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천문관들이 하늘의 해와달(음양), 별들(오행-목화토금수)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데서 시작해, 자연현상 즉 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균형과 견제의 원리를 인간의 삶에 적용한 것이 음양오행입니다. 음양오행에 대해서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 보겠습니다.
음양오행이란 무엇인가?
음양오행은 동양 철학에서 자연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음양: ‘음’과 ‘양’은 모든 것의 근원이며, 서로 대립하고 보완하는 원리를 나타냅니다. ‘음’은 부정적이거나 수동적인 측면을, ‘양’은 긍정적이거나 활동적인 측면을 의미합니다. 이 두 원리는 모든 것에 존재하며, 상호작용하여 세상의 변화와 발전을 일으킵니다.
- 오행: 오행은 “목(나무)”, “화(불)”, “토(흙)”, “금(금속)”, “수(물)”의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의미합니다. 각 요소는 특정한 속성과 함께 자연 현상, 인간의 신체와 감정, 시간 등 다양한 것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목: 성장과 발전을 상징하며 봄과 동쪽을 연결시킵니다.
- 화: 열정과 에너지를 상징하며 여름과 남쪽을 연결시킵니다.
- 토: 안정성과 균형을 상징하며 사계절 중기와 중앙을 연결시킵니다.
- 금: 정제와 수확을 상징하며 가을과 서쪽을 연결시킵니다.
- 수: 지혜와 깊이를 상징하며 겨울과 북쪽을 연결시킵니다.
오행은 생성주기(상생관계)와 파괴주기(상극관계)라는 두 가지 순환 주기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생성주기: 목 -> 화 -> 토 -> 금 -> 수 -> 목 (목이 화를 만들고, 화가 토를 만들고…)
- 파괴주기: 목 -> 토 -> 수 -> 화 -> 금 -> 목 (목이 토를 깎아내리고, 토가 수를 막아서…)
음양오행 사상은 천문학부터 음악, 건축, 의학(한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몸과 마음을 이해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행의 생극(상생/상극)과 승모(乘侮)(상승/상모)
구분 | 설명 | 예 |
相生 |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 |
相剋 |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 |
相乘 | 내(목)가 지나치게 극하는 것 | 木乘土 |
자신(토)이 약해 상대(목)가 乘 | 土虛木乘 | |
相侮 | 내가 너무 강해 상대를 反剋 함 | 木侮金 |
상대가 넘약해 나한테 극당함 | 金虛木侮 | |
勝復 | 子로 하여 나를 극하는 것을 극 |
오행의 개념의 특성과 맛과 성질
오행 | 특성 | 맛 | 성질 |
목 | 曲直(곡직) | 신맛 | 성장, 昇發작용 |
화 | 炎上(염상) | 쓴맛 | 온열, 상승작용 |
토 | 稼穡(가색) | 단맛 | 生化, 계승, 수납 |
금 | 從革(종혁) | 매운맛 | 청결, 숙강, 수렴 |
수 | 潤下(윤하) | 짠맛 | 자윤, 하향성 |
* 곡직(曲直) : 굽거나 곧게 된다
* 염상(炎上) : 사물을 태워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한다
* 가색(稼穡) : 가(稼)는 씨를 뿌리는 것이고, 색(穡)은 거두어 들이는 것. 농사(農事)를 뜻함.
* 종혁(從革) : 자유롭게 변한다
* 윤하(潤下) : 사물을 젖게 해서 낮은 데로 흐르게 한다
오행과 색, 방향, 특성 관계
• 수=흑색=북=윤하(潤下) 사물을 젖게 해서 낮은 데로 흐르게 한다.
• 화=적색=남=염상(炎上) 사물을 태워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한다.
• 목=청색=동=곡직(曲直) 굽거나 곧게 된다.
• 금=백색=서=종혁(從革) 자유롭게 변한다.
• 토=황색=중앙=가색(稼穡) 씨를 뿌리는 시기와 거두는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