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댓글 및 포스트

■ 최근 댓글

  1.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그리고 ‘누한연이타’가 맞네요. 한자가 涕(체,눈물)와 洟(이,콧물)가 착오가 있었네요. 한자를 涕 –> 洟 수정했습니다. (처음에 한자가 잘못 입력된 것을 발견하지 못했었네요)

  2.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한자에 착오가 있었네요. 涕(체): 눈물 洟(이): 콧물 –> 콧물의 의미로는 ‘洟(이)’를 사용하는 게 맞네요. 한자에 착오가 있었습니다.

  3. 최근 댓글 및 포스트 3

    감사합니다. 2025년에도 항상 강건함속에 즐거운한해 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4. 최근 댓글 및 포스트 4

    여러모로 좋은 정보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도움많이 될 듯 합니다

  5.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무극보양뜸에 대한 것은 구당선생님이 널리 알려서 모든 사람에게 도움되도록 하고자 했던 것이기에 유튜브 등 다른 미디어를 통해서 더 널리 알려질…

  6. 최근 댓글 및 포스트 3

    잘 간추려주셔서 쉬이 읽습니다. 선생님의 글을 이용하여 저의 유튜브를 만들려고 합니다. 허용이 될지 궁굼해서 적었습니다.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그리고 또 읽겠습니다.…

  7.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8. 최근 댓글 및 포스트 8

    먼저 저도 나무창에 윈도우핏 장착했습니다. 너무큰 도움이되었습니다. 1. 레일틀은? 네이버에서 나무쫄대 15mm검색 3천원이면 소나무 쫄대 살수있습니다 2. 나무쫄대는 바로 피스로…

  9. 최근 댓글 및 포스트 9
  10.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11.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1
  12.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삼음삼양님 반갑습니다. 해당 부분은 오타라고 생각됩니다. 태양경은 다혈소기(多血少氣)가 맞습니다. 본문은 수정을 했고, 바로 밑에 기혈의 다소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해…

  13.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3

    안녕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그런데, 의학집요(醫學輯要)에서는 다시 기혈(氣血)을 나누어 족경(足經, 다리경혈)은 혈(血)을 주하고, 수경(手經,팔경혈)은 기(氣)를 주하니, 예를 들면 태양경은 다기소혈(多氣少血)인데,…

  14.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여리여리님, 반갑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관련 분야의 최고의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케파파 블로그는 우리 몸의 소중한 건강정보인 경락경혈 정보를 보다 많은…

  15.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5

    침술학관련 최고의블로그네요.진작 알지못해아쉽습니다.열씸히 공부하겟습니다

  16.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17.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7
  18.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

    네, ‘풍한습조한’은 ‘풍열습조한’의 오타였습니다. 수정했습니다. 오타 수정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19.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9

    소중한 자료로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주요 오행 암기 Tip에서 1) 오기(五氣) ⇒ 풍한습조한 -> 풍열습조한 2) 오액(五液) ⇒ 누한연체타…

  20. 최근 댓글 및 포스트 19

    소중한 자료로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주요 오행 암기 Tip에서 오액(五液) ⇒ 누한연체타 ->누한연이타 / 눈물체가 아니고 콧물이인듯 합니다. 확인…

■ 최근 포스트

핵심요약01-무극보양뜸-침뜸효능 표지

[핵심요약] 침뜸기초이론(1)

동양의학에서 경락 경혈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 이론 관련된 내용 관련해서 각 주제별로 핵심이 되는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무극보양뜸, 침뜸 관련 1. 뜸이 혈액성분에 미치는 … Read more
청킹(덩어리화)과 HSE 표지

청킹과 HSE

이 글은 청킹(chunking)과 젠장 빌어먹을 효과(Holy Shit Effect, HSE)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청킹은 복잡한 정보를 구조화해 기억과 학습을 돕는 전략으로, HSE가 유발하는 압도감을 극복하고 통찰을 얻는 … Read more
최근 댓글 및 포스트 21

젠장 빌어먹을 효과(HSE)

“탤런트 코드(The Talent Code)”에서 소개된 “젠장 빌어먹을 효과(HSE, Holy Shit Effect )“는 학습자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순간에 느끼는 강렬한 깨달음과 성취감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이 효과는 … Read more
육경변증 표지

육경변증(六經辨證)

육경변증(六經辨證)은 동양의학에서 외감병(外感病)의 병리적 변화와 진행 과정을 분석하는 진단 방법으로, 병을 태양(太陽), 양명(陽明), 소양(少陽), 태음(太陰), 소음(少陰), 궐음(厥陰)의 6단계로 구분합니다. 각 단계는 병의 위치와 성질, 증상을 … Read more
동양의학 한자어 표현 표지

동양의학 한자어 표현

동양의학에서 사용하는 증상/병리 관련 한자어, 효능 관련 한자어,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한자어 등 동양의학에서 사용되는 한자(한자어)에 대한 간략한 해설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증상/병리 관련 한자어 … Read more
침뜸진단학 표지

침뜸진단학(鍼灸診斷學)

침뜸진단학(鍼灸診斷學)은 침뜸(鍼灸) 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을 진찰하고, 그 증후를 분석하여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는 학문입니다. 이 학문은 전통적인 진단 방법인 사진(四診)—즉,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을 활용하여 환자의 … Read more
장부변증 표지

장부변증(臟腑辨證)

장부변증(臟腑辨證)은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능적 이상과 병리적 변화를 분석하고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각 장부의 상호작용과 균형을 중시하며, 병증의 원인과 증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합니다. … Read more
팔강 표지

팔강(八綱)

팔강(八綱)은 동양의학에서 질병의 성질과 변화를 분석하는 기본 원칙으로, 표리(表裏), 한열(寒熱), 허실(虛實), 음양(陰陽) 네 쌍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과 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 Read more
맥진 표지

맥진(脈診)

맥진은 동양의학에서 환자의 맥박을 통해 건강 상태와 병증을 진단하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부침(浮沈), 지삭(遲數) 등 다양한 맥상을 분석해 장부의 상태와 기혈의 흐름을 파악하며, 병의 원인과 성질을 … Read more
오장의 기능 표지

오장(五臟)의 기능

우리 몸의 오장(五臟)은 심장, 간, 비장, 폐, 신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오장은 에너지와 혈액을 저장하고 순환시키며, 감정과 정신 … Read more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