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혈(特定穴, specific acupoints)이란, 십사경맥에서 특수한 작용이 있어 특정한 이름으로 불리는 경혈이다. 오수혈(오행혈), 원혈, 낙혈, 극혈, 모혈, 배유혈, 팔회혈, 팔맥교회혈, 교회혈, 육부하합혈 등이 있다. 이에 대해서 알아 본다.
주요특정혈(원혈/낙혈/극혈/모혈/배유혈)
(특 정 혈 바로가기 앵커 : teugjeonghyeol )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 👉, 👉, 👉
※ 아래 혈명을 클릭(터치)하면 해당 경혈 정보로 이동합니다.
구분 | 원혈 | 낙혈 | 극혈 | 모혈(소속경락) | 배유혈 |
수태음폐경 | 태연3 | 열결 | 공최 | 중부 | 폐유 |
수양명대장경 | 합곡4 | 편력 | 온류 | 천추(위) | 대장유 |
족양명위경 | 충양4 | 풍륭 | 양구 | 중완(임) | 위유 |
족태음비경 | 태백3 | 공손/대포 | 지기 | 장문(간) | 비유 |
수소음심경 | 신문3 | 통리 | 음극 | 거궐(임) | 심유 |
수태양소장경 | 완골4 | 지정 | 양로 | 관원(임) | 소장유 |
족태양방광경 | 경골4 | 비양 | 금문 | 중극(임) | 방광유 |
족소음신경 | 태계3 | 대종 | 수천 | 경문(담) | 신유 |
수궐음심포경 | 대릉3 | 내관 | 극문 | 전중(임) | 궐음유 |
수소양삼초경 | 양지4 | 외관 | 회종 | 석문(임) | 삼초유 |
족소양담경 | 구허5 | 광명 | 외구 | 일월 | 담유 |
족궐음간경 | 태충3 | 여구 | 중도 | 기문(期門) | 간유 |
임맥 | 구미 | ||||
독맥 | 장강 | ||||
비 대락 | 대포 |
* 원혈 : 원기가 드나드는 곳
* 낙혈 : 15낙맥(14경맥 각각에 낙맥 + 비의 대락)이 본경에서 갈라져 나오는 혈.
기혈이 많이 멈추는 곳. 만성병에 흔히 사용.
* 극혈 : 응급/급성병 치료
* 모혈 : 장부의 기가 흉복부의 특정부의에 모여있는 혈. 음기혈의 모이는 곳(앞에만 있다)->사기 침입 많다
* 배유혈 : 양기혈이 모이는 곳(뒤에만 있다)
* 모유배혈법 (募侖配穴法) : 모혈(募穴)과 유혈(侖穴)을 배혈(配穴)하는 치료법
(원 혈 바로가기 앵커 : won )
원혈(原穴)
: 장부의 원기가 머무르는 혈로 진단혈 또는 기가떨어졌을 때 사용하는 혈이다.
: 장부의 원기가 지나가고 머무는 혈. 맥기의 성쇠, 장부의 허실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원혈은 생명력과 활기를 돋우는 삼초의 기가 각경에 나타나는 곳이다
: 오장육부의 병은 모두 그 경의 원혈을 취한다고 했다
- 폐(肺) – 태연(太淵)
- 대장(大腸) – 합곡(合谷)
- 위(胃) – 충양(衝陽)
- 비(脾) – 태백(太白)
- 심(心) – 신문(神門)
- 소장(小腸) – 완골(腕骨)
- 방광(膀胱) – 경골(京骨)
- 신(腎) – 태계(太谿)
- 심포(心包) – 대릉(大陵)
- 삼초(三焦) – 양지(陽池)
- 담(膽) – 구허(丘墟)
- 간(肝) – 태충(太衝)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 👉, 👉
* 원혈(原穴)은 자연치유력(自然治癒力)을 증가 시켜주는 혈(穴)
※ <난경육십육난(難經六十六難)>에 “오장육부(五臟六腑)에 병(病)이 있는 자에게 모두 그 원(原)을 취(取)하느니라“고 한 것과 같이 장부(臟腑)와 관련(關聯)된 병증(病症)에는 허실증(虛實證), 한열증(寒熱證), 표리증(表裏證), 급성병(急性病), 만성병(慢性病)을 불문(不問)하고 원혈(原穴)을 이용(利用)하여 치료(治療)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병(內臟病)의 치료(治療) 즉 오장병(五臟病)에 취혈(取穴)한다.
① 해수(咳嗽)와 호흡곤란(呼吸困難)의 폐병(肺病) – 태연(太淵)
② 복명(腹鳴)과 설사(泄瀉)의 비병(脾病) – 태백(太白)
③ 심계항진(心悸亢進)의 심병(心病) – 신문(神門)
④ 간기(肝氣)의 울결(鬱結)로 인한 협늑부통(脇肋部痛) – 태충(太衝)
⑤ 요배(腰背)가 나른하고 음위(陰痿=발기부전), 조루(早漏), 유뇨(遺尿)의 신병(腎病) – 태계(太谿)
심계항진, 유뇨
- 심계항진(心悸亢進)은 일반적으로 “심장이 두근거림” 또는 “심장 두근거림”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이는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또는 강하게 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증상 중 하나이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유뇨(遺尿)는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소변을 보는 상태
원혈에 대한 보충 설명(아래 더보기 ▶확인)
‘원혈’에 대한 보충 설명
<원혈>
- 각 경맥을 대표하는 원혈은 원기가 많이 집합하는 곳으로, 병변에 대한 투쟁력이나 자연 치유력을 증강시켜 주는 경혈로서 본치법에는 필수적인 요혈이다.
- 원기의 허실은 물론 각 장부에 병변이 생기면 원혈에 그 반응이 나타나므로, 적합하게 자침전구하면 병변이 퇴치된다.
- 원혈은 각 정경맥에 1개씩 있는데,
- 양경맥에는 별도로 독립되어 있으나 음경맥에는 오행혈의 수혈(輸土혈)이 겸하고 있다.
- 원혈은 상지의 수관절과 하지의 족관절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 원혈은 장부의 원기가 통과하거나 머무르는 경혈이며 12정경은 각각 해당 원혈을 갖는다.
원혈의 성쇠를 보면 장부의 병증을 판단할수 있다.
※ 해당 장부가 약해져 있을 때 사용하는 혈 ⇒ 원혈
- 원혈은 자연치유혈, 생명력, 저항력을 좋게
- 해당 장부에 영양부족, 기부족시 사용
※ 원혈과 유혈은 보양, 보음 효과가 같이 있다. -이철영교수

음경의 원혈은 오수혈의 수혈과 동일하며, 양경의 원혈은 오수혈의 수혈(輸穴)과 동일하며, 양경의 원혈은 오수혈의 수혈 뒤에 따로 자리하고 있다. 양경의 원혈이 따로 있는 이유는 원기를 이루는 삼초의 기운을 음은 바로 받는데(양–>음), 양은 바로 받기 힘들어(음–>양) 따로 원혈을 둔다.

(낙 혈 바로가기 앵커 : nak )
낙혈(絡穴)
심오락맥(15낙맥)이 본경에서 갈라져 나온 곳의 혈을 낙혈이라 한다. 그중 팔꿈치와 무릎 관절 아래에 각가 하나씩 있는 심이경맥의 낙혈은 표리의 경맥을 연계시키고 표의 병이 리로 파급되거나 리의 병이 표로 파급되는 경우, 혹은 표리동병인 경우를 치료한다.
또한 임맥의 낙혈은 배(구미)에 독맥의 낙혈은 꼬리뼈(장강)에, 비의 대락(대포)은 옆구리에 있어서 몸통 전•후•측부의 영위 기혈을 소통•조절하고 흉복(가슴 복부), 배요(背腰:등과 허리), 협륵(脅肋:옆구리와 늑골) 부위의 병증을 치료한다.
– 표리관계의 두 경맥을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경혈로 만성병에 많이 사용
낙혈(絡穴)은 경맥간(經脈間)을 연결(連結)하는 낙맥(絡脈)이 출입(出入)하는 곳에 위치(位置)하며, 낙맥(絡脈)에는 경맥간(經脈間)을 연결(連結)하는 교통지(交通枝)의 성격(性格)을 가진 것과 독자(獨自)의 유주성(流注性)을 가진 별락(別絡)이 있다.
① 15낙혈중(十五絡穴中) 12경맥(十二經脈)에는 사지(四肢)의 주슬하(肘膝下)에 각각(各各) 하나의 낙혈(絡穴)이 있어 표리(表裏)하는 양경(兩經)의 상합관계(相合關係)를 구통(溝通)시키고 있다.
② 15낙혈중(十五絡穴中) 12경맥(十二經脈)의 12낙혈(十二絡穴)을 제외한 3낙혈(絡穴)은 구간(軀幹)의 전면(前面)에서 임맥(任脈)의 낙혈(絡穴) 1혈 구미(鳩尾), 후면(後面)에서 독맥(督脈)의 낙혈(絡穴) 1혈 장강(長强), 측면(側面)에서 비경대락(脾經大絡) 1혈 대포혈(大包穴)이 있어서 일정(一定)한 부위(部位)에 산포(散布)한다.
