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별 요혈, 특효혈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증상별 요혈, 특효혈에 대한 자료들 정리한다, 중풍7대 요혈, 두통, 불면증, 술깨는혈, 해독(금연)혈, 변비, 설사, 가려움증, 이명, 열 빼는혈, 몸살 등 침뜸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요혈(특효혈)들을 증상별로 분류해서 정리하였다. 이후, 확인과 검증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내용 보완을 해 나갈 예정이다.

목차

많이 알려진 요혈

■ 중풍 7대 요혈

: 백회(百會)/족삼리(足三里)/곡지(曲池)/곡빈(曲鬢)/견정(肩井)/풍시(風市)/현종(懸鐘)

3개(백회, 족삼리, 곡지) + 담경4개(곡빈, 견정, 풍시, 현종)

< 암기 방법 >
3개 : 간과 2개의 양명경(위,대장)
–> 간(백회), 위(족삼리), 대장(곡지)
담경의 4개 : 머리부터 옆구리 타고 내려가면서
–> 머리(곡빈), 어깨(견정), 다리 (풍시, 현종)

  • 곡빈7 : 이첨 수평선과 이주 전연 수직선이 만나는 곳
  • 견정21(肩) :대추와 견봉외단을 이은 선의 중간
  • 풍시31 : 정립하고 팔을 차렸자세로 내려 가운뎃손가락 끝이 닿는 곳
  • 현종39(팔회혈 중 수회) : 외과첨 상 3촌

중풍 관련 담경 4혈

곡빈 (족소양담경, GB-7) :

  • 주치 : 반신불수 (반대편으로 온다)

견정(肩井) (족소양담경 GB-21)

  • 취혈 : 대추와 견봉외단을 이은선의 중간
  • 효과 : 폐가 약하고 폐기침 -> 견정 뜸

풍시 (족소양담경,GB-31)

  • 취혈 : 차렷하면 중지 닿는 곳이 풍시. 대퇴골 뒷쪽
  • 주치 : 전신소양(피부두두레기:가렵고 헌다)

현종 (족소양담경,GB-39)

  • 취혈 : 외과첨 상3촌 (외과첨-슬증 : 16촌)
  • 특징 : 팔회혈(수회) : + 대저(방광경,팔회혈,골회) 함께 ==>골수
  • 주치 : 전신절통(마디마디 아픔)=> +외관 : 현종(다리측면)–>외관(팔측면) <– 감기몸살
  • 효과 : 공수이행증후군(혈액암)에 효과 –> 투석은 안하게 됨

<현종 자침 요령>

외과첨에서 비골을 따라 올라가다가 절골되는 위치를 일단 찾고.
그 자리에서 앞으로 와서, 비골 전연(앞쪽 가장자리)을 찾아서 자침.
침 각도가, 직자를 하면 경골에 걸린다.살짤 밑으로 보내야 경골 밑 비골 사이로 들어간다.
제대로 놓으면 침이 끝까지 아무것도 걸리지 않고 들어간다. 실제로는 반 정도만 자침하면 된다.
현종 투 삼음교(내과첨 상3/15촌).

<중풍 관련 증상 세부 요혈 정리>

중풍예방 : 현종, 족삼리

뇌경색 시 : (곡빈, 풍시, 현종)대신에 풍지(風池), 대추, 간사
※ 중풍마비 반대쪽 머리를 더듬어 말랑말랑 튀어나온 아시혈에 반드시 뜸

반신불수 :

팔꿈치가 오그라 들면 – 곡택
팔목이 오그라 들면 – 대릉
오금이 오르라 들면 – 곡천
발목이 오르라 들면 – 태계
손가락이 오르라 들면 – 팔사
발가락이 오그라 들면 – 팔풍
언어장애 – 염천혈, 통리

중풍 추가 보충혈 : 중완, 기해, 관원, 폐유, 간유, 신유, 양릉천

중풍졸도 구급혈 :  

사혈- 소택(少澤-새끼손가락 끝),
십선혈(十宣穴-위급시 쓰는 혈자리, 처방으로 열 손가락 말단 부위)
인당(印堂-두 눈썹머리 연결점의 중간지점)
인중(人中-코와 윗입술 사이)=수구

증상별 요혈

증상에 따른 요혈에 대한 자료들은 많이 있는데, 너무 다양한 내용들이 많아서 혼돈이 올 정도이다. 이에 대한 정리는 완결의 의미라기보다는, 이러한 내용들을 일차 정리하여 공유하고, 이러한 내용에 대한 확인 및 검증의 과정을 통해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증상별 치료 요혈 정리

