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과 어깨 통증은 현대인의 흔한 고민으로, 이를 유발하는 경견완 증후군과 견비통(肩臂痛)은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지닙니다. 경추증, 흉곽출구 증후군, 견관절 주위염 등은 신경, 근육, 인대의 문제로 발생하며, 특히 오십견, 상완이두근 건초염, 건염, 활액낭염 등은 어깨의 움직임과 통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각각의 질환은 특징적인 증상과 치료법을 가지며,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주요 원인, 관련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 봅니다.
경견완(頸肩腕) 증후군
경견완(頸肩腕) 증후군은 목(頸), 어깨(肩), 팔(腕) 부위에 걸쳐 나타나는 통증과 불편감을 통칭하는 증후군으로, 주로 신경, 근육, 인대, 관절 등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흔히 잘못된 자세, 과도한 근육 사용, 스트레스, 또는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 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과 어깨의 뻣뻣함, 통증, 팔 저림, 운동 제한 등이 있으며, 경추증, 흉곽출구 증후군, 오십견 등이 대표적인 원인 질환에 해당합니다.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에 중요합니다.
경견완(頸肩腕, Cervicobrachial)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완신경총(上腕神經叢, Brachial Plexus), 자율신경(自律神經, Autonomic Nervous System), 또는 혈관(血管, Blood Vessel)이 자극되어 경부(頸部, Neck), 견부(肩部, Shoulder), 그리고 상지(上肢, Upper Limb)에 통증, 마비감, 지각 둔마,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 좁은 의미의 경견완 증후군: 타각적 소견이 없고, 원인 질환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 넓은 의미의 경견완 증후군: 타각적 소견을 통해 원인 질환을 밝힐 수 있는 경우.
1. 경추증(頸椎症)
경추증(頸椎症, Cervical Spondylosis)
특징
- 경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중장년층 이상에서 나타남.
- 추간판(椎間板, Intervertebral Disc)의 퇴행성 변화와 골극(骨棘, Osteophyte) 형성을 동반.
- 신경근(神經根, Nerve Root) 또는 척수(脊髓, Spinal Cord)가 압박되면서 증상이 나타남.
주요 증상
- 경부(頸部, Neck)와 견부(Shoulder)의 결림 및 국소 통증.
- 방사통(放射痛, Radiating Pain): 상지(Upper Limb)로 방사되는 통증.
- 심한 경우, 근위축(筋萎縮, Muscle Atrophy), 마비(Paralysis), 감각 둔화.
질환 설명
- 변형성 경추증(變形性 頸椎症, Degenerative Cervical Spondylosis)
① 40세 이상에서 흔하며, 55세 이상에서는 80% 이상 나타남.
② 증상: 경부와 견부의 결림, 국소 통증.
③ 주로 C5~C6 사이에서 발생(C6~C7, C4~C5 순). - 경추추간판 탈출증(頸椎椎間板 脫出症, Cervical Disc Herniation)
① 추간판의 변성과 외상으로 발생.
② 고령자에게 많고 서서히 진행됨.
③ 증상: 상지 통증, 마비, 감각 장애, 근위축.
④ 심한 경우 하지 운동 장애, 배뇨/배변 장애 발생.
⑤ 검사: 추간공 압박 검사, 과신전 압박 검사에서 양성 반응.
관련된 근육
- 사각근(斜角筋, Scalene Muscles): 경추 주변 근육으로 신경 압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승모근(僧帽筋, Trapezius) 및 견갑거근(肩胛擧筋, Levator Scapulae): 경부와 견부의 긴장과 통증에 관련.
치료 방안
- 침뜸치료: 침뜸 치료를 통해 치료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 물리치료: 경추 주변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
- 약물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와 근이완제를 사용.
- 운동치료: 자세 교정 및 경추 안정화를 위한 운동.
- 심한 경우: 신경 압박이 지속되면 수술(예: 전방 경추 유합술)이 필요.
2. 흉곽출구 증후군(胸廓出口 症候群)
흉곽출구 증후군(胸廓出口 症候群, Thoracic Outlet Syndrome)
특징
- 흉곽 출구 부위에서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또는 혈관(주로 쇄골하 동맥)이 압박되어 발생.
- 구조적 이상(경늑골, 흉쇄근 긴장) 또는 자세 문제(거북목, 어깨의 과도한 긴장)로 인해 나타남.
주요 증상
- 상지의 저림, 통증, 감각 저하.
- 손가락 끝까지 방사되는 통증(특히 4, 5번째 손가락).
- 심한 경우 혈관 압박으로 인해 상지의 차가움, 창백함, 부종.