③ 낙혈(絡穴)은 표리양경(表裏兩經)과 유관(有關)한 만성병(慢性病)에 특효(特效)하다.
※ 원락배합취혈법(原絡配合取穴法)
원락배합취혈법(原絡配合取穴法)은 일명(一名) 주객배혈법(主客配穴法)이라고 한다.
이것은 표리양경(表裏兩經)에 병변(病變)이 공존(共存)할 때 최초(最初)로 나타나는 병변경(病變經)의 원혈(原穴)과 표리경(表裏經)의 낙혈(絡穴)을 조합(組合)시켜 양경(兩經)의 병변(病變)을 동시에(同時) 치료(治療)하는 배혈법(配穴法)이다.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
脈 (경맥) | 原穴(원혈) | 絡穴(낙혈) |
手太陰肺經(폐) | 太淵(태연)3 | 列缺(열결)7 |
手陽明大腸經(대장) | 合谷(합곡)4 | 偏歷(편력)6 |
足陽明胃經(위) | 衝陽(충양)4 | 豊隆(풍륭)6 |
足太陰脾經(비) | 太白(태백)3 | 公孫(공손)4 |
手少陰心經(심) | 神門(신문)3 | 通里(통리)5 |
手太陽小腸經(소장) | 腕骨(완골)4 | 支正(지정)7 |
足太陽膀胱經(방광) | 京骨(경골)4 | 飛揚(비양)10 |
足少陰腎經(신) | 太谿(태계)3 | 大鍾(대종)4 |
手厥陰心包經(심포) | 大陵(대릉)3 | 內關(내관)4 |
手少陽三焦經(삼초) | 陽池(양지)4 | 外關(외관)5 |
足少陽膽經(담) | 丘墟(구허)5 | 光明(광명)8 |
足厥陰肝經(간) | 太衝(태충)3 | 蠡溝(여구)5 |
任脈(임맥) | 鳩尾(구미) | |
督脈(독맥) | 長强(장강) | |
脾 大絡(비 대락) | 大包(대포) |
(낙혈을 쓸때는 자기경의 낙혈이 아니라 표리경의 낙혈을 쓴다)
원낙배혈법(原絡配穴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각 경의 원혈, 낙혈명을 짝지어 암기한다)
- 폐병 시(肺病時):
- 폐경(肺經)의 원혈(原穴) – 태연(太淵)
- 표리관계 대장경(大腸經)의 낙혈(絡穴) – 편력(偏歷)
- 대장병 시(大腸病時):
- 대장경(大腸經)의 원혈(原穴) – 합곡(合谷)
- 표리관계 폐경(肺經)의 낙혈(絡穴) – 열결(列缺)
- 천식(喘息):
- 폐경(肺經)의 원혈(原穴) – 태연(太淵)
- 표리관계 대장경(大腸經)의 낙혈(絡穴) – 편력(偏歷)
- 복통(腹痛):
- 위경(胃經)의 원혈(原穴) – 충양(衝陽)
- 표리관계 비경(脾經)의 낙혈(絡穴) – 공손(公孫)
- 이명(耳鳴):
- 간경(肝經)의 원혈(原穴) – 태충(太衝)
- 표리관계 담경(膽經)의 낙혈(絡穴) – 광명(光明)
- 늑간신경통(肋間神經痛):
- 담경(膽經)의 원혈(原穴) – 구허(丘墟)
- 표리관계 간경(肝經)의 낙혈(絡穴) – 여구(蠡溝)
낙혈 보충 설명 (아래 더보기 ▶확인)
낙혈 보충 설명
< 낙혈 (15낙혈) 보충 설명 >
십이경맥은 각각 표리로 분류되어 있는데 표,리양경을 연결하는 것을 낙맥이라 한다.
예를 들면 수태음폐경과 수양명대장경이 연결하는 경우 폐경의 별낙인 열결과 대장경의 별낙인 편력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과 같이 각 경맥으로 부터 분지횡행하여 표리관계에 있는 두 경맥을 맺어준다.
그렇다면 경혈의 수는 십이경맥과 같은 십이개가 되야하는데 경혈의 수가 십오개가 된 것은 양락, 음락, 비의 대락의 세 개가 있는 까닭이다.
양락이란 양경맥을 하나의 계통에 통합하는 낙맥으로 양교맥의 낙혈이고,
음락은 음경락을 하나의 계통으로 종합하는 낙맥으로서 음교맥의 낙혈이다.
비의 대락이란 비가 영양분을 보급분배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경맥으로 비경의 또 하나의 낙혈이다. 이와같이 하여 십오낙혈이 되었다.
낙혈의 활용에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연계되는 양경낙간을 조정하는 목적으로 쓰이고, 또 하나는 경맥의 병을 치료허는데 쓰인다.
경낙의 명칭과 주치하는 병증을 허실로 나누어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15낙혈 | 경맥 | 실증 | 허증 |
열결 | 폐경 | 수장(손바닥)의 요측발열 | 흠신(하품), 빈뇨, 유뇨 |
공손 | 비경 | 복통 (장통(腸痛)) | 복창(鼓脹) |
여구 | 간경 | 음경 이상발기(실증) | 음부소양 |
태종 | 신경 | 요빈류 | 요통 |
통리 | 심경 | 흉구창민(비둘기 가슴) | 실음(목소리가 안 나옴) |
내관 | 심포경 | 흉구동통(심부 통증) | 조잡(유문부 복통) |
편력 | 대장경 | 우치, 이롱 (충치, 난청) | 치조농루, 흉중질색 |
풍륭 | 위경 | 정신실상 (정신분열, 전간) | 소퇴근육위축/하지운동마비 |
광명 | 담경 | 혼권(정신 못 차리는 것) | 하지탄탄 |
비양 | 방광경 | 비색, 두통, 배통 | 비출혈 |
지정 | 소장경 | 관절이완, 상지탄탄 | 피부췌우(꺼칠꺼칠) |
외관 | 삼초경 | 주관절구련(팔꿈치 경련) | 주관절굴곡불능(팔꿈치 운동마비) |
구미 | 임맥 | 복부 피부 동통 | 복부 피부 소양 |
장강 | 독맥 | 항배강직 | 두혼(머리가 혼란하다) |
대포 | 비대락 | 신체동통 | 전신 관절이완 |
<15낙맥 보충설명2>
15낙맥이 본경에서 갈라져 나온 곳의 혈.
12경맥의 낙혈은 표리의 경맥을 연계시키고
표의 병이 리로 파급되는 경우, 혹은 표리 동병인 경우를 치료한다
낙혈에는 경의 병 반응이 잘 나타나는데 경결(硬結), 팽륭이 되거나 압통이 심하거나 주변의 부위보다 함하해 눈에 띠는 경혈이다.
- 경결(硬結) : 피부,피하조직, 근육등에 쌀알크기에서 손가락크기로 단단하다
낙맥은 경맥에서 별출한 부위에 각각 한 개 수혈 낙혈(络穴)로 부른다. 그중 12경맥에 각각 하나의 낙혈이 있고, 주슬관절 이하에 위치하며, 임맥의 낙혈 구미(鸠尾),독맥의 낙혈 장강(长强),비(脾)의 대락 대포(大包)혈을 합하여 모두 15개혈로 이루지며 이를 “15낙혈”이라 부른다.
‘영추 경맥’에, “기가 역행하여 혈락이 부하는 실증에는 사혈법을 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낙혈은 기혈의 배분 조절이 가능하고, 기혈이 가장 많이 멈추는 곳이어서, 만성병 치료에 흔히 사용된다. 또, 낙혈에는 해당 경맥의 허실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실할 때에는 경결, 팽륭, 압통; 허할 때에는 함하나 냉 등의 반응을 보인다.
※ 허리(虛里)
[경혈] 16락혈의 하나. 15락혈에 위지대락인 허리혈을 더하여 16락혈이라고 하기도 한다. 위지대락(胃之大絡).
십육낙맥(十六絡脈)의 하나. 왼쪽 유방 아래 심장 박동이 짚이는 곳.
(극 혈 바로가기 앵커 : geughyeol )
극혈(郄穴)
극은 간극, 뜸을 뜻하는데 뼈(골骨)와 살(육肉) 사이에 있으면서 기혈이 깊게 모이는 곳으로 안압하여 허실을 진단할 수 있고 치료시 진정효과가 있다. 12경맥 및 음교맥, 양교맥, 음유맥, 양유맥에 각기 하나씩 모두 16개의 극혈(郄穴=隙穴)이 있는데 대부분 사지의 팔꿈치와 무릎 아래에 분포되어 있다.
