경의 외사 침입 순서 : 리중표(裏中表) 2
완관절(손목관절)에 있는 경혈 외우는 순서

관절 부분에 있는 경혈은 곡-양지계’ 과 ‘태연신문대릉이다. (, 태연-신문-대릉)

그리고 이 경혈의 순서는 육경의 외사침입 순서이기도 하고 양경, 음경 각각의 “표-중-리” 순서이기도하다. 그래서 장부상통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손목 부분의 경혈을 외운다면 가능하면 이 순서를 기억해서 외우면 좋다. 경혈의 위치도 같이 외우면 좋다.
https://okepapa.com/is0302-p/

볼 때마다 혼돈이 있어서 정리해 보았다.

이 그림을 기준으로 전변순서, 외사침입순서, 육경의 손명상의 위치를, 리중표의 깊이를 같이 기억하면, 앞으로 혼돈은 사라질 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전변순서는 3양(태양)→2양(양명)→1음(소양)→3음(태음)→2음(소음)→1음(궐음)의 순서이다. 즉, 양3→2→1→음3→2→1 순서이다. (아마도, 3음3양의 생성 순서가 1음→2음→3음→1양→2양→3양이고 전변순서는 그 역순이 되는 것이라 생각해 본다)

외사침입순서장부상통과 관련이 있다. 즉 전변순서(3-2-1)와 달리 외사침입 순서는 각3음3양이 깊이 순서(표→중→리)가 기준이 된다. 그리고 외사 침입도 양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양(:태양→:소양→:양명)→음(:태음→중:소음→:궐음)의 순서가 되는 것이다.

“리중표”라는 이름이 순서를 기억하는데 별 도움이 안되는 순서라는 생각이 든다. 순서를 외우기 위해서는 “표→중→리”의 순서로 기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겉의 표(表)쪽에서 중간(中) 부분을 거처 안의 리(裏)쪽으로 들어가는 순서가 자연스럽다. 그래서 “표/중/리“로 일단 기억하기로 한다.

전변순서와 외사칩입순서 세부 분석

전변순서와 외사침입순서를 리중표로 해석해서 보면, 양경의 전변순서만 예외적으로 “표/리/중”이다. 나머지 양경의 외사침입 순서나 음경의 전변순서 및 외사침입 순서는 모두 다 “표/중/리”이다. 결론적으로 전변순서는 리중표 개념과 상관이 없다. 따라서 전변순서는 3→2→1을 기억하고, 외사침입순서는 “표→중→리”를 기억하면 된다.

얄궂은 것은 손등쪽와 손바닥쪽의 리(裏)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서 헷갈리지만 어쩔 수 없다. 그건 외우는 수밖에! 손등쪽과 손바닥쪽 을 바라보고 반복적으로 순서를 외워보면, 익숙해 진다. 손목만 처다보면 육경의 위치가 순서와 위치 개념을 포함해서 반복해서 외워서 익숙해 지도록 해보자. 지금 한 번 확실히 외워두면 평생 안 헷갈린다. 지금 대강 넘어가면, 앞으로 평생 헷갈린다. ^^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관련 글

삼음삼양(三陰三陽)

개합추(開闔樞)

장부상통(臟腑相通) 관계

[키워드] #삼음삼양 #개합추 #리중표 #장부상통 #3음3양 #육경변증 #외사침입순서 #전변순서


[mc4wp_form id=9589]
댓글 정말 환영합니다. 😊
댓글로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 함께 공유해요. 🤩
댓글로 알려주시는 정보를 보기 좋게 정리하고 쉽게 검색될 수 있게 구성해서 활용성을 높이겠습니다.
더 도움되는 컨텐츠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