질환 설명
- 흉곽출구 증후군(胸廓出口 症候群, Thoracic Outlet Syndrome)
- 상완신경총이나 혈관이 흉곽 출구에서 압박을 받을 때 발생.
- 증상: 상지의 저림, 통증, 감각 저하, 근력 약화.
관련된 근육
- 전사각근(前斜角筋, Anterior Scalene) 및 중사각근(中斜角筋, Middle Scalene): 신경과 혈관이 이 근육 사이를 통과.
- 소흉근(小胸筋, Pectoralis Minor): 긴장 시 신경과 혈관을 압박할 수 있음.
치료 방안
- 침뜸치료: 침뜸 치료를 통해 치료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 자세 교정: 거북목이나 어깨의 과도한 긴장을 완화.
-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 흉곽 출구를 넓히고 근육 긴장을 완화.
- 물리치료: 근막 이완, 도수 치료.
- 심한 경우: 경늑골 제거술 등 수술적 치료.
3. 견관절 주위염(肩關節 周圍炎): 견비통(肩臂痛)
견관절 주위염(肩關節 周圍炎, Periarthritis of Shoulder Joint): 견비통(肩臂痛, Shoulder and Arm Pain)
특징
- 흔히 오십견(Frozen Shoulder)으로 알려진 질환으로, 어깨 관절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운동 제한과 통증이 발생.
- 어깨의 과사용, 외상, 또는 노화로 인해 발생.
주요 증상
- 어깨 관절의 운동 제한: 특히 외회전과 외전 동작이 어려움.
- 야간 통증: 밤에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음.
- 어깨와 팔로 방사되는 통증.
질환 설명
- 견관절 주위염(肩關節 周圍炎, Periarthritis of Shoulder Joint)
- 흔히 견비통(肩臂痛, Shoulder and Arm Pain)으로 나타남.
- 어깨 관절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통증 및 운동 제한 발생.
관련된 근육
- 회전근개(回旋筋蓋, Rotator Cuff):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견갑하근(Subscapularis).
- 삼각근(三角筋, Deltoid): 어깨 관절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
치료 방안
- 침뜸치료: 침뜸 치료를 통해 좋은 치료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아래쪽에서 세부 설명)
- 물리치료: 온열 치료, 초음파 치료로 염증 완화.
- 운동치료: 어깨 관절의 가동 범위를 회복하기 위한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
- 약물치료: 소염제(NSAIDs)와 스테로이드 주사.
- 심한 경우: 관절경 수술로 유착된 조직 제거.
4. 후종인대(後縱靭帶) 및 황색인대(黃色靭帶)의 골화증 및 비후증
후종인대(後縱靭帶,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및 황색인대(黃色靭帶, Ligamentum Flavum)의 골화증 및 비후증
특징
- 후종인대 골화증(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후종인대가 딱딱하게 변하면서 신경을 압박.
- 황색인대 비후증(Hypertrophy of Ligamentum Flavum): 황색인대가 두꺼워져 신경 압박을 유발.
- 주로 50대 이상의 남성에서 발생하며, 척추에 과도한 부하가 원인.
주요 증상
- 초기: 목 부위 통증, 위화감, 압박감.
- 진행: 팔과 손의 저림, 통증, 감각 저하, 근력 약화.
- 심한 경우: 다리 근력 저하, 보행 장애, 배뇨/배변 장애, 사지 마비.
질환 설명
- 후종인대 골화증(後縱靭帶 骨化症,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① 주로 50대 남성에서 발생.
② 증상: 목 통증, 팔/손의 저림,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보행 장애, 배뇨/배변 장애. - 황색인대 비후증(黃色靭帶 肥厚症, Hypertrophy of Ligamentum Flavum)
① 중노동자나 척추에 부하가 많은 사람에게 발생.
② 증상: 후종인대 골화증과 유사.
관련된 근육
- 척추 기립근(脊椎 起立筋, Erector Spinae): 척추 안정성과 관련.
- 승모근(僧帽筋, Trapezius) 및 견갑거근(肩胛擧筋, Levator Scapulae): 경부와 견부의 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음.
치료 방안
- 침뜸치료: 침뜸 치료를 통해 치료 및 통증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 보존적 치료: 물리치료로 근육 긴장 완화, 자세 교정.
- 약물치료: 소염제와 근이완제 사용.
- 운동치료: 신경 압박을 줄이고 척추를 안정화시키는 운동.
- 심한 경우: 신경 압박이 심하면 수술(예: 후궁 절제술)이 필요.