기혈이 깊게 모이는 혈로 주로 급성 병증의 치료에 사용한다.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 👉, 👉, 👉
經脈(경맥) | 郄穴(극혈) | 주치 |
手太陰肺經 | 孔最(공최) | 각혈(기침), 吐血(토혈) |
手陽明大腸經 | 溫溜(온류) | 풍사, 齒痛(치통) |
足陽明胃經 | 梁丘(양구) | 위통(위경련, 위염), 설사에 특효 |
足太陰脾經 | 地機(지기) | 부인의 생리불순, 급성 카타르(염증), 수종 |
手少陰心經 | 陰極(음극) | 심통, 협심증, 전간(간질) |
手太陽小腸經 | 養老(양로) | 노인병에 유효, 목현(目眩), 이명, 요통 |
足太陽膀胱經 | 金門(금문) | 비장근 경련(복통), 소아경기, 하지마비 |
足少陰腎經 | 水泉(수천) | 월경통, 월경곤란, 자궁탈출, 요통 |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 | 심장병,늑간신경통,신경성 심계항진,딸꾹질 |
手少陽三焦經 | 會宗(회종) | 심통(협심증 등), 장염(맹장염), 이롱,비통(臂痛) |
足少陽膽經 | 外丘(외구) | 광견병, 전간, 두통, 간염 |
足厥陰肝經 | 中都(중도) | 자궁출혈, 산기(疝氣), 붕루 |
음교맥 | 交信(교신) | 항강증, 하지통 (신경) |
음유맥 | 築賓(축빈) | 방광염, 신장염 (신경), 해독작용 |
양교맥 | 跗陽(부양) | 두통, 요통 (방광) |
양유맥 | 陽交(양교) | 투통, 간염 (담) |
극(隙)은 공극(空隙)의 뜻으로 뼈와 근육(筋肉) 사이에 위치(位置)하며, 기혈(氣血)이 깊은 곳에 모인 부위(部位)를 가리킨다. (隙=郄: 둘 다 같은 음훈(뜸 극)의 한자)
- 극혈(隙穴)은 본경(本經)의 순행부위(循行部位)와 소속장부(所屬臟腑)의 경맥(經脈)에 발생(發生)한 병(病)의 표증(表證), 즉 급성병(急性病)의 치료(治療)에 효과(效果)가 큰 혈(穴)이다.
- 극혈(隙穴)은 임상상(臨床上) 음경맥(陰經脈)과 양경맥(陽經脈)에 따라 치료(治療) 증상(症狀)이 다르다.
예를 들면 음경맥(陰經脈)에 있어서는 혈증(血症)의 치료(治療)에 좋고, 양경맥(陽經脈)에 있어서는 기(氣)와 형(形)의 손상(損傷)에 좋다.
1) 음경(陰經)의 극혈(隙穴)
- 공최(孔最): 해혈(咳血), 객혈(喀血), 토혈(吐血), 인후통(咽喉痛)
- 극문(隙門): 비출혈(鼻出血), 구혈(嘔血), 해혈(咳血), 심흉통(心胸痛)
- 음극(陰隙): 비출혈(鼻出血), 토혈(吐血), 심통(心痛)
- 지기(地機): 비출혈(鼻出血), 혈변(血便), 붕루(崩漏), 월경통(月經痛)
- 중도(中都): 비출혈(鼻出血), 혈변(血便), 붕루(崩漏), 소복통(小腹痛)
- 수천(水泉): 비출혈(鼻出血), 복통(腹痛), 월경불순(月經不順)
- 교신(交信): 비출혈(鼻出血), 붕루(崩漏), 월경불순(月經不順), 고환통(睾丸痛)
- 축빈(築賓): 산통(疝痛), 하퇴내측통(下腿內側痛)
2) 양경(陽經)의 극혈(隙穴)
- 온류(溫溜): 치통(齒痛), 두통(頭痛), 면종(面腫)
- 회종(會宗): 상지(上肢)의 기부통(肌膚痛)
- 양로(養老): 안병(眼病), 상지통(上肢痛), 견통(肩痛), 요통(腰痛)
- 양구(梁丘): 위장병(胃腸病), 슬관절통(膝關節痛)
- 외구(外丘): 두통(頭痛), 경항통(頸項痛), 흉협통(胸脇痛)
- 금문(金門): 두풍통(頭風痛), 요통(腰痛), 하지통(下肢痛)
- 부양(跗陽): 두통(頭痛), 족요통(足腰痛)
- 양교(陽交): 한열통(寒熱痛), 인후통(咽喉痛)
극혈 보충설명 (아래 더보기 ▶확인)
극혈 보충 설명
극혈의 ‘극(郄=隙)’은 극(틈 극) 또는 극(고을이름 극)과 같고, 공극이라는 뜻이다.
극혈은 주로, 골육 사이에 위치하여 기혈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극혈은 12정경맥과
기경8맥 중의 음유맥, 양유맥, 음교맥, 양교맥에 각각 1혈씩 있어
16극혈이라고도 하며,
상지의 주관절과 하지의 슬관절 말초에 위치하고 있다.
극혈에는 소속 경락과 내장(장부)에 발생하는 급성 질환의 반응이 잘 나타나므로,
특히 동통(신경자극에 의한 통증)의 조절에 많이 활용한다.
예를 들면,
• 협심통, 심계항진이나 천식에는 심포경의 극문과 심경의 음극,
• 위경련이나 급성하리(이질과 설사)에는 위경의 양구,
• 담도계의 산통 발작에는 담경의 외구,
• 치출혈에는 폐경의 공최,
• 위부의 급격한 동통에는 비경의 지기,
• 치통에는 대장경의 온류,
• 월경통에는 방광경의 금문이라는 기록을 볼 수 있다.
(모 혈 바로가기 앵커 : mo )
모혈(募穴)
장부의 기(氣)가 흉복부 특정 부위에 모여 있는 경혈로 ‘복모혈(腹募穴)’이라고도 한다. 십이장부는 각각 1개(총12개)의 모혈을 갖고 있어 장부의 진단•치료에 많이 사용한다.
cf. 募 : 모일 모
- 장부의 기가 흉복부 특정부위에 가장 많이 모여 있는 혈
- 육장육부의 기가 모이는 혈이다. 모두 가슴과 배에 있다. 장부의 생리 병리반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이 곳을 만져보고 과민반응이 있는 곳을 알아낸다.
- 예를 들면 간경락에 기가 너무 많이 흐르면 간경락의 모혈인 기문혈에도 기가 너무 많이 모여서 기문혈이 과민 반응을 보이게 된다.
- 반대로 간경락에 기가 너무 적게 흐르면 기문혈에도 기가 너무 적게 모여서 기문혈이 둔감 반응을 보이게 된다.
- 기문혈을 만져보고 간경락의 기 흐르는 정도를 알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 기문혈을 만져서 너무 예민하게 아프다면 간경락에 흐르는 기가 지나치게 많이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모혈(募穴)의 모(募)는 막(幕)과 막(膜)의 뜻이 있으며, 361경혈 중(經穴中)에 12혈(穴)이 있다.
- 모혈(募穴)은 치료(治療)에 있어서 양병(陽病), 음병(陰病)에 공히 취혈(取穴)되지만, 특히 양병(陽病)에 자침(刺鍼)의 효과(效果)가 더욱 큰 곳이다.
- 양병(陽病)이란 질병(疾病)의 초발기(初發期)에 발열(發熱), 동통(疼痛) 등의 증상(症狀)으로 실증(實證), 열증(熱證), 부병(腑病)을 뜻한다.
- 배꼽 이하(以下)의 모혈(募穴)은 허로이수(虛勞利水), 유정(遺精), 붕루(崩漏), 중풍탈증(中風脫證) 등의 음병(陰病)도 치료(治療)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풍탈증(中風脫證)에 신궐, 기해, 관원혈을 사용하는데, 관원혈이 소장의 모혈이다.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 👉, 👉, 👉, 👉
■ 모혈(募穴) 정리
모혈 | 관련 장부(臟腑) | 소속 경락(經絡) | 모혈 위치 |
---|---|---|---|
중부(中府) | 폐(肺) | 수태음폐경 | 빗장뼈 끝을 지나 어깨뼈 끝에서 만져지는 오구돌기(烏口突起)의 첨단에 위치. |
전중(膻中) | 심포(心包) | 임맥 | 유두(乳頭)와 유두 중간, 가슴의 정 중앙에 위치. |
거궐(巨闕) | 심장(心臟) | 임맥 | 흉골체하연(명치)과 배꼽 사이를 4등분하여 명치 아래 1/4 되는 지점에 위치. |
중완(中腕) | 위(胃) | 임맥 | 흉골체하연과 배꼽 사이를 2등분한 지점에 위치. |
천추(天樞) | 대장(大腸) | 족양명위경 | 배꼽의 좌, 우 양쪽으로 2촌 떨어진 지점에 위치. |
석문(石門) | 삼초(三焦) | 임맥 | 배꼽과 치골결합(불두덩) 사이를 5등분하여 배꼽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위치. |
관원(關元) | 소장(小腸) | 임맥 | 배꼽과 치골결합 사이를 5등분하여 배꼽으로부터 3/5 되는 지점에 위치. |
중극(中極) | 방광(膀胱) | 임맥 | 배꼽과 치골결합 사이를 5등분하여 배꼽으로부터 4/5 되는 지점에 위치. |
기문(期門) | 간(肝) | 족궐음간경 | 상전장골자(골반뼈 위쪽 끝)와 복부정중앙선 사이를 8등분하여 복부중앙선 쪽으로 1/8 들어간 수직선과 거궐 높이에서 만나는 지점. 좌우 양쪽. |
일월(日月) | 담(膽) | 족소양담경 | 상전장골자와 복부정중앙선 사이를 8등분하여 복부중앙쪽으로 1/8 들어간 수직선과 늑골이 만나기 직전의 복부. 좌우 양쪽. |
장문(章門) | 비(脾) | 족궐음간경 | 제11번째 갈비뼈의 끝에 위치. 좌우 양쪽. |
경문(京門) | 신(腎) | 족소양담경 | 제12번째 갈비뼈의 끝에 위치. 좌우 양쪽. |
■ 모혈 보충 설명 (아래 더보기 ▶확인)
모혈 보충 설명 (이미지 포함)
모혈의 ‘모’는 모결 또는 집결한다는 뜻이므로,
모혈은 장부의 맥기가 많이 집결되는 곳으로,
장부의 병변시에 압통, 경결, 과민 등의 반응을 나타내므로
장부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혈이다.