Y01. 두통

Y02. 불면증

  • 만성간염에 가려움증, 간반(肝斑)이 심한 경우
    • 간장(肝臟)의 원기(元氣)가 모여있는 : 태충(太衝)
    • 간(肝)의 기(氣)가 모이는 가슴의 : 기문(期門)
    • 간장(肝臟)의 기(氣)가 흘러드는 등에 있는 : 간유(肝兪) – 불면증의 특효혈
    • 신(腎)의 기능을 북돋아 독소를 잘 배설하도록 다리안쪽 복사뼈 위 : 축빈(築賓)
    • 피부는 폐(肺)와 대장(大腸)이 주관하니 : 폐유(肺兪), 견우(肩髃) -가려움증 해소
    • 간(肝)의 혈액저장 기능을 돕고 혈액을 깨끗하게 해 피부병도 낫도록 무릅뼈 안쪽 모서리 : 혈해(血海)
    • 간(肝)의 기능이 정상되기위해서는 비위(脾胃)의 기능이 대단히 중요 : 중완(中脘), 양문(梁門)

Y03. 술깨는 혈

Y04. 해독 / 금연

  • 설명: 금연성공율 90% 혈(穴)
  • 폐유, 간유, 축빈 혈(穴)에 피내침

Y05. 백내장, 각막염의 경우

Y06. 이명, 이롱

Y07. 다래끼

Y08. 중이염

  • 설명: 예풍(蘙風) 깊게 자침(刺鍼)

Y09. 코피

  • 설명: 코피나는 코의 반대쪽팔 극문(郄門)혈에 자침(刺鍼)하면멈춤.

Y10. 빈혈

Y11. 멀미

  • 설명: 합곡에 자침(刺鍼)
  • 참고: – 멀미 예방 치료 : 백회(百會)

Y12. 어지러움증 (현훈)

Y13. 딸국질(肺)

  • 참고: :손가락 1.2.3 발가락 1.2.4번 (사혈 하거나, 엄지 손톱으로 강하게 지압)

Y14. 상열하한증

Y15. 변비

  • 참고: 여자들은 자궁에 이상이 있어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변비가 있으면 식욕부진, 두통, 불면증, 혈압항진, 신경통 등을 가져오기도 한다.

Y16. 설사

  • 참고: 양구는 설사치료 요혈인데, 노인들에게 다른 치료 목적으로 쓰면 변비로 고생한다. 노인들에게는 양구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Y17. 당뇨

  • 설명: 당뇨환자 필수혈
  • 간유(肝兪)(뜸) : (남자)-왼쪽 간유     (여자)-오른쪽 간유
  • 비유(脾兪)(뜸) : (남자)-오른쪽 비유   (여자)-왼쪽 비유
  • 좌기문, 좌양문, 족삼리, 곡지, 중완, 기해, 관원, 태계, 수천

Y18. 동계

  • 설명: 삼초유는 적취로 인한 동계가 느껴질때 쓰는 혈자리입니다

Y19. 가려움증 (소양증)

Y20. 열빼는혈

  • 설명: 소충- 손바닥 열, 소아경련, 열을 빼는 명혈
  • 참고: 열로 인해 건조해지면 가려움증 생김->가려움증에도 효과

Y21. 반신불수

  • 참고: [풍시] –> 반신불수, 무릅관절안좋을때, 중풍7대요혈, 하지무력증에 효과

Y22. 몸살

Y23. 견비통(어깨통증)

  • (증상) 견비통은 어깨와 어깨관절, 목 관절 사이 그리고 견갑골 안쪽에 뻐근한 느낌이나 무거운 느낌, 딱딱한 느낌, 또는 뻣뻣하면서 당기고 쑤시는 증상을 느끼며 항상 피로하고 불쾌한 증상을 느끼는 질환.
  • 살집있으신분 -> 습담견비통(어깨통증)
  • 목 뒤쪽의 : 대추(大椎)
  • 아픈 팔 쪽의 어깨근육 풀어지도록 : 견정(肩井), 천종(天宗), 비노(臂臑)
  • 어깨 오목한 부위 중 앞쪽에 해당하는 : 견우(肩髃)-환도를 이용해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침을 찔러넣는다.

okepapa_banner

기타 증상에 따른 요혈 정리

01.못이나 티눈

뜸의 사법

02.비염

상성

03.식체

LU11 소상 (少商)

04.식중독

이내정 (경외기혈) – 뜸의 사법

05.감기 /해열

감기 -> 풍문(風門, BL12) or 폐유
※ 해열효과의 우선순위는 지구중저연곡소상 또는 음곡의 순서

06.근육통

오수혈 / 아시혈

07.급체

급체했을때 구급혈 / 소상혈, 은백혈, 여태

사관혈(합곡, 태충), 내정, 중완, 지양,  소상(☞사혈점)

  • 체해서 머리가 아플 경우: 소부
  • 사관혈 : 합곡6부(腑)의 기(氣)를 뚫어준다. / 태충5장(臟)의 혈(穴)을 뚫어준다.