견관절주위염: 견비통(肩臂痛) 7가지 정리
견비통(肩臂痛, Shoulder and Arm Pain)
[1] 오십견(五十肩)
오십견(五十肩, Frozen Shoulder)
특징:
- 퇴행성 변화와 외상, 감기, 한랭 등이 원인이 되어 견관절(肩關節, Shoulder Joint) 주위 조직에 염증이 생김.
- 50대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운동 제한 및 통증이 주 증상.
주요 증상:
- 운동제한: 견관절의 유착 및 근육 구축으로 외전, 신전, 굴곡 등 운동이 제한됨.
- 통증: 급성(1주일 정도) 통증은 치료 효과가 좋지만, 만성(수개월) 통증은 치료가 어려움.
감별:
① 건(특히 극상근)의 퇴행성 변성·만성염증·석회침착 등이 나타난다.
② 견봉하 활액낭의 염증·변성·유착이 나타난다.
③ 상완이두근 장두건의 염증·변성·결절간구에서의 유착이 나타난다.
④ 관절낭의 염증·유착이 나타난다.
⑤ 근육 움직임의 정지에 의한 견관절 주위근의 구축이 나타난다.
치료효과가 잘 나타나는 증상:
- 통증으로 인해 움직일 수 없는 경우
- 급성(1주일 정도)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
치료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 증상:
- 통증보다도 기질적인 운동제한이 있는 경우
- 만성(수개월)이며, 통증으로 인해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치료 방법:
- 침구치료:
- 압통이 느껴지는 건(腱, Tendon), 인대(靭帶, Ligament), 근육(筋肉, Muscle)에 자침.
- 견관절 운동 중 나타나는 압통점이나 반응점에 자침. (외전위, 신전위, 굴곡위, 견관절수평위 내전, 견관절수평위 외전, 결발위(結髮位))
- 자침은 이환된 건이나 인대, 근을 긴장시켜 조금 통증이 나타나는 자세에서 반응을 살펴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운동치료:
- 견관절 운동을 통해 활동 범위를 확대.
- 치료혈:
견삼침(肩三針)
견삼침(肩三針)은 어깨 질환 치료에 자주 사용되는 침구 치료 기법으로, 어깨 부위의 특정 혈자리 세 곳에 침을 놓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는 어깨 통증, 운동 제한, 염증 등 다양한 어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견삼침의 주요 혈자리
- 견우(肩髃)
- 위치: 어깨 관절 앞쪽, 견봉과 상완골 사이.
- 효과: 어깨 통증 완화, 어깨 관절 운동 개선.
- 견료(肩髎)
- 위치: 어깨 뒤쪽, 견봉과 삼각근 부위.
- 효과: 어깨와 팔의 통증 완화, 국소 염증 해소.
- 견정(肩貞)
- 위치: 어깨 뒤아래쪽, 견갑골 부근.
- 효과: 어깨 관절 안정화, 근육 긴장 완화.
견삼침의 특징
- 어깨 주변의 경락(經絡)과 관련된 혈자리를 자극하여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특히 오십견, 건염, 활액낭염 등 어깨 부위의 다양한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 침을 놓는 동안 어깨 운동을 병행하면 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순경취혈(循經取穴)
순경취혈(循經取穴)이란 동양의학에서 경락(經絡)을 따라 혈자리를 선택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는 경락 이론에 기반하여, 질병이 발생한 부위와 연결된 경락의 흐름을 따라 적절한 혈자리를 취해 자극함으로써 기혈 순환을 원활히 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입니다.
순경취혈의 원리
- 경락의 흐름을 따라 치료:
- 인체에는 12정경(正經)과 기경팔맥(奇經八脈) 등 다양한 경락이 있으며, 각 경락은 특정 장부 및 신체 부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질병이 발생한 부위와 관련된 경락을 따라 혈자리를 선택하여 치료합니다.
- 기혈 순환 조절:
- 경락을 따라 혈자리를 자극하면 막힌 기혈의 흐름을 풀어주고,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며, 신체 균형을 회복합니다.
- 환측(患側):
- ‘환측’이란 질병이 발생한 쪽(통증이나 문제 부위)을 뜻하며, 순경취혈은 주로 문제 부위와 연결된 경락을 따라 혈자리를 선택합니다.
순경취혈의 예시
- 어깨 통증:
어깨 통증이 있다면, 어깨와 관련된 경락인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또는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을 따라 견우(肩髃), 견료(肩髎), 천종(天宗) 등의 혈자리를 취합니다. - 허리 통증:
허리 통증이 있을 경우,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을 따라 위중(委中), 신수(腎兪) 등의 혈자리를 선택합니다.
