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학 개론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장상학은 동양의학에서 핵심 기능중에 하나이다. 오장(간,심,비,폐,신)과 육부(담,소장,위,대장,방광,삼초)를 기본으로해서 외부조직기관(오관, 구규, 오체 등)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장상학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개요 내용을 살펴 본다.

장상학에 대한 기본 이해

장상학은 동양 의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사람의 몸과 마음, 그리고 환경 사이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체계입니다. 장상학은 “오장육부”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의 신체 기능과 정서, 정신 상태를 연결짓습니다.

“오장”은 심장(心), 간(肝), 폐(肺), 콩팥(腎), 비장(脾)을 가리키며, 이들 각각은 우리 몸의 특정 기능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또한 각 장기는 특정한 감정, 계절, 색깔 등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양 의학에서는 간이 우리 몸에서 ‘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나무와 봄, 그리고 분노라는 감정과 관련이 있다고 보입니다. 이와 같이 장상학은 단순히 신체적인 건강만 아니라 정서적인 건강까지도 고려하는 전체적인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육부”는 위(胃), 대장(大腸), 소장(小腸), 방광(膀胱), 삼초 (三焦) 및 담낭 (膽囊)을 가리키며 이들 역시 특정 기능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동양 의학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복잡한 상호 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

오장과 육부의 기능

몸 깊숙이 있는 것을 음으로 보아 오장인 간, 심장, 비(脾), 폐, 신(腎)이 음에 속한다. 오장보다 바깥에 있는 것이 양이므로 육부인 쓸개, 위, 대장, 소장, 방광, 삼초(三焦)가 양에 속한다.

오장은 정기(精氣), 신기(神氣), 혈기(血氣), 혼백(魂魄)을 간직한다. 반면에 육부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진액을 돌게 하는 기능을 한다. 육부의 ‘부’는 창고[府]를 뜻하며 달리 그릇이라고도 한다. ‘부’가 창고를 뜻하기에 ‘부’에 해당하는 기관들은 비어 있다. 위, 쓸개, 소장, 대장, 방광 등이 모두 비어 있어 있는 기관이다. 따라서 부는 영양분을 저장하며 먹은 것을 소화시켜 찌꺼기와 정수를 가르는 구실을 한다.

오장과 육부는 짝을 이룬다

폐-대장, 심장- 소장, 간-담, 비- 위, 신-방광

삼초- 중독지부로 인체의 전체를 관통하는 도랑역할로 육부 중엔 방광에 속한다.

오행(五行)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장(五臟)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오부(五腑)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오규(五竅)² 눈[目,眼] 혀[舌] 입[口] 코[鼻] 귀[耳]
오주(五主) 힘줄[筋] 혈맥(血脈) 기육(肌肉) 피모(皮毛) 골수(骨髓)
오지(五志) 노(怒) 희(喜) 사(思) 우(憂),비(悲) 공(恐)
오화(五華) 손발톱[爪甲] 얼굴[面] 입술[脣] 모(毛) 발(髮)
오로(五勞) 걷기[行] 보기[視] 앉기[坐] 눕기[臥] 서기[立]
오액(五液) 눈물[淚] 땀[汗] 군침[涎] 콧물[涕] 침[唾]
오향(五香) 누린내[臊] 탄내[焦] 화한내[香] 비린내[腥] 썩은내[腐]
오장(五藏) 혼(魂) 신(神) 의(意) 백(魄) 지(志)

오장과 육부의 병이 서로 다르다

  • 오장– 맥이 느리고(한증) 더운 것을 요구, 한곳에 머물고, 상극에 병을 전하고, 고치기 어려움.
  • 육부 –맥이 빠르다(양증) 찬 것을 요구 , 위아래로 왔다갔다, 상생관계에 병을 전함

질병은 깊이 들어갈수록 치료하기 어렵다 ( 피부,살,근맥-> 육부-> 오장)

오장육부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원칙

장부의 상통이론 (장부상통)

오장과 육부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므로 어느 한 장부가 병들면 그와 통하는 장부를 치료하면 쉽게 낫는다. 이를테면, 심장과 쓸개는 서로 통하기 때문에 심장의 병으로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면 쓸개를 온화하게 해주고, 쓸개의 병으로 몸을 몹시 떨거나 전광증이 생겼을 때에는 심장을 보해준다