08.복통설사

양구(극혈)

09.당뇨병

비가 약해서 생기는 병 – 족태음비경의 “지기“라는 극혈

10.고열

이첨(耳尖)‘에 침을 꽂아도 금세 열이 내린다. 사진첨부

11.노안

양로(養老)혈

12.눈을 좋아지게 하는 방법

근본적인 방법은 간(肝)을 다스리는 것 : 본치(本治)
목사혈 : 눈 주변의 상하좌우혈 (양백+승읍+찬죽+사죽공(혹은 동자료)) 혹은 눈 주변의 모든 혈을 의미하기도 한다.

13.비문증 (신허증)

무극보양+양릉천, 간유, 신유(뜸) / 정명,동자료,예풍,찬죽(국소아시혈)
– 신양허 : 신유(뜸), 태계, 장문, 복류
– 신음허 : 지실(뜸), 대돈, 곡골, 횡골
* 비문증 한방 처치: 구후, 건명, 신관
* 비문증에 좋은 음식: 결명자, 구기자, 사과와 블루베리, 당근

14.좌골신경통

신유, 포황, 은문, 승근, 족삼리, 곡지, 중완

  – 발등새끼발가락~종아리 바깥쪽 통증시 : 제5요추~선골사이 이상
  – 발등엄지발가락~종아리 앞 바깥쪽 통증시 : 제4요추~제5요추사이 이상
  – 종아리앞 안쪽이 저리고 뻗치듯 통증시 : 제3요추~제4요추사이 이상
  – 원인 : 척수염, 당뇨, 빈혈, 임신, 난소종양, 자궁 및 그 주위 염, 방광질환, 히스테리, 좌상, 감기, 과로, 치질, 상습변비, 알콜중독 시

15.소아 해열

이첨에 사혈침 + 대추, 소상

16.생리통

삼음교, 요양관

※ 생리통이 심한 사람은 생리 시작 7~10일 전에 삼음교, 중극, 수도에 ‘피내침’을 하면 수월하게 생리를 넘길 수 있다.

17.변비

황유, 천추(天樞), 지구, 경외기혈 ‘이신문(裏神門)’

18.딸국질

지양, 중완

19.백내장

후계, 속골, 중저 사진첨부

20.중풍7대 요혈

백회, 곡빈, 견정, 풍시, 족삼리, 현종, 곡지

21.각종 두통

합곡(合谷)

22.피부 가려움증

축빈(족소음신경, KI-9) – 해독작용

23.거담(가래 제거)

풍륭(족양명위경, ST-40)

24.코막힘

상영향

25.유방암 말기 통증

공손, 내관, 내정, 행간

26.잠이 잘 안온다(불면)

족임읍,두임읍(침), 완골(完骨,담경)(뜸)

27.불면증

신문 (세부 설명 ☞ 링크)

28.식탐, 갈증을 없애주는 혈

지창

29.냉증 (손발이 차고, 아랫배가 찬 경우)

신유에 뜸

30.피부건조,가려움,진물

-> 폐기운 약하다 ->폐/대장경 침(곡지, 합곡, 양계, 견우)

31.음양실조/편쇠/양편쇠(허한) – 손발이 차다

노궁,소부,대릉 뜸 (5장)

32.음양실조/편쇠/음편쇠(허열) -가슴답답(열)

전중에 뜸

33.식곤증, 춘곤증

족삼리 10장.

34.무릎 아플때

독비 뜸(5~7장)

35.비후성 비염

비중격에 침

36.구안와사(口眼瓦肆)

발병 직후 족삼리에 침 또는 뜸

37.급체, 식체

소상, 은백, 지양

38.쉰 목 치료 방법

대장경의 곡지, 위경의 족삼리, 그리고 비경의 음릉천

39.상열하한증

뜸 : (백회), 곡지, 족삼리 / 침 : 함곡(위경)

40.관절염 (풍비증)

(습)혈해, 양구 / (풍)곡천, 광명, 현종, 풍시

41.화병(화증)/갑상선

(남)거궐, (여)전중

42.발목 삐었을 때

구허 (외과첨 하 전방 장지신근건과 만나는 외측 함요처.)

