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부상통(臟腑相通) 관계는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장부(臟腑)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개합추(開闔樞)와 리중표(裏中表)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관련해서 정리합니다.
장부상통(臟腑相通) 관계
장부상통(臟腑相通) 관계는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장부(臟腑)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개합추(開闔樞)와 리중표(裏中表)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 개념을 통해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및 병리적 상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개합추(開闔樞)와 장부상통
개합추는 기의 운동과 변화를 설명하며, 이는 장부 간의 상호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각 장부는 기의 개방(開), 수렴(闔), 중재(樞) 기능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조절합니다.
- 폐(肺): 기의 개(開)를 주관하여 기를 외부로 확산시키고 방어합니다.
- 비(脾): 기의 개(開)를 주관하여 영양분을 소화하고 흡수한 후, 이를 전신으로 보내어 기의 순환을 촉진합니다.
- 간(肝): 기의 합(闔)을 주관하여 기를 내부로 수렴하고 저장합니다.
- 위(胃): 기의 합(闔)을 주관하여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을 저장합니다.
- 신(腎): 기의 추(樞)를 주관하여 개와 합 사이에서 중재하고 조절합니다.
- 심(心): 기의 추(樞)를 주관하여 혈액을 순환시키고, 정신적 기능을 조절하며, 다른 장부와의 조화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개합추의 조절 메커니즘을 통해 장부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는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리중표(裏中表)와 장부상통
리중표는 인체의 구조적 구분을 설명하며, 장부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리중표의 각 부분은 장부의 특정 기능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체의 생리적 균형을 유지합니다.
- 폐(肺)
위치: 표(表)
역할: 기의 개(開)를 주관하여 기를 외부로 확산시키고 방어함.
생리 기능: 호흡을 통해 기를 받아들이고, 체내의 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방어 기능을 수행함. - 비(脾)
위치: 표(表)
역할: 기의 개(開)를 주관하여 영양분을 소화하고 흡수함.
생리 기능: 영양분을 소화하여 기와 혈을 생성하고, 이를 전신으로 공급함. - 소장(小腸)
위치: 표(表)
역할: 기의 개(開)를 주관하여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함.
생리 기능: 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을 분리하여 배출함. - 방광(膀胱)
위치: 표(表)
역할: 기의 개(開)를 주관하여 체내의 수분을 배출함.
생리 기능: 체내의 수분을 저장하고 배출하여 체액의 균형을 유지함. - 심(心)
위치: 중(中)
역할: 기의 추(樞)를 주관하여 혈액을 순환시키고 정신적 기능을 조절함.
생리 기능: 혈액을 순환시켜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고, 정신적 기능을 조절함. - 신(腎)
위치: 중(中)
역할: 기의 추(樞)를 주관하여 체내의 수분과 기의 균형을 조절함.
생리 기능: 체내의 수분을 조절하고, 기와 혈의 균형을 유지함. - 삼초(三焦)
위치: 중(中)
역할: 기의 추(樞)를 주관하여 기의 운행과 수분 대사를 조절함.
생리 기능: 상초, 중초, 하초로 나뉘어 각각의 부위에서 기와 수분의 운행을 조절함. - 담(膽)
위치: 중(中)
역할: 기의 추(樞)를 주관하여 담즙을 저장하고 분비함.
생리 기능: 담즙을 저장하고 필요 시 분비하여 소화를 돕고, 기의 순환을 조절함. - 심포(心包)
위치: 리(裏)
역할: 기의 합(闔)을 주관하여 심장을 보호함.
생리 기능: 심장을 보호하고, 심장의 기능을 보조함. - 간(肝)
위치: 리(裏)
역할: 기의 합(闔)을 주관하여 혈액을 저장하고 해독함.
생리 기능: 혈액을 저장하고 필요 시 방출하여 혈액의 양을 조절하며, 체내의 독소를 해독함. - 대장(大腸)
위치: 리(裏)
역할: 기의 합(闔)을 주관하여 노폐물을 저장하고 배출함.