장상학이란

장상론은 밖에 나타나는 상징을 통해 장부의 생리기능, 병리변화와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설

구분특징장부생리기능비고
오장늘 일한다 채워짐심, 폐, 비, 간, 신, 심포精氣를 化生 저장
육부필요시 일 비어짐소장,대장,위,방광,담, 삼초수곡을 수납 傳化

장상학에서 다루는 내용

장상학의 기본 개념 : 인체 생리와 병리현상의 관찰을 통한 인체 각 장부(臟腑)기관의 생리기능, 병리변화에 따른 상호 간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장상학 개론 1

오장육부는 몸 전체를 관장하는 내각

오장육부는 몸 전체의 활동을 관장하는 ‘내각(內閣)’이라 할 수 있는데 그 기능에 따라 오장과 육부로 크게 나눈다. 육부는 주로 음식의 소화와 관련된 일을 맡는데, 위는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일을, 소장은 소화된 것을 받는 일을, 대장은 소화된 찌꺼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방광은 소화된 수분을 내보내는 일을 맡는다. 이밖에 쓸개는 용기와 담력을, 삼초는 몸에 진액을 공급하는 일을 담당한다.

육부에서 소화된 것 중 정(精)한 부분은 오장으로 간다. 오장은 정기(精氣), 신기(神氣), 혈기(血氣) 혼백(魂魄)을 간직하며, 생명을 유지시키고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이 된다. 간은 생기가 비롯되는 곳이며, 심장은 정신이 깃드는 곳이며, 비장은 기와 혈을 만드는 곳이며, 폐는 호흡을 맡는 곳이며, 腎은 정력과 생식을 맡는 곳이다.

오장(五臟)

오장의 기능

1) 심(心)

① 혈맥(血脈)을 주관한다. 

② 정신(精神) 작용을 주관한다. 

③ 얼굴에 기능이 나타난다.(面華)  華 : 빛날 화 

④ 혀[舌]에 영향을 준다. 

⑤ 액(液)은 땀[汗]이다. 

2) 폐(肺)

① 기(氣)를 주관한다. 

② 선발(宣發)과 숙강(肅降) 기능을 주관한다. 

③ 수도(水道)를 소통시키고 조절한다. 

④ 백맥(百脈)을 모아들이고, 심(心)을 도와 혈을 운행시킨다.[혈행을 도움]

⑤ 피부를 자양(滋養)하고, 털[毛]에 기능이 나타난다. 

⑥ 코[鼻]에 영향을 주고, 액은 콧물이다. 

3) 비(脾)

① 운화(運化) 기능을 주관한다. 

② 혈액의 통섭(統攝)을 주관한다.  攝 : 끌어 잡을 섭

③ 상승(上昇)시키는 기능을 주관한다. 

④ 기육(肌肉)을 담당한다. 

⑤ 입에 개규(開竅)하고, 입술에 상태를 반영한다. 액은 군침[涎]이다. 

4) 간(肝)

① 소설(疏泄) 기능을 주관한다. (소설(疏泄) : 뭉쳐 있는 기운을 풀어서 소통시키는 기능)

② 혈(血)의 저장을 주관한다. 

③ 근(筋)을 주관한다. 

④ 손발톱[爪甲]에 상태가 반영된다. 

⑤ 눈에 개규하고, 액은 눈물이다. 

5) 신(腎)

① 정(精)을 저장하고, 생장?발육?생식을 주관한다. 

② 수액(水液)을 주관한다. 

③ 기(氣)를 받아들이는 기능을 주관한다.[納氣]

④ 골(骨)을 주관하고, 발(髮)에 상태가 반영된다. 

⑤ 귀[耳]와 이음(二陰)에 개규하고, 액은 타액[唾]이다. 