43.무릎 관절 나가서 못걷는 분

독비+내슬안(침+뜸)

44.기체증에는

정혈을 주로 사용

45.천장관절염좌

환도침으로

천장관절 침법 (설명)

천장관절 위치

천장관절 위치
천장관절 자침 상태

천장관절 자침 방향

천장관절염 자침위치

46.발 뒷꿈치 아플 때

발등 적백선 따라서 뜸

47.족저통(발바닥 아픔)

태계

48.다리 부었을 때

복류, 음곡

49.피부질환

곡지, 견우, 혈해

50.스트레스에 의한 영양실조

거궐, 중완, 좌양문, 우활육문

51.면종(얼굴에 종기)

수삼리 다장

52.출혈, 하혈의 지혈

대돈 – 구당 비방

53.만성맹장, 장염

구분 진단이 중요 : 기해 뜸 100장

54.식중독, 두두레기

이내정

55.편두통

두유,함염,현로,현리 투자 + 천주 사진첨부

56.이명

예풍 (심자) 사진첨부

57.좌골신경통

환도 or 둔압 사진첨부

58.당뇨

지기(SP-8,비경) – 인술린 분비 촉진

59.코골이, 이갈이, 하악탈곡

하관

60.어깨 아픈 사람

천종천료를 같이 치료

61.요통

5_4_3번 요추 + 요안 + 1천추 + 둔압 사진첨부

[요통(腰痛)에 주로 쓰이는 경혈의 조합]
  • 위중(委中) – 곤륜(崑崙)
  • 명문(命門) – 요양관(腰陽關)
  • 상양(商陽) – 지음(至陰)
  • 공손(公孫) – 내관(內關)

62.자다가 발에 쥐

승산 뜸 7장

63.턱 빠졌을 때

하관, 예풍, 협거, 곡빈

64.비문증

간실증, 신허증 : 신유, 지실

65.주요 안질환 : 안충혈, 눈피로, 비문, 안구건조증

목4혈(목사혈)

66.급체

공손, 내관

67.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간사‘  우울증에도

68.식체위완

소상, 은백 딴다. (침) 사관+공손, 내관

69.전신절통(감기몸살)

외관+현종

70.대상포진과 담마진(=두드러기)

혈해 // 전요화단(纏腰火丹) 곡지(曲池)·합곡(合谷)·지구(支溝) 사진첨부

71.기력이 약한 사람 치료

양문, 우활육문

72.재체기

어제

73.구취, 입냄새

지창

74.혈압

족삼리, 위중

75.눈대래끼(맥립종)

소료, 은백, 후계

76.콧물, 코막힘

상성

콧물 그치게 하는 특효별 : 어제

77.화병-속이 더부룩함

공손+내관

78.현훈

두유 + 백회에 뜸

79.종아리 쥐

혈액순환 문제 -> > 합양, 승근, 승산

80.안구건조증

눈물샘 막힘. –> 목사혈

눈물 분비기관 (이미지)
증상별 요혈, 특효혈 1

81.비루관폐쇠증(비루관 협착)

비루관(鼻淚管)은 눈의 위아래 안쪽 구석 눈꺼풀 부위에 존재하는 눈물점(누점)부터 시작하여 코와 연결되어 뚫려 있는 통로

비루관(鼻淚管) 막힘 –> 비루관 부분 피내침

82.신물이 올라오고 속이 더부룩할때

수분‘ 상사자

83.백내장

각손에 뜸 10장

84.마른기침(목구멍 간질간질)

예풍, 염천 에 자침

85.화상침

주의점 : 치료시기를 놓치지 마라 : 화상 직후부터 1~2주일 이내

구당 화상침(2도 화상)

