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증별 침뜸 치료법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병증별 침뜸 치료법에 대해서 정리한다. 즉 질환별 주요혈들을 정리한다. 강장혈(强壯穴: 몸을 튼튼하고 혈기 왕성하게 하는 혈), 진정혈(鎭靜:신경계의 흥분을 가라앉히는 작용) , 조제혈(調制:잘 통하게 조절 작용), 상용특효혈, 급성특효혈에 대해서 정리한다. (발췌; 침뜸의학개론-정통침뜸연구소)

목차

[1] 강장혈(强壯穴)

중추신경(中樞神經) 자극혈

주로 머리카락이 있는 부위 혈로 상성, 신회, 백회, 통천, 승광, 후정, 풍부, 아문, 풍지, 천주, 완골(完骨)등이다.

이 가운데

  1. 신경과민인 환자는 머리 부위에 강자극을 주면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2. 처음 치료에는 반응을 보기 위해 약하게 자극한다.
  3. 보사를 잘못해서는 안된다.
  4. 길항자극으로서 하반신에 취혈해도 좋다.

말초신경 자극혈

통증이 있는 부위의 혈, 말초신경이 가는 방향의 혈을 취혈하는 경우가 많다.

비(鼻) – 코

상성, 통천을 주혈로 하고, 병용혈로서 비중격 부근의 혈을 쓴다.

인후(咽喉) – 목구멍

풍지, 천주, 견정(肩井), 예풍

폐, 기관지 질환

신주, 폐유, 백호, 고황, 독유

감기예방

풍문, 신주, 폐유

심장질환

궐음유, 심유, 독유, 식두

순환계

관원, 기해, 혈해, 극문

임파계

격유, 장문(章門) + 심포경, 삼초경의 요혈을 선택한다.

소화기

중완, 간유, 비유, 위유, 대장유, 상료, 족삼리, 상거허, 하거허.

비뇨, 생식기

명문, 신유, 요양관, 관원유, 소장유, 방광유, 팔료혈, 관원, 기해, 수도.

운동기관

백회, 도도, 대저, 요양관상료, 양릉천

내분비선, 성선(性線)

백회, 명문, 요양관, 관원

일반적인 강장혈

간유, 비유, 신유, 명문, 관원, 족삼리, 신주, 고황 등을 더하면 좋다.

[2] 진정혈(鎭靜穴)

상기(上氣)를 막고 경련을 풀고 소염, 진정작용을 하는 혈자리이다.
때에 따라 원격 작극, 반대측 자극(좌우, 腹背, 상하)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급성인 경우에는 소염을 주로 하고, 만성일 경우에는 국소 자극을 주로 한다.
한편 소염과 유도자극을 배합한다.
같은 혈이라도 소염은 자극 시간을 짧게 강자극을 주고, 유도자극은 약하게 지속하는 置鍼, 피내침등이 적절하다.

두부, 안면의 염증

후계, 합곡, 족임읍, 지음 등에 遠道(원도) 자침한다.

구강, 인두의 염증

소상, 어제, 내정, 조해에 원도 자침한다.

심폐의 염증

내관, 대릉, 열결, 태연 등을 이용한다.

흉강내의 염증

소부, 내관, 양릉천, 구허 등이 요혈이다.

위장의 염증

족삼리, 공손, 내정, 행간, 이내정 등이 상용혈이다.

간담의 염증

구허, 태충, 외관, 합곡등이 요혈이다.

비뇨기의 염증

열결, 조해, 곡천, 음릉천, 삼음교를 주혈로하고 위중, 척택, 팔다리의 井혈등을 刺絡하기도 한다.

경련성 해수, 구토, 복통

천돌, 중완, 기해, 태연, 내관, 족삼리, 공손, 대돈, 삼음교, 정천 등을 선택한다.

[3] 조제혈(調制穴)

cf. 調(고를 조): ‘고르다(평탄하다)’, ‘조절(調節)하다’, ‘조사(調査)하다’, ‘가락’ 등을 뜻한다,
制(억제할 제, 절제할 제) : ‘절제(節制)하다’, ‘제한(制限)하다’, ‘규제(規制)하다’ 등을 뜻한다
조제(調制) : 조화롭게 적절히 조절해서 잘 통하게(소통되게) 하는 기능

변통(便通)혈

 – 대변을 잘 나오게 하는 혈자리로 변비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혈자리입니다.