동양의학 공부
 음양오행 → 장상학 → 병인 → 발병(증상) → 병기 → 진단[四診] → 변증 → 처방 → 치료 → 결과

장과 장의 관계

장-장관계
심-폐심- 혈순행 주관 폐- 호흡 주관
심과 폐는 기와 혈관계, 서로 의존한다.
심-비심- 혈 주관, 혈운행
비- 혈 생성, 혈 통제
심-간심- 혈 주관, 神 저장
간- 혈 저장, 소설기능, 정서상태 조절
심-신심- 陽의 장, 火
신- 陰의 장, 水
수승화강, 심신상교, 心腎不交
폐-비폐- 청기흡수
비- 수곡정기 생성
청기+수곡정기=宗氣
폐,비는 수액대사 관여
폐-간간기는 왼쪽으로 상승
폐기는 오른쪽으로 하강
폐-신폐- 호흡 주관
신- 납기 주관
간-비비의 운화기능은 간의 소설기능이 조절
간은 혈저장, 비는 혈 생성 통제
간-신*간신동원, 정혈동원
*신음은 간음 자양 간양 항진 견제
비-신*비- 후천의 근본, 수곡정기 생성
*신- 선천의 근본, 精 저장
*비신양허-새벽설사

육부(腑)

공통적인 생리의 특징 – 음식물의 消化, 吸收, 傳導, 排泄을 주관

1) 담(膽)

1.담즙의 저장과 배설

– 담즙의 생성과 분비는 간의 소설기능에 의해서 조절
담은 담즙을 저장하고 분비하는 것이다.
음식물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소장으로 흘러들어간다

2.결단을 주관

-담기가 사람의 정신 감정 활동과 관련이 있다.
간은 장군지관으로 모려를 주관, 답은 중정지관으로 결단을 주관

2) 소장(小腸)

1.수성화물(受盛化物) : “받아서 담고 소화시키는 물질”

-소장은 수성(음식을 받아들여)과 화물(소화)을 주관한다.
胃의 내용물을 받아들여 소화를 완성하는 작용

2.비별청탁(泌別淸濁) :”맑은 것과 탁한 것을 분비하고 구별하다”

영양물질과 찌꺼기(조박)를 분리하여 청기는 비를
경유하여 전신으로 수포되고 탁한 것은 난문(闌門-칠충문 중에 하나)을 통해 대장으로 주입
배출 쓸모없는 수분은 방광으로 스며들어 소변으로 배출

칠충문[七衝門]

소화기계통에서 주요한 7개의 부위.
입술[비문(飛門)]
치아[호문(戶門)]
회염(會厭)[흡문(吸門)]
위(胃)[분문(噴門)]
태륜하구(太侖下口)[유문(幽門)]
대장과 소장과의 경계부위[난문(闌門)]
항문[백문(魄門)] 등 7개의 부위를 말한다.

3) 위(胃)

1.위는 습한 것을 좋아하고 건조(燥)한 것을 싫어한다.(희윤오조,喜潤惡燥)
위는 생리적으로 건조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2.위기는 하강을 주관한다.(위주통강,胃主通降)
음식물이 위에 들어가면 초보적인 소화를 일으키고
유문을 통해 소장으로 전송해서 재차 소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생리기능
1.위는 수납을 주관한다.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작용

  • 수곡지해(水穀之海): “물과 곡식의 바다”라는 뜻으로, 위가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저장하는 큰 용기 또는 바다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위는 다양한 음식물과 수분을 받아들이고 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소화 과정을 준비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 창름지해(倉廩之官): “창고를 관리하는 기관”이라는 뜻으로, 위가 음식물을 저장하고 이를 필요한 만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2.위는 수곡의 부숙을 주관
-초보적 소화단계인 부숙을 거친 후 수곡정미는 비로 보내진다.

부숙(腐熟)

“부숙(腐熟)”은 음식물이 위에서 분해되고 소화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음식을 위에서 화학적,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부숙의 구체적 의미

  • 화학적 분해: 위산과 소화 효소들이 음식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을 더 작은 분자로 분해합니다.
  • 물리적 처리: 위의 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혼합하여 소화 효소와 위산이 음식물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영양분 흡수 준비: 부숙 과정을 통해 음식물은 소장에서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됩니다.

4) 대장(大腸)

대장의 주요 생리 기능

  • 전도조박(傳導糟粕): 음식물 찌꺼기와 노폐물을 운반하여 배출하는 기능.
  • 수분 재흡수: 대장은 소화된 음식물에서 수분을 재흡수하여 체내 수분 균형을 유지합니다.
  • 변 형성: 대장은 음식물 찌꺼기를 변으로 형성하여 배출 준비를 합니다.