모혈은 음의 부위인 흉복부에 산재하여 복부 정중선(임맥)상에 반수가 있고 또, 좌우 대칭으로 존재하는 것이 반수이다.
따라서, 장부의 명칭과 똑같은 경락상에 있는 것은, 폐, 담, 간의 셋뿐이고, 나머지는 다른 경맥에 속해 있다.
※ 모혈에 사기 침입이 많다는 것은, 모혈쪽에 실증이 발생한다는 것이고, 거기가 진단점이기도 하고 치료점이기도 하다는 뜻이 된다.(즉, 모혈은 사기(실증) 치료에 쓰인다)

(앵커 : umo)
■ 모혈과 유혈
각 경맥의 모혈(募穴)과 유혈[배유혈(背兪血)] : 유모(侖募) 배합혈
경맥명 | 모혈(소속 경맥) | 유혈[배유혈] |
수태음폐경 | 중부(폐경) | 폐유 |
족태음비경 | 장문(간경) | 비유 |
족궐음간경 | 기문(간경) | 간유 |
족소음신경 | 경문(담경) | 신유 |
수소음심경 | 거궐(임맥) | 심유 |
수궐음심포경 | 전중(임맥) | 궐음유 |
수양명대장경 | 천추(위경) | 대장유 |
족양명위경 | 중완(임맥) | 위유 |
족소양담경 | 일월(담경) | 담유 |
족태양방광경 | 중극(임맥) | 방광유 |
수태양소장경 | 관원(임맥) | 소장유 |
수소양삼초경 | 석문(임맥) | 삼초유 |
(배 유 혈 바로가기 앵커 : baeyu )
배유혈(背兪血)
장부의 기가 배부(등쪽)의 특정 부위에 모여 있는 경혈로 방광경 제1선(외방 1.5촌)에 위치한다. 각각 그 이름에 해당하는 내부 장기와 밀법한 관련이 있어 장부의 병변의 치료나 진단에 응용한다. 예컨데 장부에 병이 있으면 상응하는 뱅유혈에 예민감 압통감의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데, 이곳을 통하여 오장 병변을 치료한다.
※ 십이장부는 모두 각1개씩의 배유혈과 모혈을 갖는데 배유혈은 인체의 양에 속하는 등에 있고, 모혈은 음에 속하는 복부에 있어 진단과 치료에 사용한다.
– 장부의 기가 등부위 방광경 특정부위에 가장많이 모여 있는 혈
배유혈(背兪穴)은 <영추.배유(靈樞.背兪)>에서 “그 부위(部位)를 손으로 눌러서 내부(內部)에까지 삼투(滲透)하여 아픔을 느끼게 되거나 반대(反對)로 통증(痛症)이 완해(緩解)되면 그것이 유혈(兪穴)이다”라고 하였다.
- 배부유혈(背部兪穴)은 치료(治療)에 있어서 양병(陽病), 음병(陰病) 공히 취혈(取穴)되지만 특히 음병(陰病)에 구(灸) 즉 뜸의 치료효과(治療效果)가 더 큰 곳이다
- 음병(陰病)이란 병(病)이 오래되고 깊이 들어 있는 상태(狀態)로 만성병(慢性病) 또는 허증(虛證), 한증(寒證), 장병(臟病)을 뜻한다
- 횡격막(橫膈膜) 위의 유혈(兪穴)은 외감(外感)으로 인한 오한발열(惡寒發熱), 호흡촉박(呼吸促迫), 번열(煩熱), 흉배(胸背)의 통증(痛症) 등 양병(陽病)도 치료(治療)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기관지염(氣管支炎)에 대추, 폐유, 고황혈을 사용하는데 폐유혈이 폐의 배부유혈이다.
- 유모배합취혈법(兪募配合取穴法)
- 흉복부(胸腹部)의 모혈(募穴)과 요배부(腰背部)의 유혈(兪穴)을 배합(配合)하여 치료(治療)하는 것으로서 이것을 유모배합취혈법(兪募配合取穴法)이라고 한다.
① 자주 계획(計劃)을 세우지만 확고(確固)한 결정력(決定力)이 없을 때는 담(膽)이 허(虛)하여 담즙(膽汁)을 저장(貯藏)할 수 없어서 위로 넘쳐서 입안이 씁쓸해진다.
담(膽)의 유혈(兪穴)인 담유(膽兪)와 모혈(募穴)인 일월혈(日月穴)을 취혈(取穴)한다.
② 만성하리(慢性下痢)는 그 병위(病位)가 비위(脾胃)와 대장(大腸), 소장(小腸)에 있다.
비(脾)의 유혈(兪穴)인 비유(脾兪)와 모혈(募穴)인 장문(章門), 대장(大腸)의 유혈(兪穴)인 대장유(大腸兪)와 모혈(募穴)인 천추혈(天樞穴)을 취혈(取穴)한다.
③ 심계정충(心悸怔忡)은 그 병위(病位)가 복잡(複雜)하나 심기(心氣)를 조정(調整)하여 놀란 곳을 다스린다.
심(心)의 유혈(兪穴)인 심유(心兪)와 모혈(募穴)인 거궐혈(巨闕穴)을 취혈(取穴)한다.
④ 허성(虛性)의 위통(胃痛)일 경우 그 본(本)은 비위허한(脾胃虛寒)에 있고 그 표(標)는 통증(痛症)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본허표실(本虛標實)이다.
비유(脾兪)와 중완혈(中脘穴)을 취혈(取穴)하여 위기(胃氣)를 융화(融和)시켜 통증(痛症)을 억제(抑制)한다.
유모배합취혈법(兪募配合取穴法)은 한쪽의 한혈 혹은 양쪽의 두 혈을 다 취혈(取穴)할 수 있다.
유모혈(兪募穴)을 치료(治療)할 때는 배부유혈(背部兪穴)을 먼저 취혈(取穴)한 다음에 모혈(募穴)을 사용(使用)한다.
유혈 보충 설명(아래 더보기 ▶확인)
‘(배)유혈’ 보충 설명
유혈의 ‘유’는 ‘수(나를 수)’라는 뜻이므로, 유혈은 맥기를 수송하는 곳이며,
모두 양의 부위인 배부 방광경의 제1측선(배내선)상에 있는 혈들이다.
유혈은 장부의 이름 다음에 ‘유(점점 유)’자를 붙이는데, 예외적으로 심포의 유혈은 궐음유라고 한다.(고전에는 없음)
내장에 병변이 있을 때, 그 장부가 소속된 척수 탱크에 해당하는 부위에 압통, 과민, 근의 강직 등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장부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혈이다.
모혈과 유혈에는 음양 표리 관계가 있다.
즉, 맥기는 “음에서 양으로 가고, 양에서 음으로 간다.
음에서 양을 제하고, 양에서 음을 제한다.” 등과 같이,
흉복부와 배요부는 진단점이나 치료점으로써 중요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풍사로 인한 사기가 폐유(유혈)로 수송되고 이어서, 중부(모혈)로 집결되는 것을
“양에서 음으로 간다.”라 하고,
중부에 침, 구를 시행하여 풍사를 낫게 하는 것을 “음에서 양을 제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급성병, 발열, 오한에는 유혈; 만성병에는 모혈을 사용한다.
실증에는 유혈, 허증에는 모혈을 사용한다. (⇒ 허증에 모혈은 잘 안쓴다고–이철혈교수)
또, 장병에는 유혈, 부병에는 모혈을 취하면 좋다.
오장의 병증은 양부에 나타나고 양부는 방광경 제 1측선을 말한다
(교 회 혈 바로가기 앵커 : gyohoe )
교회혈(交會穴)
두 경맥(經脈) 혹은 그 이상의 경맥이 만나는 곳에 있는 경혈(經穴)을 가리킨다. 교회혈(交會穴)에는 몇 개의 경맥이 함께 지나는데, 그중 주요 경맥을 본경(本經), 서로 교회하는 경맥을 인경(鄰經) 혹은 타경(他經)이라 한다. 교회혈은 대부분 두면(頭面)과 구간부(軀幹部)에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양경과 양경이 만나고, 음경과 음경이 만난다.