  >> 대장유, 천추, 수도, 지구, 승산

이뇨(利尿)혈

 – 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혈자리입니다. 부종이 있는 분들에게 많이 사용되는 혈자리입니다.

 >> 중극, 음릉천, 족삼리, 삼음교

발한(發汗)혈

 – 땀을 잘 나게하는 혈자리로 감기환자에게 많이 쓰는 혈자리입니다.

 >> 대추, 합곡, 외관, 경거

이상과 같은 작용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나 자율신경 긴장으로 불균형이 된 경우에는 효과가 큽니다.

okepapa_banner

[4] 상용 특효혈

아래의 질환별 혈자리는 임상에서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상용 특효혈이다.

비결핵성 경부 임파종

간유, 천정

서경 서혜부 임파종

승산

비(脾) 질환

비유, 의사, 황문

폐결핵

폐유, 신주, 독유

심장병

심유, 신문, 통리, 내관

신(腎) 질환

신유, 삼초유

방광 질환

방광유, 차료, 중극

항문 병

장강, 백회, 승산, 누곡, 극문, 공최

위 질환

중완, 내관, 족삼리, 위유

대장 질환

대장유, 천추, 상거허

소장 질환

소장유, 관원, 하거허

난소 자궁 질환

삼음교, 수도, 중극

눈 질환

풍지, 태양, 정명, 찬죽, 간유, 광명

코 질환

상성, 영향, 합곡, 간유

구강 질환

대릉, 중충, 지창

치통

하관, 합곡

인후 질환

소상, 어제

상지(팔) 질환

도도, 대저, 견우, 곡지

하지(다리) 질환

요양관, 환도, 위중, 족삼리, 양릉천

정신병

구미, 상완, 신문, 후계, 소상, 풍륭, 십삼귀혈(十三鬼穴)*

십삼귀혈(十三鬼穴) 해설

*십삼귀혈(十三鬼穴): 고대 전광(癲狂;미친병) 등의 정신질환을 치료하던 13개의 경험효혈(經驗效穴)이다.
옛날에는 정신질환이 귀신의 작용으로 발생한다고 여겼으므로 혈위(穴位)에 ‘鬼’자를 써서 치료했다고 하였다.
십삼귀혈에 대해 고대 문헌의 기록을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그 혈은 다음과 같다. 
통천, 상성, 인중(=수구), 승장, 협거, 풍부, 소상, 노궁, 대릉, 곡지, 은백, 신맥, (남)회음, (여)玉問頭

황달

지양, 완골(腕骨), 구허, 담유

[5] 급성증 특효혈

아래의 혈자리들은 급성으로 일어난 증상(症狀)이나 변증에 자주는 특효혈입니다.
임상에서 구당기본침에 더해 적절히 활용하세요

두통(頭痛)

백회, 풍부, 천주, 신주, 수삼리, 지음

👉 증상별 치료 요혈 정리 – Y01. 두통 (전두통, 후두통, 측두통, 두정통)

편두통(偏頭痛)

천주, 천료, 정영, 통천, 백회

이통(耳痛;귀의 통증)

예풍, 청회, 태계, 소해(少海), 사독, 수삼리

구내염(口內炎)

궐음유, 곡지, 견우

치통 – 상치통(上齒痛)

족양명위경 (ST) > ST44 내정 (內庭)
수양명대장경 (LI) > LI17 천정 (天鼎), LI15 견우 (肩髃)
족태양방광경(BL) > BL14 궐음유 (厥陰兪)

궐음유, 내정, 천정, 견우

치통 – 하치통(下齒痛)

수양명대장경 (LI) > LI4 합곡 (合谷) , LI7 온류 (溫溜)
족태양방광경(BL) > BL13 폐유 (肺兪)

온류, 폐유, 합곡

치통 – 치내염(齒內炎)