전도조박(傳導糟粕)- 소장이 아래로 보낸 내용물을 받아서 여분의 수분을 흡수하고 대변을
형성하여 항문을 통해 체외로 배출시키는 대장의 기능을 말한다.

5) 방광(膀胱)

소변의 저장과 배뇨작용이다. 소변은 신과 방광의 기화 기능을 통하여 체외로 배출되므로 방광은 수액이 모이는 기관으로 진액을 저장하여 기화작용을 통하여 요액을 배출한다.

방광의 주요 생리 기능은 주로 체액의 저장배출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방광은 신장과 함께 체내 수분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방광의 주요 생리 기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방광의 주요 생리 기능

저장(貯藏):

  • 방광은 신장에서 여과된 소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 소변이 방광에 모여 일정량이 되면 배뇨 충동을 느끼게 됩니다.

배출(排出):

  • 방광은 소변을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 배뇨는 방광 근육의 수축과 요도 괄약근의 이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수분 대사 조절:

  • 방광은 신장과 협력하여 체내 수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 필요 없는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하여 체내 수분 대사를 조절합니다.

방광의 기능과 관련된 한의학적 개념

  • 기화(氣化): 한의학에서는 방광의 기능을 “기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기화는 기(氣)의 작용으로 체액을 운반하고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방광은 신장의 기화 작용에 의해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 삼초(三焦): 방광은 삼초(三焦)의 하초(下焦)에 속합니다. 삼초는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로 나뉘며, 하초는 주로 배설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합니다. 방광은 하초의 주요 장기로서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합니다.

6) 삼초(三焦)

삼초는 육부의 하나로 모든 기를 주관하고 수도(水道)를 소통(疎通)하는 작용이 있다.

1.삼초는 통행원기를 주관한다.

  • 기가 승강출입하는 통로이고 기화가 진행되는 장소이다.
  • 원기는 삼초를 통해서 오장육부와 전신에 도달한다.(元氣의 別使)
  • 오장육부. 영위, 경락, 내외, 상하의 기를 주관한다.
  • 인체 내외를 조화시키고 좌우를 영양하며 상하를 인도한다.

2.삼초는 수도를 소통하고 수액을 운행시킨다.

  • 인체의 수액이 승강 출입하는 통로이다.
  • 수액대사는 폐.비.신.방광 등의 협조로 삼초를 통로로 하여야만 한다.
  • 삼초가 소통되지 못하면 소변이 순조롭지 않거나 수종이 나타난다.

3.수곡정미의 운화

  • 수곡의 소화흡수에 관여하여 그 정미를 운반. 기의 화생에 영향을 준다
  • 삼초는 수곡의 통로이며 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곳이다.라고 하였다.

부위에 따른 삼초의 기능

  • 상초-횡격막이상의 부위. 심.폐 및 두부
    주요기능- 수곡을 받아들이는 것. 정미를 전신에 퍼드리는 것.
    상초에 의해 선발.산포된 오곡정미가 피부를 온후하고
    형체를 충실히 하며 모발을 윤택하게 한다(如霧)
  • 중초-횡격막 이하 배곱 이상의 부위. 비.위
    주요기능- 수곡을 부숙하고 진액과 기혈을 화생하는 것
    찌거기를 분별하고 진액을 증화하며 그 정미를
    화생하여 상초로 보내 혈을 생성케 함으로서 전신을 영양한다.(如漚)
  • 하초-배꼽아래. 간.신.소장.대장.방광 및 생식기관
    주요기능- 수곡의 찌거기를 대소변으로 배설하는 것
    위에 저장된 찌꺼기를 형성하여 대장으로 운반
    수액의 비별청탁 과정으로 거쳐 하초를 따라 방광으로 보냄(如瀆)

육부의 기능(특징)

육부 특징

中正지관
담즙 저장 배설
결단력 주관
담즙을 소설기능으로 소장으로, 소화촉진

倉廩(창름)지관
수곡기혈의 바다
비위 후천의 근본, 胃氣
강탁기능 주관, 비는 승청기능
燥를 싫어하고 濕을 좋아한다.