교회혈은 여러 개의 경맥이 연결된 만큼 많은 경맥의 병을 치료하는데 쓴다. 예를 들면, 족태음비경의 삼음교(三陰交)는 간(肝)ㆍ비(脾)ㆍ신(腎)경의 3개 경맥이 만나는 교차혈이다. 따라서 삼음교는 비경의 병증 외에 신경이나 간경의 병증에도 치료효과가 있다.
✅연관 퀴즈댓글 및 관련 퀴즈 보기 👉 , 👉, 👉
교회혈에서 만나는 경락
- 백회(百會) – 독백, 족태양방광경, 수족소양경, 족궐음간경
- 삼음교(三陰交) – 족태음비경, 족궐음간경, 족소음신경
- 대추(大椎) – 수족삼양경(手足三陽經), 독맥(督脈)
- 회음(會陰) – 임맥(任脈), 독맥(督脈), 충맥(衝脈) 교회
- 정명(精明) – 수족태양경(水足太陽經), 족양명위경(足陽日月胃經)
- 중극(中極) – 족삼음경(足三陰經), 임백(任脈)
- 관원(關元) – 족삼음경(足三陰經), 임맥(任脈)
교회혈 리스트
교회혈에는 몇 개의 경맥이 함께 지나는데, 그중 중요 경맥을 본경, 서로 교회하는 경맥을 인경 혹은 타경이라 한다.
교회혈은 대부분 두면과 구간부에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양경과 양경이 만나고 음경과 음경이 만난다.
소속 경맥 | 경혈 | 교회한 경맥 |
임맥 | 승장 | 독맥, 위경, 대장경 |
염천 | 음유맥 | |
천돌 | 음유맥 | |
전중 | 비경, 신경, 폐경, 삼초경 | |
상완 | 위경, 소장경 | |
중완 | 소장경, 삼초경, 위경 | |
하완 | 비경 | |
음교 | 충맥 | |
관원 | 비경, 간경, 신경, 충맥 | |
중극 | 비경, 간경, 신경 | |
곡골 | 간경 | |
회음 | 충맥, 독맥 | |
독맥 | 수구 | 대장경, 위경 |
은교 | 임맥, 위경 | |
신정 | 방광경, 위경 | |
백회 | 방광경, 담경, 간경 | |
뇌호 | 방광경 | |
풍부 | 방광경, 양유맥, 담경 | |
아문 | 양유맥 | |
대추 | 방광경, 소장경, 위경, 대장경, 담경, 삼초경 | |
도도 | 방광경 | |
명문 | 대맥 | |
장강 | 신경, 방광경 | |
수태음폐경 | 중부 | 비경 |
수양명대장경 | 견우 | 양교맥 |
거골 | 양교맥 | |
영향 | 위경 | |
족양명위경 | 승읍 | 양교맥, 임맥 |
거료 | 양교맥, 대장경 | |
지창 | 대장경, 양교맥, 임맥 | |
하관 | 담경 | |
두유 | 담경,양유맥 | |
인영 | 담경 | |
기충 | 충맥 | |
족태음비경 | 삼음교 | 간경, 신경 |
충문 | 간경, 음유맥 | |
부사 | 간경, 음유맥 | |
대횡 | 음유맥 | |
복애 | 음유맥 | |
수태양소장경 | 천용 | 담경 |
노유 | 양유맥. 양교맥, 삼초경 | |
병풍 | 담경, 대장경, 삼초경 | |
권료 | 삼초경 | |
청궁 | 삼초경, 담경 | |
족태양방광경 | 정명 | 소장경, 위경, 음교맥, 양교맥, 독맥 |
대저 | 소장경 | |
풍문 | 독맥 | |
부분 | 소장경 | |
상료 | 담경 | |
차료 | 담경 | |
중료 | 담경 | |
하료 | 담경 | |
부양 | 양교맥 | |
신맥 | 양교맥 | |
복삼 | 양교맥 | |
금문 | 양유맥 | |
족소음신경 | 횡골 | 충맥 |
대혁 | 충맥 | |
기혈 | 충맥 | |
사만 | 충맥 | |
중주 | 충맥 | |
황유 | 충맥 | |
상곡 | 충맥 | |
석관 | 충맥 | |
음도 | 충맥 | |
복통곡 | 충맥 | |
유문 | 충맥 | |
조해 | 음교맥 | |
교신 | 음교맥 | |
축빈 | 음유맥 | |
수궐음심포경 | 천지 | 담경, 간경 |
수소양삼초경 | 천료 | 양유맥, 담경 |
노회 | 대장경 | |
사죽공 | 담경 | |
예풍 | 담경 | |
각손 | 담경 | |
화료 | 소장경, 담경 | |
족소양담경 | 동자료 | 소장경, 삼초경 |
상관 | 삼초경, 위경 | |
함염 | 삼초경, 위경 | |
청회 | 삼초경 | |
현로 |
(오 수 혈 바로가기 앵커 : osu )
오수혈 – 오행침 / 모보자사(母補子寫)
경락(經絡)상의 오수혈(五腧穴) : 腧[경혈이름 수]
: 물의 흐름과 크기에 비유해서 정/형/수/경/합을 설명
정(井) | 所出爲井 (소출위정) |
경맥의 기가 나오는 부위 救急, 心下滿, 神志病 치료. 오장이 병들면 井穴을 치료한다. |
형(滎) | 所溜爲滎 (소류위형) |
물이 가늘게 조금씩 흐르는 것에 비유 發熱, 身熱, 心火病 치료. 熱病에 형혈을 취한다. |
수(輸) | 所注爲輸 (소주위수) |
물이 점차 크고 깊게 흐르는 것에 비유 관절통, 신경통, 체중절통 치료, 병세가 가벼울 때 수혈을 취한다. |
경(經) | 所行爲經 (소행위경) |
물이 왕성하게 흘러 경과하는 것에 비유 기침, 감기, 인후병 및 호흡기계통 치료. 음성 변화때 경혈을 취한다. |
합(合) | 所入爲合 (소입위합) |
강물이 바다로 들어가는 것에 비유. 만성병 치료. 胃病, 음식관련 |
정(井) 所出爲井 심하만, 신지병(정신병), 구급
형(滎) 所溜爲滎 신열(몸에 열), 심 대열, 발열
수(輸) 所注爲輸 체중절통(온몸이 쑤심), 관절통, 신경통
경(經) 所行爲經 해수한열, 인후부병, 해역감모
합(合) 所入爲合 육부병, 역기이설, 만성병
병증 해설
- 심하만(心下滿) – 명치 밑(가슴 밑)이 막혀서 답답하고 그득한 감을 느끼는 증상
- 신지병(神志病) : 정신병
- 신열(身熱) : 몸에 열이 나는 증상
- 체중절통(體重節痛) : 온 몸이 쑤심
- 인후부병(咽喉部病): 인후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 예를 들어 인후염, 목의 통증 등.
- 해수한열(咳嗽寒熱): 기침과 함께 추운 증상과 더운 증상이 교대로 나타나는 상태
- 해역감모(咳逆感冒): 심한 기침과 함께 감기의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
- 육부병(六腑病): 육부(담, 위, 대장, 소장, 방광, 삼초)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의미하며, 각 장기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 역기이설(逆氣而泄): 기운의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역행하여 설사를 유발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주로 소화기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정(井), 형(滎), 수(輸), 경(經), 합(合) 개념
동양의학에서 오수혈(五輸穴)은 경락상의 특정한 다섯 개의 혈자리를 가리키며, 각각 정(井), 형(滎), 수(輸), 경(經), 합(合)으로 구분됩니다. 이 혈자리들은 경락의 에너지가 흐르는 방식과 관련된 특정한 기능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所出爲井, 所溜爲滎, 所注爲輸, 所行爲經, 所入爲合”에 대한 설명입니다:
所出爲井 (소출위정)
- 정혈(井穴): 경맥의 시작 지점입니다. “所出(소출)”은 “나오는 곳”을 의미하며, 이는 경락의 에너지가 처음으로 나오는 지점을 가리킵니다.
- 위정(爲井): “井(정)”은 우물이라는 뜻으로, 경락의 에너지가 처음으로 솟아오르는 곳을 비유합니다. 정혈은 주로 급성 질환이나 기운의 막힘을 풀어주는 데 사용됩니다.
所溜爲滎 (소류위형)
- 형혈(滎穴): 경맥의 두 번째 지점입니다. “所溜(소류)”는 “흐르는 곳”을 의미하며, 이는 경락의 에너지가 흘러내리는 지점을 가리킵니다.
- 위형(爲滎): “滎(형)”은 물이 흐르는 모습을 비유하여, 에너지가 흘러내리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형혈은 주로 열을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所注爲輸 (소주위수)
- 수혈(輸穴): 경맥의 세 번째 지점입니다. “所注(소주)”는 “주입되는 곳”을 의미하며, 이는 경락의 에너지가 주입되는 지점을 가리킵니다.