  • 2도 화상은 2~3번 침(鍼)을 맞으면 흉터없이 낫게 됨.(7일~10일 정도..)
  • 화상침은 아주 간단함. 화상입은 부위에 침을 꽂기만 하면 됨.
  • 화상은 외상이므로 아시혈(阿是穴)이 매우 중요함.
  • 상처부위의 아시혈(阿是穴)은 화기(火氣)와 통증을 없애고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며 피부조직을 깨끗이 회복시키는데 결정적인 치료점. 화상은 아시혈(阿是穴)만으로도 치료가 됨.
    ☞ 인체의 치유능력을 돕기 위해 몇군데 경혈에 자침(刺鍼)
  • 몸의 열기(熱氣)를 없애고, 여기에 뜸을 뜨면 크게 곪은 종기나 옴등이 없어지는 : 풍문(風門) -자침(刺鍼)시 화상의 뜨거운 기운을 없애고 상처가 허는 것을 막는다.
  • 폐주피모(肺主皮毛) 피부의 탈은 피부를 주관하는 폐(肺)를 도와야 깨끗하게 낫는 것이므로 등에서 폐(肺)의 기(氣)가 흘러드는 : 폐유(肺兪) –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 조직을 복구
  • 해독(解毒)에 특효가 있는 아랫다리 안쪽의 : 축빈(築賓)-태독(胎毒), 매독(梅毒)같은 병의 독이나 약의 독까지 없애는 혈(穴)로 화상의 독을 없앤다.
  • 화상의 상처엔 피가 몰리고 백혈구가 모여 진물이 흐르므로 피를 만드는 장기인 비(脾)에 속한 경혈이며 어혈을 없애는: 혈해(血海) – 혈액과 백혈구를 조절하고 도와 병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고 상처가 곪지 않는다.
  • 바깥 팔목 위쪽의 : 외관(外關)-몸의 외부에 관계하며 동시에 통증을 없애주는 마취혈(痲醉穴)
  • 피부이식수술이 필요없고, 화상부위에 딱지가 앉게 되며, 딱지가 떨어지면 자연치유됨.

※ 화상침 부위에 진물은 백혈구가 모여 있는 말간 피로, 백혈구는 인체가 가지고 있는 면역력의 본체이며, 인체내 병원균 침입시 모여들어 싸우는 병사가 백혈구이며, 진물이 난다는 것은 백혈구가 힘차게 활동을 하고 있다는 증거임.

화상치료 경과
  • 화상 당일 : 침을 화상입은 부위에 1~3㎝간격으로 화상정도에 따라 최소 30분 이상 꽂아 놓는다. 정도에 따라 통증은 5분~1시간 사이에 사라진다.
  • 치료 첫날(17시간 후) : 화상 부위의 손상된 표피를 일부러 제거하지 않는다.
  • 치료 이틀째 : 진물과 부종을 치료하면 치료의 결과물로 상피화(딱지)가 진행된다. 상피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진물이 나면 침 치료를 계속하고 진물이 나지 않으면 침치료를 완료한다.
  • 치료 일 주일 때 : 상피화(딱지)가 진행될 때 딱지를 억지로 떼어내면 흉터가 남기도 하고, 치료 시간도 더 오래 걸리므로 딱지를 억지로 떼어내지 않아야 한다.
  • 치료 한 달 후 : 육안으로는 흔적조차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완치됨.

86.주부습진

액문, 중저 침 (격일로)

87.멀미1

백회, 중완, 거궐
거궐에 침만 + 두유에 찔렀다 뺀다(속절속발)
+ 예풍에 침(귀밑에 자리)

멀미 – ‘합곡’에 자침

88. 허리 디스크(침)

  • 양관(제4요추~제5요추)
  • 제3요추~제4요추
  • 제5요추~제1선골
  • 발목 뒤쪽의 : 곤륜(崑崙),
  • 오금 가운데의 : 위중(委中) – 침으로 경락의 흐름을 소통시키면 혈(血)의 흐름이 활발해지면서 통증도 서서히 가라앉는다.
  • 아시혈(포황, 외포황)- 살이 두툼한 엉덩이로 기다란 환도침을 깊숙이 놓아 자극이 다리 아래까지 찌릿하게 가도록 찔러야 한다.
  • 뼈와 뼈사이를 잇는 힘줄과 힘살이 기혈(氣血)을 북돋우며, 근(筋)의 정기(正氣)가 모이는 : 양릉천(침, 뜸),
  • 허리근육의 힘을 받쳐 주는 : 배의 복직근 위, 배꼽 옆 천추(天樞), 대거(大巨)
  • 종아리나 발가락 끝까지 뻗치듯 아파할 때는 대퇴부 뒤쪽 가운데 : 은문(殷門)
  • 종아리에 있는 : 승근(承筋)
    ☞ 허리가 약한 것은 몸 전체가 허하기 때문에 : 무극보양뜸

89.  불임(不姙) ☞ 침보다 뜸

  – 남성불임의 원인 : 정충의 수가 부족, 정자가 있어도 활동이 약한 경우, 고환이나  부고환,  정자의 통로인                                 정관, 요도, 기타 성기에 이상이 있거나 발육이 부진한 경우

  – 여성불임의 원인 : 질, 자궁, 난관, 난소등 생식기 발육 부진과 기형인 경우, 난소의 기능이 나빠서 건강한                          난자를 배출하지 못할 때나 무배란도 불임의 대표적 원인임. 난소부위 물혹, 배란기 2~3일정도                         바늘로 콕콕 쑤시는 통증, 난자가 잘 배출되지 않거나 배출되어도 정상적인 건강한 난자 배출을                         못하면 임신이 안됨.