소장

受盛지관
소화 흡수
비별 청탁

대장

傳道之官
수분흡수, 대변배출

방광

州都지관
소변 저장, 배출 (腎의 기화작용)

삼초

元氣를 오장육부에 수송하는 통로
기가 승강출입하는 통로
온몸의 기주관 기운행, 기화기능 조절
수액대사도 반드시 삼초를 통해야
삼초실조→ 진액대사실조→ 수종
상초- 횡격막 이상 (안개) 중초- 횡격막~배꼽 (거품) 하초- 배꼽 ~二陰 (도랑)

오장과 육부의 관계

오장육부관계
심-소장心火→ 경맥을 통해 소장에 영향 오줌 붉고 적어지고 통증
폐-대장폐숙강 실조→ 대장 수송기능 실조 대장습윤 실조, 변비증상
비-위비- 상승, 위- 하강
비(음)- 喜燥 惡濕, 위(양)-喜濕 惡燥
간-담간- 소설기능, 답즙 분비, 모려주관
담- 답즙 저장, 배설(소장), 결단주관
신-방광방광- 오줌 저장 배설 기능은
신- 기화 기능으로 발휘

장상론-精, 神, 氣, 血, 津液(정신기혈진액)

정(精)은 무겁고 탁한 물질로 아래의 신(腎)에 들어 있고, 신(神)은 가볍고 맑으며 형체가 없고 위의 심(心)에 들어 있다. 기(氣)와 혈(血)은 정을 기르는 수와 신의 작용인 화가 오르내릴 수 있게 해 심화(心火)가 치오르거나 신수(腎水)가 끊이지 않게 한다

정(精)과 神(신)

1. 정(精)

1) 정의 생성

*선천의 정- 부의 정액, 모의 정혈이 합쳐진 정

*후천의 정- 수곡, 정기를 장부가 생성 사용 후 남은 것을 腎에 저장한 것

2) 정의 기능

① 생식기능

② 생장과 발육기능

③ 정신기능의 기초

④ 인체의 운동과 기능활동의 바탕

⑤ 외부자극 病邪에 대한 방어기능

⑥ 腎과 관련된 기능

신정의 부족- 이롱, 이명, 청력감퇴

뼈가 시리고 저리다. 허리 무릎 아프다.

2. 신(神)

1) 신의 개념

신은 생명활동 현상의 외부로의 표현작용

정신기능 활동, 초월적 인식능력, 지각작용

2) 신의 생성

*선천의 신- 부모로부터 받는다. 혼백

*후천의 신- 수곡정기흡수→기혈진액이 충양되어 생성

3) 신의 기능

① 온 몸을 다스린다.

② 정서를 총괄하고 조절한다.

③ 몸속에서 일어나는 생명활동의 정황을 밖으로 표현

기()

만물의 실체, 물질적, 기능적, 작용적인 의미가 있다.

장부와 지체를 구성하고 생명활동을 일으키고 유지하는 존재이다.

1) 기의 생성

*선천의 기- 부모의 정기(精氣)

*후천의 기- 수곡정기 + 청기(淸氣)

*기의 생성은 비위가 가장 중요 (신, 비, 위, 폐 관여)

2)(氣)의생리기능 : 추동, 온후, 고섭, 방어, 기화, 영양

구 분 작용 病理
추동(推動)작용

혈액과 진액의 생성 순환 흐름을 추진한다.

조직기관이 정상생리활동을 유지하도록 추진

血液순환이 늦어지면 瘀血발생

津液정체는 痰,濕,水飮 형성

온후(溫煦)작용 조직기관과 혈액 진액을 따뜻하게 하는 작용

실조되면 몸이 차가와 진다.

氣가 鬱結되면 열이 난다.

고섭(固攝)작용

血, 津液, 精液 등 액체형태물질의 유실방지

衛氣失→自汗,大汗,小便失禁,多小便,

遺精, 早泄, 滑精 *胃下垂, 子宮下垂, 脫肛

방어(防禦)작용 肌表보호, 外邪 침입을 방지 기 부족 손실되며 외사가 체내침입
기화(氣化)작용

精, 血, 津液의 신진대사와 상호간의 轉化

정미물질-수곡정기→氣血 *水液精氣→津液→땀, 소변. 조박→배설

수곡정기를→營氣,衛氣+淸氣→宗氣로 轉化

선천정기+수곡정기→元氣

淸氣→에너지로 사용후 濁氣로 轉化 →호흡, 땀구멍으로 배출 이모든 작용이 기화작용에 의한다.