- 위수(爲輸): “輸(수)”는 운송을 의미하여, 에너지가 주입되어 운송되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수혈은 기운을 보강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所行爲經 (소행위경)
- 경혈(經穴): 경맥의 네 번째 지점입니다. “所行(소행)”은 “지나가는 곳”을 의미하며, 이는 경락의 에너지가 지나가는 지점을 가리킵니다.
- 위경(爲經): “經(경)”은 경락을 의미하여, 에너지가 경락을 따라 지나가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경혈은 기운을 통하게 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所入爲合 (소입위합)
- 합혈(合穴): 경맥의 다섯 번째 지점입니다. “所入(소입)”은 “들어가는 곳”을 의미하며, 이는 경락의 에너지가 깊이 들어가는 지점을 가리킵니다.
- 위합(爲合): “合(합)”은 합쳐짐을 의미하여, 에너지가 깊이 들어가 내부로 합쳐지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합혈은 주로 깊은 내부 장기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종합 설명 >
이 문구는 오수혈 각각의 혈자리가 경락의 에너지가 흐르는 방식에 따라 어떻게 정의되는지를 설명합니다:
- 정혈(井穴): 에너지가 처음 솟아오르는 지점 (“나오는 곳“).
- 형혈(滎穴): 에너지가 흘러내리는 지점 (“흐르는 곳“).
- 수혈(輸穴): 에너지가 주입되어 운송되는 지점 (“주입되는 곳“).
- 경혈(經穴): 에너지가 경락을 따라 지나가는 지점 (“지나가는 곳“).
- 합혈(合穴): 에너지가 깊이 들어가 내부로 합쳐지는 지점 (“들어가는 곳“).
이를 통해 경락의 에너지가 각 혈자리를 따라 어떻게 이동하고 기능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침술 및 한의학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井), 형(滎), 수(輸), 경(經), 합(合) 혈의 특징
정혈은 소발의 끝에 있다. 기운이 막 솟아나오는 것이 물에 샘솟는 우물과 같다고 해서 이렇게 이름을 붙였다. 정혈은 병이 시작될 때 주로 쓰는 혈자리다. 모든 병의 초기 증상은 가슴 밑이 답답하고 그득한 심하만(心下滿)이라는 증상이다.이 때 정혈에 침을 좌서 뭉친 기운을 풀어 준다.
정혈의 특징 가운데 주목해야 할 것은 정혈이 정신병과 구급병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는 점이다. 정혈은 우리 몸에서 기운이 가장 응축되어 있는 곳이다. 갑자기 졸도하거나 급하게 먹어서 체했을 때 손발끝을 따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형혈은 정혈에서 모인 기운이 고여 있는 상태를 뜻한다. 주로 몸에서 열이 나는 증상인 신열(身熱)을 치료한다.
수혈은 시냇물처럼 기운이 힘차게 흘러가는 단계를 의미한다. 수혈은 보통 체중절통이라 불리는 삭신이 쑤시고 몸이 묵직한 증상을 치료한다. 각종관절염이나 신경통에도 수혈이 이용된다.
경혈은 정혈에서 시작된 기운이 커다란 물줄기를 이루는 단계이다. 김침이 나오고 몸이 뜨거워졌다 시었다를 반복하는 증상에 주로 쓰인다.
합혈은 오장육부로 들어가기 바로 전 단계인 오수혈인다. 이 합혈은 주로 기가 역류해서 생기는 두통이나 심한 설사 등에 쓰인다. 또 합혈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주로 만성병을 다스리는 데 쓰인다는 점이다. 오랫동안 주기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만성병의 경우엔 기가 완만하게 분포된 합혈로 치료한다.
형수치외경 합치내부(滎輸治外經合治內腑)
「영추(靈樞). 사기장부병형편(邪氣藏府病形篇)」
“형수치외경 합치내부(滎輸治外經合治內腑)“
동양의학에서 오수혈(五輸穴)은 각각 정(井), 형(滎), 수(輸), 경(經), 합(合)으로 구분되며, 각 혈자리는 특정한 기능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형수치외경 합치내부(滎輸治外經合治內腑)”는 이러한 오수혈의 기능을 설명하는 문구입니다
형수치외경(滎輸治外經)
- 형혈(滎穴): 경맥의 두 번째 지점에 위치하며, 주로 열을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 수혈(輸穴): 경맥의 세 번째 지점에 위치하며, 기운을 보강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치외경(治外經): 외경(外經)은 체표부(體表部) 또는 표부(表部)를 의미합니다. 즉, 몸의 표면이나 외부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형수치외경(滎輸治外經)”은 형혈과 수혈이 몸의 표면이나 외부(외경-경락병)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피부 질환, 근육통, 표면의 염증 등 외부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합치내부(合治內腑)
- 합혈(合穴): 경맥의 다섯 번째 지점에 위치하며, 깊은 내부 장기(오장육부)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치내부(治內腑): 내부 장기를 치료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주로 오장육부(五臟六腑)와 같은 인체 내부의 주요 장기를 가리킵니다.
따라서 “합치내부(合治內腑)”는 합혈이 내부 장기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합혈은 경맥의 가장 깊은 지점에 위치하며, 이 지점을 자극함으로써 내부 장기와 관련된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화기 질환,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 내부 장기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종합 설명 >
“형수치외경 합치내부(滎輸治外經合治內腑)”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형혈과 수혈은 외부 경맥(경락)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한다: 형혈과 수혈은 주로 체표부나 외부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합혈은 내부 장기의 질환을 치료한다: 합혈은 내부 장기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문구는 오수혈의 각각의 혈자리가 어떤 종류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경혈을 이용한 치료에서 각 혈자리의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적절한 혈자리를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오수혈(정/형/수/경/합)
- 정혈(井혈)은 맥기가 처음 일어나는 곳이며
- 형혈(滎혈)은 맥기가 처음으로 번성하여지는 곳
- 수혈(輸혈)은 맥기를 받아 들이는 곳
- 경혈(經혈)은 맥기가 크게 흘러 들어간 곳
- 합혈(合혈)은 맥기가 장부로 들어가 합하는 곳
- 정혈(井穴): 에너지가 처음 솟아오르는 지점 (“나오는 곳“).
- 형혈(滎穴): 에너지가 흘러내리는 지점 (“흐르는 곳“).
- 수혈(輸穴): 에너지가 주입되어 운송되는 지점 (“주입되는 곳“).
- 경혈(經穴): 에너지가 경락을 따라 지나가는 지점 (“지나가는 곳“).
- 합혈(合穴): 에너지가 깊이 들어가 내부로 합쳐지는 지점 (“들어가는 곳“).
오수혈(五腧穴) 구성

양경(육부)은 금부터 시작 금-수-목-화-토
음경(오장)은 목부터 시작 목-화-토-금-수
(양경이 음경을 극)==> 금극목/수극화/목극토 / 화극금/토극수
오수혈의 주치

- 천해한열(喘咳寒熱)- 기침이 나오고, 차고 더운 것을 다스린다
- 역기이설(逆氣而泄)- 기가 거슬러 오르고 설사하는 것을 다스린다
오수혈의 음경맥 양경맥
음경맥(오장) : 목→화→토→금→수
⇒ 정목혈(井木穴) – 형화혈(滎火穴) – 수토혈(輸土穴) – 경금혈(經金穴) – 합수혈(合水穴)
양경맥(육부) : 금→수→목→화→토
⇒ 정금혈(井金穴) – 형수혈(滎水穴) – 수목혈(輸木穴) – 경화혈(經火穴) – 합토혈(合土穴)
오수혈[오행혈]에 대한 정리

※ 아래 혈명을 클릭(터치)하면 해당 경혈 정보로 이동합니다.
구분 | 정(井) | 형(滎) | 수(輸) | 경(經) | 합(合) |
음경 | 木 (봄–양) | 火 | 土 | 金 | 水 |
양경 | 金(가을–음) | 水 | 木 | 火 | 土 |
수태음 폐경(금) | 소상1 | 어제2 | [원]태연3 | 경거4(금금) | 척택 |
수양명 대장경(금) | 상양1(금금) | 이간2 | 삼간3 | 양계5 | 곡지 |
족양명 위경(토) | 여태1 | 내정2 | 함곡3 | 해계5 | 족삼리(토토) |
족태음 비경(토) | 은백1 | 대도2 | [원]태백3(토토) | 상구5 | 음릉천 |
수소음 심경(화) | 소충1 | 소부2(화화) | [원]신문3 | 영도6 | 소해(少海) |
수태양 소장경(화) | 소택1 | 전곡2 | 후계3 | 양곡5(화화) | 소해(小海) |
족태양 방광경(수) | 지음1 | 족통곡2(수수) | 속골3 | 곤륜8 | 위중 |
족소음 신경(수) | 용천1 | 연곡2 | [원]태계3 | 복류7 | 음곡(수수) |
수궐음 심포경(상화) | 중충1 | 노궁2(상화화) | [원]대릉3 | 간사5 | 곡택 |
수소양 삼초경(상화) | 관충1 | 액문2 | 중저3 | 지구6(상화화) | 천정 |
족소양 담경(목) | 족규음1 | 협계2 | 족임읍4(목목) | 양보7 | 양릉천 |
족궐음 간경(목) | 대돈1(목목) | 행간2 | [원]태충3 | 중봉4 | 곡천 |
< 오수혈(오행혈) 표 이해 >
우리 몸에는 5장육부의 12개의 나라가 있다. 간/신/비/폐/심/심포 , 담/소/위/대/방/삼초
폐라는 나라에 5개 대사관( 목/화/토/금/수)가 있다.