곡지, 수삼리, 궐음유

비색(鼻塞) – 코막힘

신회, 천주, 수삼리, 궐음유

뉵혈(衄血) – 코피

극문, 풍부, 상성, 대추

뇌출혈(腦出血)

십선, 백회, 풍문, 수삼리, 족삼리, 합곡

뇌빈혈(腦貧血)

극문, 수삼리, 족삼리, 신문, 소택, 신회(顖會)

목통(目痛) – 눈의 통증

화료(和髎), 곡지, 간유, 합곡

인후통(咽喉痛)

태계, 척택, 신주, 대저, 열결, 예풍

흉통(胸痛) – 일반

천종, 고황

흉통(胸痛) – 세로 통증

태계

흉통(胸痛) – 가로 통증

기문(期門)

흉통(胸痛) – 전반적 통증

극문

심통(心痛)

극문, 천종, 신문, 영대, 전중, 거궐(巨闕)

유방통(乳房痛)

전중, 천종, 소택

위통(胃痛) – 위경련(胃痙攣)

양구, 위창, 장문

위통(胃痛) – 공복시 위통

지양, 격유, 중정, 거궐(巨闕)  

담석산통(膽石痠痛)

중완, 우 양문, 우 기문(期門), 우 불용, 우 담유, 위창, 외구, 구허

맹장부통(盲腸部痛)

기해(뜸 30장), 양구, 곡천, 우 대장유 외측 1횡지 아시혈

복통(腹痛) – 복전면통(腹全面痛)

장문, 경문, 수분, 중완, 양구

복통(腹痛) – 산통(疝痛)

황유, 중완, 기해, 위창

방광통(膀胱痛)

중극, 관원, 수도, 기해, 곡천, 차료

요도통(尿道痛)

곡천, 곡골, 중극, 대혁

치통(痔痛=치질통(痔疾痛))

공최, 중료, 요유

치출혈(痔出血)

공최, 차료, 중료, 소장유, 십칠추하, 신유, 요양관

탈항(脫肛)

차료, 중료, 백회, 요양관

위궤양·십이지장궤양(十二指腸潰瘍)

양릉천

장출혈(腸出血)

소장유, 양릉천

자궁 출혈(子宮出血)

양릉천, 소장유

각혈(咯血)

극문, 삼양락, 태계

늑막염

극문, 양교, 견정(肩貞), 기문(期門), 격유

복막염(腹膜炎)

장문, 수분, 곡천

심계항진(心悸亢進)

극문, 신문

폐렴(肺炎)·유행성 감기

후계, 대저, 신주, 풍문

풍사(風邪; 감기)

풍문, 신주(뜸 20장)

식상(食傷)

내정, 이내정(뜸 20장)

하리(下痢) – 수성 하리(水性下痢)

양구, 중료

하리(下痢) – 계명 하리(鷄鳴下痢)

곤륜

변비(便秘)

신문, 좌 복결

난산(難産)

지음

오조(惡阻) : 입덧

양지, 중완, 거궐(巨闕)

정(汀)·절(癤) : 종기·부스럼

cf. 汀(정 정: 피부병의 일종 한의학 용어; 모낭염 내지는 지루성 피부염)· 癤(부스럼 절)
곡지, 수삼리, 합곡, 양로

담마진(蕁麻疹) :두드러기, 알레르기피부병

견우, 풍문, 곡지

피부염(皮膚炎; 습진, 땀띠)

견우, 곡지, 신주, 풍문

이명(耳鳴)

소해(少海), 예풍

현훈(眩暈)

협계, 완골(完骨)

월경(月經)이상 – 월경 과소

삼음교, 혈해

월경(月經)이상 – 월경 과다

양릉천

중독(中毒)

축빈(해독혈)

종골병(踵骨病)-발뒤꿈치병

복삼

언어장애(言語障碍)

아문

수종(水腫)

태계, 용천, 내정, 백회

(발췌; 침뜸의학개론-정통침뜸연구소)

관련 글

증상별 요혈, 특효혈

특정혈(特定穴)

병증의 원인/증상/치료

옥룡가(玉龍歌)와 옥룡부(玉龍賦)

WHO에서 공인한 침뜸으로 치료 가능한 질환들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시 기재된 메일 주소는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