영양(營養)작용 氣는 精微물질로 조직기관에 필요로 하는 영양을 공급한다. 조직은 氣를 원료로 자신의 구조를 갖추고 활동의 에너지를 충족한다. 脾胃허→운화력弱化→수납소화실조 →수곡정기 생산부실→氣영양결핍 →신체 쇠약해진다.
①추동생장, 발육, 장부 경락활동, 혈 진액운행
②온후체온유지, 혈진액 순행, 장부경락기능
③고섭혈액, 진액, 정액, 장부조직 제위치
④방어외사 침입방어, 퇴치
⑤기화기의 승강출입, 신진대사 정상유지 기혈진액생성과 땀 오줌 등 배출기능

3) 기의 종류와 생리 작용

종류 작용
元氣(원기) 신의 생리작용으로 만들어짐 후천의 영양으로 보충
삼초를 통해 경락 주리사이를 운행 성장발육, 경락장부의 온후 기능
근원은 신이지만 비위도 중요하다
원기가 소모되면 허증이 나타남
宗氣(종기) 자연으로부터 흡수한 청기와 비위가 만든 수곡정미가 폐에서 합하여 만들어진 것
폐의 호홉운동을 촉진하고 기혈을 운행시킨다
근원은 폐이지만 비위도 중요하고 부족하면 호홉, 심장박동 늦어짐
종기는 전중에 모인다.
營氣(영기) 비위에서 만들어진 수곡정미가 맥에 들어가 변화된 것
중초에서 나와 폐를 거쳐 경맥에 들어가 14경맥을 따라 온 몸을 순행한다.
혈을 만들고 온몸을 영양한다, 혈액성분
衛氣(위기) 비위에서 만들어진 수곡정미가 폐의 작용을 받아 활성이 크고 유동성이 빠른 부분이 경맥 밖으로 나와 만들어진 것이다
폐의 선발 숙강기능에 의해 맥박을 따라 순행 피부표면을 보호하여 사기의 침범을 막고 장부를 따뜻하게, 피모를 윤택하게 하며 땀의 배설과 체온을 조절한다
*수면과 관계있다. (취침- 체내순행, 깨어있으면- 체외순행)

4) 기의 종류와 분포

분류특징생성과 분포주요기능
元氣 (원기)생명활동의 원동력, 原氣, 眞氣腎의 精氣에서 化生되며 동시에 후천의 수곡정미의 자양을 받아야 한다.
元氣는 血,津液을 매개물로 三焦를 통 해 전신에 산포 생리활동을 촉진한다.
생장, 발육, 생식, 생리활동 추진
陽元氣:기화, 온후, 흥분, 운동
陰元氣:자양, 成形, 안정, 윤활
전신의 음양은 腎의 정기가 원천
宗氣 (종기)흉부(膻中)에 쌓인 氣(氣海)淸氣(호흡)+수곡정기(소화흡수)=宗氣
폐의 호흡기능 비의 運化기능의 합작 *虛里:종기가 모이는 곳-왼쪽가슴아래
①氣道를 통해 호흡한다.
②心脈을 관통 기혈을 운행
호흡, 언어, 목소리, 지체운동, 근골강약은 종기의 작용
營氣 (영기)혈맥 중에 흐르는 氣 (營陰)수곡정미에서 청정한 기로 맥중에 운행
중초→수태음폐경……→족궐음간경 →수태음폐경 끊임없이 순환
혈액을 구성하는 주요성분 진액과 결합 붉은 혈액생성
전신에 영양을 공급한다.
衛氣 (위기)맥의 외부를 흐르는 氣 (衛陽)수곡에서 화생한 날랜 氣(悍氣)
급하고 매끄러워 피부를 돌며 근육을 경계순행 황막을 따뜻하게 한다.
신체표면보호 외사침입을 막는다.
장부, 기육, 피모를 온양한다.
주리를 여닫고 땀분비 조절통제
臟腑의 經絡의 元氣, 宗氣 에서 파생선천정기, 청기, 수곡정기를 재료로 폐, 비위, 腎의 공동작용으로 化生
에너지원, 장부조직 구성재료, 장부의 精을 생성 저장하여 필요시 사용
 