  – 남성 : 기해, 관원, 천추, 신유, 간유, 폐유, 고황, 중완, 곡지, 족삼리

        ※ 기해, 관원 : 눈에 띄게 발기력 향상,  

            신유: 정충의 수와 활동 활발

  – 여성 :  생식기 보강(침, 뜸) : 중극, 수도, 삼음교(뜸),

        ※ 난소부위 치료 혈 : 대거, 외능, 상료, 차료

90. 갱년기 증상 : 무극보양뜸, 신유, 삼음교, 전중

   – 증상 : 45세가 넘은 여성이 갑자기 몸이 후끈해지며 열이 올랐다가 순식간에 으슬으슬 추워지며 땀이 좍 나는 증상이 가장 대표적임. 온몸이 여기저기 아프지 않은데가 없고 특히 팔다리가 쑤시며 기운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되거나 식욕이 없기도 하고, 식사량이 갑자기 많아지거나, 어깨가 돌을 달아놓은 것처럼 굳어지며 머리에 뭘 씌워놓은 것 처럼 명쾌하질 못하고 두통에 시달리고 가슴이 이유없이 두근거리고 가슴부위 압박느낌, 우울, 짜증 변덕, 신경질 투정..

91. 양기(陽氣)회복의 최고의 방법 : 뜸 – 관원, 기해

   ※ 뜸은 부부가 함께 해야..그렇지 않으면 뜸을 뜨는쪽과 그렇지 않은 쪽의 균형이 맞지 않아 부부갈등 유발됨.

92. 발기력 저하 시 : 상료(上髎), 중료(中髎)  

93. 동맥경화

  • 어깨와 목의 결림 : 견외유(肩外兪)
  • 등 허리 통증과 옆구리 결림 : 지양(至陽)
  • 심장이상으로 생긴 통증 : 심유(心兪)
  • 팔회혈(八會穴)중 혈(血)의 회(會)이면서 횡격막을 주관하는 : 격유(膈兪)
  • 등쪽 견갑골 상단 움푹들어간 자리인 : 천료(天髎)
  • 폐(肺)와 심장(心臟)을 한번에 도와주는 : 고황(膏肓)
  • 견갑골 중앙부 우묵들어간 부위 : 천종(天宗)
  • 풍사(風邪) 침입을 막아주는 : 병풍(秉風)
  • 심장(心臟)을 보해주는 : 전중(膻中)
  • 원기(元氣)회복 : 기해(氣海), 관원(關元) -침, 뜸:족삼리, 곡지

94. 재생 불량성 빈혈

 ☞이 병은 서서히 진행되고 혈액이상으로 생기는 병으로 뜸이 최고의 의술로 뜸은 세포에 활력을         주고, 혈액순환에 크게 도움은 물론 혈액의 성분을 변화시켜주기 때문

  • 자궁출혈 지혈 : 대돈(大敦) -뜸
  • 피를 맑게 : 간유(肝兪)
  • 간(肝)의 혈액 저장 기능 활발 : 태충(太衝)
  • 비(脾)를 튼튼 : 비유(脾兪)
  • 폐(肺)를 튼튼 : 폐유(肺兪)
  • 심(心)을 돕고 열(熱)을 다스리는 : 내관(內關)
  • 자궁에 탈이 났으니 간(肝), 비(脾), 신(腎)의 경락이 만나는 : 삼음교(三陰交)
  • 대장(大腸)의 기(氣)가 오이며 생식기에 도움을 주는 : 천추(天樞)
  • 기(氣)가 지나치게 상승되고 혈(血)은 하강된 것을 바로잡기 위해서 상승된 기(氣)를 끌어내리는 : 족삼리(足三里)
  • 양팔의 혈(血)을 끌어내리는 : 곡지(曲池)
  • 잘 먹게 하여 영양을 보충 : 중완(中脘)

94. 치통(齒痛)

※ 윗니 아플 경우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대표경혈 : 족삼리(足三里)
  • 통증을 멎게 하는 : 해계(解谿)
  • 통증이 있는 뺨 : 권료(顴髎),
  • 코 밑의 : 화료(禾髎)
  • 귓불 바로 뒤에 있는 : 예풍(蘙風)

