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병인(病因)이라 한다. 병인은 다양하며 분류방법 또한 다양하지만, 크게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발성병인에는 ① 외감병인[外因]병인, ② 내상병인[內因], ③ 기타병인[不內外因]이 있고, 속발성병인에는 ① 담음(痰飮)과 ② 어혈(瘀血)이 있다. 이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에 대해서 알아 본다.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에는 ①외감병인[외인], ②내상병인[내인], ③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인 외상, 중독, 충수상(蟲獸傷), 약물의 부작용, 선천성인자(유전병)에 대해서 알아 본다.
續發性 病因 (속발성 병인)
속발성병인?
: 원발병으로 인하여 생긴, 병리의 산물에 의해 형성된 병인.
원발성 병인에 의해서 장부의 기능실조로 인해 병리의 산물(담음, 어혈)이 만들어 지고, 이 원발병으로 인하여 생긴 병리의 산물이 또다른 병의 원인(병인)이 된다.
① 담음(痰飮)
: 수액의 대사장애로 물(水)이 쌓이면 음(飮)이 되고, 음(飮)이 엉키면 담(痰)이 된다. 이처럼 수액이 정상적으로 분포, 유통되지 못하면 담음(痰飮)이 형성되어 새로운 질병을 일으킨다.
[속발성병인①] 담음(痰飮)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은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으로 인하여 생긴 병리의 산물에 의해 형성된 병인으로,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에는 ①담음(痰飮)과 ②어혈(瘀血)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담음(痰飮)에 대해서 알아 본다.
② 어혈(瘀血)
: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면 점점 어체되어 ‘어혈(瘀血)‘이 생긴다.
[속발성병인②] 어혈(瘀血)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은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으로 인하여 생긴 병리의 산물에 의해 형성된 병인으로,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에는 ①담음(痰飮)과 ②어혈(瘀血)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어혈(瘀血)에 대해서 알아 본다.
병인관
침뜸의학의 병인관은 음양론에 근거
침뜸의학에서는 병인관을 음양론에 근거하고 있다.
질병은 “사”의 침법으로 발생하고, 이 “사”가운데 양에 속하는 것은 육음(六淫) 등의 외감성 인자이며, 음에 속하는 것은 칠정과 노권상 등의 내상성 인자라고 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후에 장중경을 거쳐 진무택에 의해 내인(內因), 외인(外因), 불내외인(不內外因)의 삼인학설로 발전하였다.
관련글 링크
[원발성병인①] 외감병인: 육음/여기
[원발성병인①] 외감병인: 육음/여기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에는 ①외감병인[외인], ②내상병인[내인], ③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외감병인(外感病因=외인)인 육음(六淫)과 여기(癘氣)에 대해서 알아 본다.
[원발성병인②] 내상병인: 칠정내상/음식/과로
[원발성병인②] 내상병인: 칠정내상/음식/과로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에는 ①외감병인[외인], ②내상병인[내인], ③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내상병인(內傷病因=내인)인 칠정내상, 음식, 노건(과로+권태)에 대해서 알아 본다.
[원발성병인③] 기타병인: 외상/중독/충수상/약물부작용/유전병
[원발성병인③] 기타병인: 외상/중독/충수상/약물부작용/유전병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에는 ①외감병인[외인], ②내상병인[내인], ③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인 외상, 중독, 충수상(蟲獸傷), 약물의 부작용, 선천성인자(유전병)에 대해서 알아 본다.
[속발성병인①] 담음(痰飮)
[속발성병인①] 담음(痰飮)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은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으로 인하여 생긴 병리의 산물에 의해 형성된 병인으로,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에는 ①담음(痰飮)과 ②어혈(瘀血)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담음(痰飮)에 대해서 알아 본다.
[속발성병인②] 어혈(瘀血)
[속발성병인②] 어혈(瘀血)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은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으로 인하여 생긴 병리의 산물에 의해 형성된 병인으로, 속발성병인(續發性病因)에는 ①담음(痰飮)과 ②어혈(瘀血)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어혈(瘀血)에 대해서 알아 본다.
병인병기학 분야의 전체 구성 설명 링크
병인병기학
동양의학에서 병인병기학 분야의 전체 구성을 살펴 본다. 병이병기학은 기본적으로는 병인(病因), 발병(發病), 병기(病機)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병인병기학 서론 동/서 의학 인체관의 차이 동양과 서양의 병리학은 그 목적은 같다 하더라도 인체관과 질병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연구 방법도 달라지므로 임상 치료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