5) 기의 운행

氣機 – 승강출입

*기체- 기기가 원활하지 못해 지체 불통

*기역- 지나치게 상승, 충분히 하강하지 못한 상태

*기함- 아래에 있어 충분히 상승하지 못할 때

*기탈- 기가 소모 손상되어 탈진한 상태

*기폐- 기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안에 울결

혈(血)

1) 혈의 생성

①수곡정기+청기→기화작용(폐)으로→맥관에서 변화

②신에 있는 精→골수와 간의 작용으로→혈로 바뀜

*혈생성은 비위기능이 가장 중요(비,위,폐,심,신,간)

*심화의 기화작용→적색혈로 변신 온기를 얻는다.

*종기의 추동작용으로 끊임없는 순환

2) 혈의 순행

*심기- 혈액순환의 원동력

*폐기- 폐에 모였다가 온 몸으로 퍼지게 한다.

*비기- 혈액이 맥 밖으로 넘쳐나진 않게 한다.

*간- 혈 저장, 혈관 내 혈액양 조절

3) 혈의 기능

① 온 몸을 영양하고 습윤시킨다.

② 정신 활동의 기초이다.

진액(津)

구분특징용도
맑고 묽다. 유동성이 좋다.피부, 근육, 공규, 표면을 자양, 습윤한다.
걸고 끈끈하고 유동성이 적다.골절, 장부, 뇌, 수(髓) 등 체내를 자양, 윤활한다.

*몸 안의 모든 정상적인 수액

※ 진액(津液)은 격(膈)삼초(三焦)를 통과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고 각 조직기관(組織器官)을 습윤(濕潤)과 자양(滋養)을 한다. [cf. 수포(輸布) : 輸送(수송) 및 分布(분포)]

1) 진액의 대사

*위, 소장, 대장에서 흡수된 영양과 수분에서 생성

*비의 운화로 폐→폐의 선발로 온 몸(삼초통로)으로

*진액의 생성,수송,배출은 폐,비,신의 조절기능

*진액대사 실조→水, 濕, 痰, 飮 등 수액이 체내에

2) 진액의 기능

① 자양하고 윤활하게 한다.

② 혈액의 구성성분

③ 음양의 평형을 조절- 날씨에 따라 땀, 소변 조절

④ 대사의 산물을 배설시킨다. – 불순물 배설

기(氣)ㆍ혈(血)ㆍ진액(津液)의 관계

기와 혈기는 혈을 생성시킨다.
기는 혈을 운행시킨다.
기는 혈을 통솔한다.
혈은 기의 근원이다.
기와 진액기는 진액을 생성시킨다.
기는 진액을 운송시킨다.
기는 진액을 고섭한다.
진액은 기를 싣고 운행한다.
혈과 진액혈과 진액은 서로 전환될 수 있다(진혈동원). *혈액이 부족하면 진액도 부족
기(氣), 혈(血), 진액(津液)의 상호관계

1. 기(氣)와 혈(血)의 관계

​기(氣)와 혈(血)은 모두 인체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본물질이다.

“기위혈지수(氣爲血之帥;기(氣)는 혈(血)의 인솔자이다. 즉 기(氣)는 혈(血)을 이끈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기(氣)가 혈(血)을 생성(生成)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기(氣)와 기(氣)의 기화작용(氣化作用)을 통해서 혈(血)의 조성(組成)과 생성(生成) 과정이 완성됨을 의미한다.

기(氣)는 혈(血)을 행(行)하게 할 수 있는데, 혈(血)의 운행(運行)은 기(氣)의 추동작용(推動作用)을 통해서만 온몸에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다.

기(氣)는 혈(血)을 통섭(統攝)하는데, 혈(血)이 맥(脈)을 따라서 순행하면서 맥외(脈外)로 넘쳐나지 않는 것은 바로 기(氣)의 고섭(固攝)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혈위기지모(血爲氣之母;혈(血)은 기(氣)의 어미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혈(血)이 기(氣)를 실어 나르고, 기(氣)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한다는 의미이며, 또한 기(氣)의 활력(活力)은 아주 강하여 반드시 혈(血)과 진액(津液)에 붙어야만 체내에 존재하여 일탈(逸脫)하지 않는다는 의미도 포함한다.(혈은 기의 근원이다)

2. 기(氣)와 진액(津液)의 관계

기(氣)는 진액(津液)을 생(生)하게 할 수 있는데, 진액(津液)의 생성(生成)은 비위(脾胃)가 음식물을 운화(運化)하는 기능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으며, 비위(脾胃)의 기(氣)가 왕성하면 진액(津液)이 또한 가득차서 왕성하게 되고, 비위(脾胃)의 기(氣)가 부족하면 진액(津液) 또한 화생(化生)이 부족하게 된다.