※ 아랫니 아플 경우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진통작용이 큰 : 합곡(合谷), 곡지(曲池)
  • 통증이 있는 턱의 : 협거(頰車)
  • 귀 앞의 : 하관(下關)
  • 귓불 바로 뒤 : 예풍(蘙風)

95. 홧병의 요혈 

: 전중, 소부(일체의 홧병, 관절통)

96. 어지럼증 

: 수삼리, 두유

구당 김남수 비방&특효혈 (정리)

■ 눈다래끼(麥粒腫, 맥립종)

침이 없으면 임시방편으로 반대측 후계(後谿)를 볼펜심(이것도 연침법에 들어간다.)으로 자극.
침은 금속이 아니면 안된다.
아침에 시술하면 저녁 때 사라진다.

■ 집중력

: 백회(百會)를 반드시 뜸(灸)를 해야 한다. 관악 청소년 회관에서 주변의 고시생들에게 시술.
피로회복에도 좋다고들 한다.

■ 손목 염좌

  1. 반대측 발목부의 사선대칭으로 자침하고 손목은 동기(動氣)
  2. 반대측 대칭.

■ 감기몸살

: 현종(懸鍾)상사, 외관(外關)하사, 풍지(風池), 풍부(風府), 풍문(風門), 대추(大椎), 폐유(肺兪) //

현종(懸鍾), 외관(外關)을 자침시 아주 편해진다. 사법은 큰 의미가 없는 것 같다.

■ 치질

: 공최(孔最)를 누르면 깜짝 놀람.

■ 설사

: 양구(梁丘) 부위가 특히 반응이 있는지 찾는다. 자까지 재서 골도로 찾아봐야 소용없다.

■ 두통

■ 비색, 비연

■ 금연 피내침

  1. 이침의 압정식의 피내침과는 달리 김남수 선생님은 다른 형태로 만들어 쓰신다. (체침형태이나 침병은 납작하고 사각형, 침은 운동시 걸리지 않을 정도로 짧다. <실용침구학>을 찾아보니 ‘맥립종 피내침(麥粒狀 皮內針)’과 같았다. 단, 침병은 보리쌀 형태)
  2. 근육의 운동에 불편없게 결을 따라 들어가야 한다. 보통 수평으로 자입. 때밀이로 밀지 않는 한 계속 붙일 수 있다.
  3. 걸어가다가 어지럽다고 주저앉거나 구토를 한, 체격 좋은 건강자들도 있었다. (속미식, 구토감, 식은 땀)

■ 전립선염

: 방광을 향하여 중극(中極)을 자침시 한방이면 나갈 때 오줌 나오는 것이 다르다.

■ 소아과(설사나 夜啼 등)

: 사관(四關), 신주(身柱)만 가지고도 거의 낫는다. 유침(留針)은 필요없다. 김선생님 손주들은 출산한 지 3일, 혹 1주일만에 신주(身柱), 백회(百會)에 뜸을 떴다. 9,10개월만에 걷게 됨. 현재는 중완(中脘)까지 해서 3군데만 뜸을 뜨고, 아플 때만 침 좀 놔준다.

■ 소아 해열

  1. 병원에서는 해열로 얼음찜질을 이용하여 물리적 용해를 시킨다. 즉, 녹을 때 용해열량을 요구하여 체온을 빼앗아 가는데 주로 이마,가슴 부위를 해열시킨다. 하지만 ‘얼음찜질’이나 ‘알콜마사지’의 인공적 열 빼앗기는 문제점이 크다. 병원을 다녀온 뒤 쫙 늘어져서 여기에 오는 아이들은 눈도 못뜨고 말도 못하게 되는 등 초죽음이 되어 있다.
  2. 그 이유는
    ① 기화열의 고효율을 못쓰게 된다.
    ② 체표(이마,가슴)의 부분적 열만 내리니 균형이 깨진다. 유리잔이 깨지는 이유는 외부와 내부의 국소적인 큰 온도차에 의한 것이다.
    ③ 발한을 방해한다.

