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병인①] 외감병인: 육음/여기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원발성병인(原發性病因)에는 ①외감병인[외인], ②내상병인[내인], ③기타병인[불래외인(不內外因)]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외감병인(外感病因=외인)인 육음(六淫)과 여기(癘氣)에 대해서 알아 본다.

[외감병인1] 육음(六淫)

육음(六淫)?

육음이란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의 여섯가지 외감병사의 총칭이다

원래 풍한서습조화는 자연계의 여섯가지 정상적인 기후의 변화인데, 이를 ‘육기‘라 한다.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왼체는 외계의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조절기능이 있으므로정상적인 육기는 병을 일으키지 않는다.그러데, 기후변화가 비정상적이거나 기후가 지나치게 급격히 변화하고, 인체의 정기가 부족하여 저항력이 떨어질 때 육기는 비로서 발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상태의 육기를 육음이라 부른다.

음(淫)이란 과도하거나 바르지 못하다는 뜻으로 침습하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육음(六淫)을 육사(六邪)라고도 한다.

육음(六淫)은 모든 외감병의 주요한 발병인자가 된다.

육음(六淫)의 종류

육음(六淫) :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

= 육사(六邪) : 외감병의 주요한 발병인자 : 외감육음

육사(六邪)의 병증
  • 풍사(風邪): 움직임이 빠르고 변화가 많아, 두통, 발열, 근육 경련, 피부 발진 등을 유발함.
  • 한사(寒邪): 찬 기운으로 인해 통증과 수축을 일으키며, 복통, 관절통, 사지 냉증을 유발함.
  • 서사(暑邪): 여름철 더위로 인한 열사병, 땀 과다, 갈증,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일으킴.
  • 습사(濕邪): 무겁고 끈적한 성질로 소화불량, 체중절통(體重節痛), 부종 등의 증상을 유발함.
  • 조사(燥邪): 건조한 기운으로 체액 손상을 일으켜 마른 기침, 피부 건조, 변비를 유발함.
  • 화사(火邪): 과도한 열로 인해 발열, 염증, 불면증, 가슴 답답함 등의 증상을 유발함.
열사(熱邪)육음(六淫)의 관계

열사(熱邪)는 육음(六淫)서(暑)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동시에 화(火)와도 중요한 연관이 있습니다. 다만, 열사와 화는 병리적 속성과 작용에서 차이가 있으며, 그 구분이 동양의학적으로 명확히 정의됩니다. 이를 통해 열사와 서, 그리고 화의 차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열사(熱邪)와 서(暑)의 관계

  • 열사(熱邪)는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더위와 고온에 의해 인체에 병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이는 서(暑)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 는 여름철의 계절적 특징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습(濕)과 결합하여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 서습병).
  • 특징:
    • 열사의 근본적인 속성은 외부 환경의 고온이며, 이는 서(더위)가 인체에 병리적 영향을 미칠 때 열사로 작용합니다.
    • 서는 계절적(여름) 요인과 연결되며, 열사와 함께 진액 소모, 갈증, 발열, 땀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2. 열사(熱邪)와 화(火)의 관계

  • 화(火)는 열사의 연장선에서 발생하는 내부적이고 심화된 병리적 상태를 나타냅니다.
  • 화는 단순히 외부 환경의 더위(열사)와는 달리, 내부에서 발생하는 병리적 열을 포함합니다.
  • 특징:
    • 화는 열사가 병리적으로 심화되거나, 내부적으로 심열(心熱)간열(肝熱)위열(胃熱) 등 장부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화는 주로 염증출혈종기고열 등의 심각한 증상과 연결됩니다.
    • 열사가 인체 표면에서 작용하는 외부 요인이라면, 화는 내부적 병리적 열로 작용합니다.

3. 열사(熱邪), 서(暑), 화(火)의 주요 차이점

구분열사(熱邪)서(暑)화(火)
근본 원인외부 환경의 고온여름철의 계절적 더위내부 장부의 병리적 열 또는 심화된 열
작용 부위주로 외부(표면)외부 환경과 밀접내부 장부 및 심화된 병리적 상태
관련 계절계절적 제한 없음여름철에 주로 발생계절과 무관
주요 특징발열, 갈증, 땀, 진액 소모열사와 유사하나 습과 결합된 경우 많음염증, 출혈, 종기, 고열 등 심각한 상태
병리적 성격외부 환경의 열이 인체에 침입계절적 더위와 습의 결합으로 발생내부 장부의 병리적 열이 심화된 상태
치료 접근법외부 열 제거, 진액 보충외부 열 및 습 제거내부 열 제거, 염증 완화

4. 열사와 화의 주요 차이

  • 열사(熱邪):
    • 외부에서 발생한 병리적 열로, 주로 외부 환경(더위, 고온)과 관련됩니다.
    • 인체 표면(피부, 진액)에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경미한 상태로 시작됩니다.
    • 예: 여름철 더위로 인해 발생하는 열사병(Heat Stroke).
  • 화(火):
    • 내부에서 발생한 병리적 열로, 열사가 심화되거나 장부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내부 장부(심장, 간, 위 등)에 영향을 미치며, 병리적 상태가 더 심각합니다.
    • 예: 간열로 인한 두통, 심열로 인한 불면증, 위열로 인한 구토나 속쓰림.