[2] 상완이두근 장두건 건초염(上腕二頭筋 長頭腱 腱鞘炎)
상완이두근 장두건 건초염(上腕二頭筋 長頭腱 腱鞘炎, Bicipital Tendinitis)
특징:
- 상완이두근 장두건(Long Head of Biceps Tendon)이 결절간구(結節間溝, Bicipital Groove)에서 염증 발생.
- 야간통과 압통이 주요 증상.
주요 증상:
- 압통: 결절간구 상하 부위에서 나타남.
- 운동통: 장두건이 수축하거나 신장될 때 통증 발생.
치료 방법:
- 압통점 자침:
- 결절간구 부위에 가벼운 자침(작탁술).
- 여러 압통점이 있을 경우, 투자(透刺)하듯 횡자.
- 치료혈:
- 오십견 치료혈 참고.
- 압통점 및 TrP(통증유발점) 활용.
- 뜸 및 피내침:
- 국소 염증 완화를 위해 사용.
자침 방법
1) 결절간 구부 상하의 장두건부 압통에 가벼운 작탁(하사자 또는 직자)
2) 압통이 몇군데 있을 경우는 투자하듯 횡자
[3] 건염(腱炎)
건염(腱炎, Tendinitis)
특징:
- 건(腱, Tendon) 부위(대결절, 소결절)에서 염증 발생.
- 극상근건(極上筋腱, Supraspinatus Tendon)이 가장 흔히 영향을 받음.
- 석회침착성 건염(Calcific Tendinitis)은 극상근건에 석회 침착으로 격렬한 통증 유발.
주요 증상:
- 자발통: 운동 시 통증이 증가하며, 국소 압통이 나타남.
- 운동제한: 통증으로 인한 근경축으로 제한 발생.
- 석회침착성 건염은 X-선으로 확인 가능하며, 외과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음.
치료 방법:
- 압통점 자침:
- 치료혈:
- 외과적 치료:
- 석회 제거가 필요한 경우 외과적 처치.
[4] 오훼돌기염(烏喙突起炎)
오훼돌기염(烏喙突起炎, Coracoiditis)
특징:
- 오훼돌기(烏喙突起, Coracoid Process)에 부착된 인대와 근육의 염증으로 발생.
- 골막, 인대, 건에 염증이 잘 생김.
주요 증상:
- 자발통: 오훼돌기 부위에서 나타남.
- 운동통: 운동 시 통증이 있지만 운동제한은 없음.
치료 방법:
- 압통점 자침:
- 오훼돌기 부위와 주변 압통점에 자침.
- 뜸 및 피내침:
- 염증 완화 및 통증 경감.
- 치료혈:
- 오십견 치료혈 참고.
[5] 활액낭염(滑液囊炎)
활액낭염(滑液囊炎, Bursitis)
특징:
- 견봉하 활액낭(Subacromial Bursa)에 염증 발생.
- 건염과 증상이 유사하나, 활액낭염은 압통 위치가 이동하지 않음.
주요 증상:
- 염증 증상: 종창, 발적, 열감.
- 자발통 및 운동통: 상지 운동 시 통증 발생.
- 압통: 대결절, 소결절 이동에도 압통 위치는 고정.
치료 방법:
[6] 관절낭인대 장애(關節囊靭帶 障碍)
관절낭인대 장애(關節囊靭帶 障碍, Capsular Ligament Dysfunction)
특징:
- 타박(打撲, Contusion)이나 염좌(捻挫, Sprain)로 염증 발생.
- 인대가 늘어나 관절 고정이 어려워짐.
주요 증상:
- 운동통: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투구 동작 시 통증.
- 압통: 앞쪽 관절 틈새 부위에서 압통.
- 관절 요동: 상지를 들어 올릴 때 관절의 불안정성.
치료 방법:
- 압통점 자침:
- 견관절 앞쪽 관절 틈새를 중심으로 자침.
- 치료혈:
- 오십견 치료혈 참고.
[7] 견갑상신경 교액 장애(肩胛上神經 絞扼 障碍)
견갑상신경 교액 장애(肩胛上神經 絞扼 障碍, Suprascapular Nerve Entrapment)
특징:
- 견갑절흔(肩胛切痕, Suprascapular Notch)에서 상견갑횡인대(Superior Transverse Scapular Ligament)에 의해 신경이 압박됨.
- 장기화되면 극상근(極上筋, Supraspinatus)과 극하근(極下筋, Infraspinatus) 위축.
주요 증상:
- 둔통(鈍痛): 견갑부 및 견관절 부위에 깊은 통증.
- 야간통: 안정 시 또는 야간에 통증 심화.
- 방산통: Tinel 징후(견갑절흔부 압박 시 방사통).
치료 방법:
- 자침:
- 치료혈:
관련 글
피부분절과 감각의 연결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