폐라는 나라에 열 → 심에서 보내준 火대사관에 요청 → 어제
→ 火대사관으로 처리가 안된다 ⇒ 본국(심)의 火 ⇒ 소부(火火)
⇒ 어제 + 소부 를 같이 써주면 빨리 효과
※ 3수혈(輸穴) : 체중절통, 신경통, 관절통 — 담경의 족임읍(4)만 예외
(오수혈[오행혈]에 대한 정리 해설)
폐의 열or너무참 : 열을 넣거나 빼준다 ⇒ 형혈 ⇒ 어제.
담경쪽으로 쑤시고 아프다 ⇒ 수혈 ⇒ 족임읍
- 육부(양경)에는 輸木혈이 제일 많이 쓰임 ⇒ 연동운동⇒ 근관련⇒ 木
- 오장(음경)에는 수토혈(원혈)을 제일 많이 씀 ⇒ 꽉차있다 ⇒ 영양이 충분해야 ⇒ 土
→ 수토혈(원혈) : 태연(폐), 태백(비), 신문(심), 태계(신), 심포(대릉), 태충(간) - 합혈 ⇒ 역기이설 , 만성병
⇒ 족삼리(위), 곡지(대장) – 역기이설 처치
⇒ 경동맥이 역기이설 → 고혈압 ⇒ 족삼리 , 곡지, 위중(경우에 따라 사혈) - 오수혈(정형수경합)에 음양으로 나눠서 오행(목화토금수)를 배합 ⇒ 오행혈
- 음양의 조화 : 음경은 木(봄-양)으로 시작, 양경은 金(가을-음)으로 시작
- 대장의 변비 → 대장열 → 대장열 빼줘야 ⇒ 경결 → 경화혈 ⇒ 양계
- 몸을 덥혀주는 혈 ⇒ (음경)심 → 심의 화혈 ⇒ 소부
⇒ (양경)소장 → 소장화혈 ⇒ 양곡 (대장은 양경이니까 이걸 써준다) - 몸에 열이 나서 문제이면 열을 꺼준다 ⇒ 水혈 → 형水혈을 써도 됨 ⇒ 대장 水혈 : 이간
→ 육부에서 물을 통수하는 혈 ⇒ 방광 → 방광의 水혈 ⇒ 족통곡
水혈로 열을 빼주는 방법 ⇒ 이간 + 통곡 - 대장의 연동운동이 안되서 변비 ⇒ 대장의 木혈 ⇒ 삼간
- 우리 몸의 목을 대표하는 혈 ⇒ 간/담 ⇒ 육부니까 → 담을 사용 ⇒ 담의 木혈 ⇒ 족임읍
- 변비의 이유 ⇒ 대장 ⇒ 대장 표리관계 ⇒ 폐 : 폐기가 부족해서 선발숙강기능의 부족 문제
→ 폐기를 좋게 해준다 ⇒ 유산소 운동
오장이이까 ⇒ 음경 → 토혈(음경 원혈) → 태연, 태백
<오행혈 사용>
6부는 관으로 되어 있고, 근육 연동운동을 한다.
⇒ 근을 다스리는 木혈을 사용
⇒ 소장의 연동운동
→ 소장경 목혈 → 후계
+족임읍 (담경의 목혈-목의 목)
⇒ 운동하는데 혈이 많이 감
→ 혈이 많이 가면, 따뜻해 짐
< 오수혈 암기 >
- 폐 – 소어태 경척
- 대장 – 상이삼 양곡
- 위 – 여내함 해족
- 비 – 은대태 상음
- 심 – 소소신 영소
- 소장 – 소전후 양소
- 방광 – 지족속 곤위
- 신 – 용연태 복음
- 심포 – 중노대 간곡
- 삼초 – 관액중 지천
- 담 – 족협족 양양
- 간 – 대행태 중곡
■ 사암침 (사암오행침)
: 오수혈을 이용한 침법
: 오수혈에 침을 놓아 경락의 흐름을 조절해서 통증과 질환을 치료하는 침법
사암침법 보충 설명
사암침법은 우리나라 전통 침법입니다. 사암침법을 창안한 사람은 사암도인인데요, 허준과 이제마와 함께 조선 3대 의성으로 불리는 인물입니다. 사암도인에 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겨우 그가 기록했던 사암침구요결이라는 의학서가 전부라 사암도인이라는 인물이 생소하실 겁니다. 사암도인이 자신의 의술을 집대성한 사암침구요결에 사암음양오행침이란 독특한 침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침법이 사암침법이다.
※ 사암침 : 補母子寫 + 보:(官經本經寫官穴), 사:(官經本經補官穴)
1) 허증 : 모보 + 관사
2) 실증 : 자사 + 관보
사암침의 원리
: 오행의 상생에 상극을 추가한 침법 (상생과 상극을 동시에 사용)
1) 허증 : 모보(상생) + 억관(抑官) 추가
(허증 : 원래 약하거나 극관계 장부가 누른 경우)
2) 실증 : 자사(상생) + 억관 추가
※ 억관법(상극) : 관을 보하거나 사하는 방법
※ 억관법 공식
1) 허증(정격) = 모보(상생) + 관사(상극)
2) 실증(승격) = 자사(상생) + 관보(상극)
<사암침법 적용 예시>
▶ 간허
- 자경 : 모보 (木의 水혈, 곡천) + 관사 (木의 金혈, 중봉)
- 타경 : 모보(신(水)의水혈(水水혈), 음곡) + 관사 (金金혈, 경거)
*자경(自經) : 내가 병들어 있는 경락
*타경(他經) : 병들어 있는 경락을 견제하고 있는 상대적 경락이나 모자관계에 있는 경락.

( 팔 맥 교 회 혈 바로가기 앵커 : 8maeg )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팔혈(八穴)
(會(회)란 기가 회합하는 곳이며 經絡(경락)이 회합하는 곳이 아니다)
8맥교회혈(八脈交會穴)이란 기경8맥(임맥, 독맥, 충맥, 대맥, 양교맥, 음교맥, 양유맥, 음유맥)과 교차하는 8개의 혈을 말하는데, 이것들은 모두 손목과 발목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 8맥 교회혈은 2개씩 쌍을 이루고 있으며, 기경8맥(奇經八脈)이 모이는 부위의 병을 치료한다.
따라서 8맥 교회혈은 그 치료 범위가 넓고 효과적인 경혈이므로 임상에서 많이 쓰인다
공손(公孫) | 족태음비경 | 충맥. 영양의 근본. 피와 남녀생리의 근본 | 흉복부(胸腹部) 곧 심장, 가슴과 배부분, 정신, 신경성 질환, 생식기, 소화기 질환. 가슴, 심장, 위 ==> 심/흉/위 |
내관(內關) | 수궐음심포경 | 음유맥. 음적인 기능을 유지시키는 근본 | |
후계(後谿) | 수태양소장경 | 독맥. 척추와 자율신경계를 다스림. 양맥지해(陽脈之海) | 독맥. 태양경, 두항부(頭項部 뒷목 부분), 후배면(後背面)의 질환, 눈내자, 목덜미, 어깨, 귀 |
신맥(申脈) | 족태양방광경 | 양교맥. 양의 순환을 담당 | |
족임읍(足臨泣) | 족소양담경 | 대맥. 전신의 경맥을 흩어지지 않고록 함 | 몸의 측면, 소양경에 생긴 질환. 눈외자, 귀의 뒤, 어깨, 목, 뺨 |
외관(外關) | 수소양삼초경 | 양유맥. 양적인 기능을 유지시키는 근본 | |
열결(列缺) | 수태음폐경 | 임맥. 인체의 전체적인 관리인 영양을 관리. 음맥지해(陰脈之海) | 몸의 전면, 두경부(頭頸部 목의 앞부분), 폐경(肺經)과 생식기 질환. 폐, 목구멍, 가슴 ==> 후/흉/폐 |
조해(照海) | 족소음신경 | 음교맥. 음의 순환을 담당 |
-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은 십이경맥(十二經脈)과 기경팔맥(奇經八脈)이 서로 통하는 여덟 개의 경혈이다
- 양경(陽經)의 경혈은 상호 배합하여 표병(表病), 육부병(六腑病)을 치료한다
- 음경(陰經)의 경혈은 상호 배합하여 이병(裏病), 오장병(五臟病)을 치료한다.