기(氣)는 진액(津液)을 운행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데, 진액(津液)의 수포(輸布), 운행(運行)배설(排泄)은 전적으로 기(氣)의 승강출입(升降出入) 운동과 기(氣)의 기화(氣化) 기능에 달려 있다.

기(氣)는 진액을 고섭(固攝)하여 진액(津液)이 유실(流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액은 혈(血)과 마찬가지로 체내에서 기(氣)를 실어 나르고 있다.(진액은 기를 싣고 운행). 기(氣)는 진액(津液)과 혈(血)이 있어야만 체내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진액(津液)이 대량으로 유실(流失)되는 때에는 기(氣) 또한 그것을 따라서 탈일(脫逸)한다.

3. 진액(津液)과 혈(血)의 관계

진액(津液)과 혈(血)은 모두 액체로 음(陰)에 속하며, 모두 영양(營養)하고 자윤(滋潤)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진액은 혈액(血液)의 중요한 성분이 되며, 혈중(血中)의 일부분이 맥외(脈外)로 삼출(滲出)하면 바로 진액이 된다. 진액은 끊임없이 혈액을 보충해줌으로써 혈액을 항상 충분하게 유지시키는 일을 하는데, 만약 진액이 부족할 경우에는 혈액이 진액으로 전화(轉化)하여 진액을 보충해주기도 하므로 진액과 혈액은 동원(同源)이라고 한다. 병리적으로 살펴보면, 반복적으로 출혈(出血)하면 진액에도 영향을 주어서 모혈상진(耗血傷津)하는 병증(病證)이 나타나고, 심각한 상진탈액(傷津脫液)의 경우에도 혈액에 영향을 주어서 진고혈조(津枯血燥)의 병증(病證)이 나타나게 된다.

정ㆍ신ㆍ기ㆍ혈과 장부와의 관계

장상학 개론 2

장부의 기능(음식대사)

오장육부 기능

수곡(水穀) : 물과 곡물
부숙(腐熟) : 썩어서 익음.
선발(宣發) : 宣은 산포한다는 뜻이고 發은 발산한다는 뜻.
폐가 선발을 주관한다는 뜻은 폐기가 기혈과 진액을 전신에 퍼뜨려 안으로는 장부경락에, 밖으로는 기육과 피모에 이르기까지 닿지 않는 곳이 없음을 말한다
숙강(肅降) : 폐기(肺氣)의 청정(淸淨)하게 하고 하강시키는 생리적 특성 . 숙강(肅降:기를 맑게 하고 아래로 내려 보내는 작용)
깨끗하게 제거하고 하강한다는 뜻으로서 폐기에 하행시키는 작용과 호흡도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작용. 肅은 맑게 한다는 뜻이고 降은 하강시킨다는 뜻
비별청탁(泌別淸濁) : 청탁을 구분해서 분비한다 (泌는 ‘분비할 비’라는 한자로, ‘분비(分泌)하다’를 뜻한다._)
운화(運化) :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영양물질과 수분을 흡수하여 온몸에 운반하는 기능.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장상학 개론 3

[키워드] #정신기혈 #기와혈 #진혈동원 #정신기혈진액 #위-부속 #비-운화 #위-부숙 #소장-분별청탁 #폐-선발숙강 #간주근 #간장혈 #간주소설 #심주혈맥 #심장신 #비주운화 #비주통혈 #비주승청 #폐주기 #선발숙강 #통조수도 #폐조백맥 #기혈 #진액


[mc4wp_form id=9589]
댓글 정말 환영합니다. 😊
댓글로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 함께 공유해요. 🤩
댓글로 알려주시는 정보를 보기 좋게 정리하고 쉽게 검색될 수 있게 구성해서 활용성을 높이겠습니다.
더 도움되는 컨텐츠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