생리 기능: 체내의 노폐물을 저장하고 배출하여 체내 환경을 정화함. - 위(胃)
위치: 리(裏)
역할: 기의 합(闔)을 주관하여 음식물을 소화하고 저장함.
생리 기능: 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분을 흡수하고, 소화된 물질을 저장하여 필요한 곳으로 운반함.
장부상통 관계 배합
장부상통관계 배합은 같은 깊이의 장부을 음양으로 짝을 이루어 배합을 하는데, 같은 깊이의 육경중에서 수족 배합(상하 배합)을 한다. 즉 리(裏) 깊이에 있는 궐음경-양명경을 짝을 이뤄 배합을 하는데 있어서, 궐음경의 족궐음간경과는 수양명대장경을 짝으로 해서 배합한다. 즉 간-대장경을 장부상통 짝으로 배합니다. 또한 궐음경의 수궐음심포경은 족양명위경을 짝으로 해서 배합한다. 즉 심포-위를 장부상통 짝으로 배합한다.
결론적으로 장부상통 관계 배합은 같은 깊이(裏) 수족배합(상하배합)으로 한다.
- 리(裏) : (족궐음) 간 – (수양명) 대장
- 리(裏) : (수궐음) 심포 – (족양명) 위
- 중(中) : (족소음) 신 – (수소양) 삼초
- 중(中) : (수소음) 심 – (족소양) 담
- 표(表) : (족태음) 비 – (수태양) 소장
- 표(表) : (수태음) 폐 – (족태양) 방광
장부상통 취혈 및 성질
외사가 겉에서 속으로 들어올때 그에 맞서 인체가 싸우는 순서가 있고(리중표), 그 사기에 대항해 열리고 닫히는 성질(개합추)이 같은 것끼리 묶어 상하수족배합으로 치료하는 것이 장부상통법이라 봅니다. (💚금홍섭 선생 설명 정리)
장부상통 | 간–대장 | 심–담 | 비–소장 | 폐–방광 | 신–삼초 | 심포–위 |
취혈 | 태충-합곡 | 소부-현중 | 태백-후계 | 척택-위중 | 신유-외관 | 내관-족삼리 |
리중표 | 궐음-양명 | 소음-소양 | 태음-태양 | 태음-태양 | 소음-소양 | 궐음-양명 |
성질 | 해독 | 정신안정,결단력 | 운화,소화 | 물,습 | 수액대사 | 강탁 |
※ 간-대장 : 장부상통 관계이면서 동시에 천간상합 관계이다.
육부를 중심으로 보는 표리와 상통
- 표리관계 : 다른 층끼리의 에너지 교환
- 장부상통 : 같은 층 경락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같은 층에 있는 경락들끼리의 에너지 교환
표리 | 육부 | 상통 |
족궐음 간 | <=> 족소양 담경 <=> | 수소음 심 |
수소음 심 | <=> 수태양 소장 <=> | 족태음 비경 |
족태음 비 | <=> 족양명 위경 <=> | 수궐음 심포 |
수태음 폐 | <=> 수양명 대장 <=> | 족궐음 간 |
족소음 신 | <=> 족태양 방광 <=> | 수태음 폐 |
수궐음 심포 | <=> 수소양 삼초 <=> | 족소음 신 |
※ 방광의 문제를 신장의 문제로 보는 것은 표리, 폐경의 문제로 보는 것이 상통!
오장(육장) 중심으로 보는 표리와 상통(리중표)
육장 | 족궐음 간 | 수소음 심 | 족태음 비 | 수태음 폐 | 족소음 신 | 수궐음 심포 |
표리 | 담 | 소장 | 위 | 대장 | 방광 | 삼초 |
상통 | 수양명 대장 | 족소양 담 | 수태양 소장 | 족태양 방광 | 수소양 삼초 | 족양명 위 |
장부상통 관계 정리
개합추와 리중표는 장부상통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적 틀을 제공합니다. 개합추는 기의 운동과 변화를 통해 장부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리중표는 인체의 구조적 구분을 통해 장부 간의 기능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두 개념을 통해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및 병리적 상태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