5. 예시로 보는 구분

  • 열사(熱邪): 여름철에 외부 열에 노출되어 발열, 갈증, 땀, 피로가 나타나는 상태.
  • 화(火): 열사가 심화되어 염증, 고열, 출혈, 종기와 같은 심각한 증상을 동반한 상태.

결론

두 요인은 모두 “열”과 관련이 있지만, 열사는 외부적이고 상대적으로 경미한 반면, 는 내부적이고 심화된 병리적 상태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열사(熱邪)는 외부 열(특히 서(暑))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외부 환경의 병리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화(火)는 열사가 심화되거나 내부 장부의 문제로 발생하는 내부적이고 심각한 병리적 상태를 나타냅니다.

육음(六淫) 발병의 특징

① 계절과 관계 : 봄 – 風病, 여름 – 暑濕病, 가을 – 燥病, 겨울 – 寒病, 暑症 외는 4계절 발생
② 환경과 관계 : 여름철 햇볕, 고온환경 – 暑症, 장기간 습지 – 濕病
③ 단독 발병, 함께 발병 : 寒邪설사, 風寒감기, 濕熱설사, 風寒濕 痹증(저릴, 류마치스 비)
④ 상호 영향, 轉化 : 寒邪가 裏로 가면 熱火, 濕邪 울결되면 熱火
⑤ 表에서 裏로 침범 : 피부, 입 코로 침입 장부 손상

육음과 해당 오행(五行)의 특징, 사기(邪氣)의 특징

1) 풍(風) – 木 (곡직지상 曲直之象)

  • 풍(風)은 양사(陽邪)이고 개설(開泄)하는 성질이 있고 양위(陽位)를 침입한다.
  • 풍사(風邪)는 “잘 이동하고 자주 변한다”
  • 풍(風)은 “백병(百病)의 장(將)이다
  • 풍사(風邪)는 간(肝)을 침해한다

2) 한(寒) – 水 (윤하지상 潤下之象)

  • 한(寒)은 음사(陰邪)로서 양기(陽氣)를 가장 많이 손상시킨다.
  • 한사(寒邪)는 기혈(氣血)을 응체(凝滯)시키고 격심한 통증(痛症)을 유발시킨다.
  • 한(寒)은 수인(收引)을 주관한다.
  • 방사과다(房事過多)는 신(腎)을 침해한다

3) 서(暑) – 火 (염상지상 炎上之象)

  • 서(暑)는 양사(陽邪)이고 무더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 서(暑)는 증발시키는 성질이 있어 기(氣)를 소모시키고 진액을 손상시킨다.
  • 상승(上昇), 발산(發散)하는 성질이 있다.
  • 발열(發熱), 번갈(煩渴)과 동시에 머리와 몸이 무겁고 가슴이 답답하다.
  • 서(暑)는 흔히 습사(濕邪)를 겸한다. 습(濕)이 끼어들기 쉽다.

4) 습(濕) – 土 (가색지상 稼穡之象)

  • 습(濕)은 음사(陰邪)이고 기(氣)의 순행을 저해하여 양기(陽氣)를 손상시킨다.
  • 습(濕)은 끈끈하여 정체(停滯)시킨다.
  • 습(濕)은 아래로 흐른다.
  • 습(濕)의 성질은 중탁(重濁)하다.
  • 습사는 자주 비위의 운화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습탁내생(濕濁內生)을 일으킨다.

5) 조(燥) – 金 (종혁지상 從革之象)

  • 조(燥)는 건조하여 쉽게 진액을 손상시킨다.
  • 조(燥)는 폐(肺)를 쉽게 손상시킨다.

6) 화(火) – 火 (염상지상 炎上之象)

  • 인체의 정기(精氣)가장 많이 손상시킨다.
  • 화(火)는 위로 타오르는 성질이 있다.
  • 화(火)는 쉽게 기(氣)와 진액을 손상시킨다.
  • 화(火)와 열(熱)은 바람을 일으키고 혈맥을 손상시킨다.
  • 화(火)와 열(熱)은 종양(腫瘍)을 발생시킨다.
  • 화(火)와 열(熱)은 심신(心身)을 혼란시킨다.

[외감병인2] 여기(癘氣)

여기(癘氣)=역려(疫癘)=전염병

여기는 외감육음과는 달리 매우 강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는 외사(外邪)이다.

전염성 있는 外邪, 발병이 급하고, 병세위험, 사망률 높고 전염성이 강한다.

역려 발생 요인

① 기후 : 비정상적 기후, 오랜 가뭄, 장마, 홍수
② 환경 : 오물처리, 비 위생적 환경, 해충
③ 개인위생 및 예방격리 : 개인위생, 섭생, 체질증강, 환자격리
④ 사회요인 : 경제 문화 낙후지역

관련링크

[원발성병인②] 내상병인: 칠정내상/음식/과로

[속발성병인①] 담음(痰飮)

병인 개괄 정보 링크

병인병기

[키워드] #병인병기학 #병인병기 #병인 #원발성병인


[mc4wp_form id=9589]
댓글 정말 환영합니다. 😊
댓글로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 함께 공유해요. 🤩
댓글로 알려주시는 정보를 보기 좋게 정리하고 쉽게 검색될 수 있게 구성해서 활용성을 높이겠습니다.
더 도움되는 컨텐츠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