특효가 있는 경혈

천추(天樞)

비만 특효혈. 천추혈은 활육문 아래 1寸. 중초와 하초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함

독비(犢鼻)

무릎 관절 통증에 특효

지기(地機)

당뇨의 특효혈, 이급후증(배뇨×)의 특효혈, 급성병

비유(脾兪)

당뇨병 특효혈

음렴(陰廉)

최면혈, 잠을 잘오게 하며, 여자 불감증 치료 특효혈

기타 특효가 있다고 알려진 경혈

간유, 지양(뜸), (협계, 예풍) – 빈혈
격유, 지양 – 위산과다증
견우 – 두드러기, 습
곡골(뜸) – 소변이 절로 나오는데
곡지(뜸) – 잇몸 출혈
♥ 곡지 – 결막염
곡천(뜸) – 유정증
곤륜(뜸) – 설사(장결핵)
공최 – 치질의 명혈
궐음유 – 비루관이 막힌데
극문 – 각혈, 늑막염, 부정맥
극문, 거궐 – 심계항진
♥ 극문, 신문 – 협심증
♥ 극문, 양릉천(뜸) – 피 구토
♥ 극천(뜸) – 액취증
내정(뜸) – 치통(위)
전중[단중](뜸) – 가슴아픔
대돈 – 고환염
대저 – 안저 출혈
대횡(뜸) – 헤르니아(=서혜부 탈장: 사타구니나 음낭 쪽으로 장이 튀어나오는 질환)
명문(뜸)-치질 출혈, 피오줌, 어린이 구토
백회(뜸) – 탈홍, 뇌진탕 후유증, 두통
♥ 백회, 간유(뜸) – 식은 땀
복결(왼쪽) – 변비

삼음교(뜸) – 진통미약, 생리과소
소상, 상양 – 편도염
수분, 곡천(뜸) – 복막염
♥ 수삼리(뜸) – 코피, 비염
수삼리, 합곡 – 뾰루지
식두, 풍문(뜸) – 백날기침
신주 – 젖을 나오는데, 어린이 소화불량증, 경풍, 어린이 폐렴
♥ 신주, 명문(뜸) – 어린이 천식
♥ 신주, 후계(뜸) – 폐렴
신회(뜸) – 코막히는데, 냄새를 맡지 못하는데
양구, 기해 – 충수염
양릉천 – 위궤양, 생리과다
영향 – 비염
온류, 궐음유 – 치통
위중 – 요통
이내정(뜸) – 식중독

장문(뜸) – 복막염, 잠꼬대를 많이 하는데
♥ 장문, 경문(뜸) – 복통
중극, 곡천 – 방광염
중부, 척택 – 기관지염
♥ 중완, 보아스압통점(뜸) – 담석선통
중완, 양지 – 된입쓰리, 자궁 위치 이상
지음(뜸) – 태아 위치 이상
척택 – 인후염
천종 – 유선염, 젖부족증, 가슴 아픔
천주 – 코막히는데
통천 – 편두통
통리혓바늘, (가슴뛰는데도 특효穴임)
풍문 – 감기
풍지 – 눈병
♥ 풍지, 전곡(뜸) – 간헐열
합곡 – 상안검 하수
♥ 합곡(뜸) – 치통(아래), 눈알 돌출
후계 – 폐렴

투자침법 (透刺針法)

일명 투침법(透針法), 투혈법(透穴法) 이라고도 하는 방법.

<一針兩穴>의 효과를 구사하는 방법으로 주로 중풍과 같은 마비에 많이 응용.

투자혈(透刺穴)의 위치 주 치
간사 → 지구
거궐 → 중완
곡지 → 소해
곡천 → 양관
곤륜 → 태계
내관 → 외관
외관 → 내관
독비 → 내슬안, 내슬안 → 독비
사백 → 정명
양능천→음능천, 음능천 →양능천
양백 → 어요
조구 → 승산 (일침법)
찬죽 → 정명
태양 → 하관
풍지 → 풍부
현종 → 삼음교
후계 → 노궁
학질, 모든 심통(心痛)
급성위통(위경련)
주관절, 견비통
복통, 구토, 무릎관절통.
인후동통, 복통, 요통
모든 심통(心痛), 흉통, 복통,복만.
흉협창만, 手臂동통
슬개골 및 하지동통
근시, 사시, 상안검 하수.
구통, 口苦, 슬관절, 하지질환, 腹滿
면탄, 상안검 마비
습담 견비통
안구통증, 면탄(마비)
상 치통, 면탄.
중풍, 두통, 하지동통.
편두통, 늑간통, 낙침(발목 삔것)
견비통, 발열, 心煩

관련 글

병증별 침뜸 치료법

특정혈(特定穴)

병증의 원인/증상/치료

옥룡가(玉龍歌)와 옥룡부(玉龍賦)

경혈 혈성 분류 & 혈성에 따른 주치 병증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시 기재된 메일 주소는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