- 팔맥교회혈의 4쌍은 각각 팔다리에 있으면서 상하(上下)배합의 특성이 있다.
팔맥교회혈 배혈법
: 팔맥교회혈은 단독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팔다리에 상하로 있는 팔맥교회혈을 짝으로 취혈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
장은 장끼리 조합. 부는 부끼리 조합된다
(장끼리) : 음경->리병 : 속병, 장병 => 비위+심장(가슴) : 통증위주 → 심흉위
- 공손 (족태음비경, 충맥) : 충맥은 공손쪽을 지나 족태음비경과 교회
- 내관 (수궐음심포, 음유맥) : 심포(마음)에서 오는 탈, 음(장부속병)적인 기능 유지 담당
(장끼리) : 음경->리병 : 속병, 장병 => 호흡 관련(폐+신), 폐계, 인후, 흉격 : 몸의 전면 → 후흉폐
- 열결 (수태음폐경, 임맥) : 태음(음을 총괄) -> 임맥
- 조회(족소음신경, 음교맥) : 음교맥은 조회에서 시작
(부끼리) : 표병 : 태양-> 뒷면 (몸의 뒷면)
: 눈안끝(방광-정명), 귀(소장경-청궁), 후두통, 뒷목, 견배(등짝), 요통, 소장, 방광
- 후계(수태양소장경, 독맥) : 수태양(양을 총괄) -> 독맥
- 신맥(족태양방광경, 양교맥) : 양교맥은 신맥에서 시작
(부끼리) : 표병 : 소양-> 옆면 (몸의 측면)
: 눈바깥끝(담경-동자료), 귀뒤(담,삼초경), 뺨, 담(痰), 편두통, 좌골신경통,
- 족임읍(족소양담경, 대맥) : 담경에 ‘대맥’혈에서 대맥과 교회
- 외관(수소양삼초경, 양유맥) : 양유맥 – 양(표,밖/옆쪽)적인 기능 유지
(암기) ❤[8맥교회혈] 공내/열조/후신/족외 ❤ [기경8맥] 충유/임교/독교/대유
팔맥교회혈, 어떨 때 쓰이나?
→ 천주(방광경)쪽이 당기고 아프다
→ 방경경 천주, 근처 풍지에도 자침. 우측이 아프니까 왼발의 족태양방광경의 속골, 족임읍에 자침
→ 좀 지나니까 괜찮아짐, 그런데 그 다음날 또 아프다
→ 다시 하니까 괜찮아졌다고 2일 지나니 또 아프다.
⇒ 자기 경맥을 다스렸더니, 낫았다가 2일 지나니 또 아프다.
⇒ 이방법으로는 안된다
⇒ 자기경만 다스려서 치료가 되면 8맥교회혈을 만들필요가 없다. 그런데, 자기경만 다스려서는 치료가 안된다.
⇒ 이럴 때 팔맥교회혈을 쓴다.
→ 족태양방광경-양교맥의 팔맥교외혈인 ‘신맥’을 사용. 그리고 ‘후계'(수태양소장경-독맥)를 사용한다
→ ‘후계’는 독맥과 연결.
→ 독맥과 방광경을 같이 다스려줘야 낫는다.
⇒ 자기경을 써서 치료가 안될 때 팔맥교회혈을 쓴다
- 찜찜한 기분으로 음식을 먹었더니 체했다.
→ 비위의 문제라기 보다는 심포(마음)의 문제 ⇒ 공손+내관 - 편두통(측두통)이 왔는데 잘 안낫는다. 목외자쪽이 아프고 충혈
→ 몸 옆면의 문제 ⇒ 족임읍+외관
[참고] 팔맥교회혈 복진법

(팔 회 혈 바로가기 앵커 : 8hoe )
팔회혈(八會穴)
8회혈은 각 조직(장•부•기•혈•근•맥•골•수)의 정기(精氣)가 집합하는 곳이다. 팔회혈은 우리 몸의 조직 구성을 8개로 나눠서, 병이 났을 때 우선적으로 쓸 수 있는 혈이다.
8회혈에 관하여 난경 45난에 “부회대창, 장회계륵, 근회양릉천, 수회절골, 혈회격유, 골회대저, 맥회태연, 기회삼초, 외 근직양유내야. 열병재내자, 취기회지기혈야”라고 서술했듯이, 열성질환시에 사용한다.
그러나, 열성질환 이외의 장, 부, 기, 혈, 근, 맥, 골, 수의 병변에도 쓰인다.
주로 ‘뜸‘으로 치료
8회혈은 다음과 같다.
장회혈 | 장문 (비경) | 장문은 비의 모혈이다. 5장-간, 심, 비, 폐, 신-은 비에서 기를 양육받으므로, 오장의 모든 병증 즉, 흉격 및 간, 비, 신의 병증시에 치료점이 된다. |
부회혈 | 중완 (임맥) | 중완은 위의 모혈이다. 6부-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는 위에서 기를 양육받기 때문에 육부의 모든 병증에 쓰인다 |
기회혈 | 전중 (임맥) | 전중은 심포의 모혈이다. 기병(氣病), 정서적 질환, 호흡기 질환 흉부의 비생감, 천식, 기울-노이로제- 등에 쓰인다. |
혈회혈 | 격유 (방광) | 격유는 절, 옹, 심장병, 혈액 등과 관련된 병증에 쓰인다 . (피순환 관련:순환계질환) |
근회혈 | 양릉천(담경) | 양릉천은 근육경련, 근풍습병, 하지마비 등과 같이 근육과 관련있는 병증에 쓰인다. (운동계통 질환) |
맥회혈 | 태연 (폐경) | 맥은 기와 혈이 같이 관련. 호흡기(기 관련) 질환, 순환계(혈 관련) 질환. 태연은 4지궐냉, 심력쇠약, 무맥증 등과 같이 맥관계에 관한 병증에 쓰인다. |
골회혈 | 대저 (방광) | 대저는 척주병, 만성소모열 등과 같이 골(뼈)에 관련된 병증에 쓰인다 |
수회혈 | 현종 (담경) | 현종(절골)은 하지골통, 외한, 핍력증 등과 같이 수에 관련된 병증에 쓰인다 ==> 뼈와 골수(骨髓)의 병증 |
팔회혈 달달달 암기
장부기혈 근맥골수
장중전격/양태대현
( 육 부 하 합 혈 바로가기 앵커 : hahabhyeol )
육부하합혈(六腑下合穴)
: 맥기가 모이는혈
:육부의 기가 하지의 족삼양경과 합해진 경혈을 하합혈이라 하며, 육부에 질병이 있을 때 그에 상응하는 하합혈을 취해서 치료한다.
육부하합혈 => (족삼리, 상거허, 하거허, 위중, 위양, 양릉천)
오수혈의 합혈과 하합혈의 관계

※ 족삼양경(위, 방광, 담-3부)는 오수혈의 합혈과 하합혈이 같다.
※ 수삼양경(대장,소장,삼초-3부)는 본경 오수혈의 합혈과 하합혈이 다르다
※ 수삼양경(대장,소장,삼초-3부)는 합혈이 상지에도 있고(오수혈의 합혈), 하지에도 있다(하합혈)
※ 하합혈이라는 명칭은 대장, 소장, 삼초경락은 이미 상지에 합혈이 있으므로, 아래쪽 합혈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장과 소장은 모두 위에 속하고 모두 족양명의 지배를 받는다.”
“삼초는 방광에 속한다.”-황제내경-
대장, 소장, 삼초의 합혈이 상지 외에 하지에도 있는 이유이다.
(육부)하합혈 보충설명 (아래 더보기 ▶확인)
육부하합혈 보충 설명
1) 육부하합혈(六腑下合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영추(靈樞) . 본수편(本輸篇)>에 “육부(六腑)는 모두 족삼양(足三陽)으로 나오고 상(上)은 손(手)에서 만난다.”라는 말은 대장(大腸), 소장(小腸), 삼초(三焦), 위(胃), 담(膽), 방광(膀胱)은 모두 족삼양경(足三陽經)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족삼양경상(足三陽經上)에는 수삼양경(手三陽經)의 합혈(合穴)이 각각 한 혈씩 있다는 것을 뜻한다.
② 육혈중(六穴中)에서 수삼양경(手三陽經)의 하합혈(下合穴)은 족삼양경(足三陽經)의 어떤 혈이 되고 있다.
③ 하합혈(下合穴)은 해당 경맥장부질환(經脈臟腑疾患)의 병적반응(病的反應)이 나타나는 진찰처(診察處)이며, 치료점(治療點)이다.
④ 위(胃)의 하합혈(下合穴)은 족삼리(足三里), 대장(大腸)은 상거허(上巨虛), 소장(小腸)은 하거허(下巨虛)로 대장(大腸), 소장(小腸), 위(胃)는 생리기능상(生理機能上) 서로 상조(相助)하여 동공으로 음식물(飮食物)의 소화(消化), 흡수(吸收), 배설(排泄)을 완성시키고 있으며, 병리면(病理面)에서도 필연적으로 서로 영향(影響)을 미치고 있어, 대장(大腸)과 소장(小腸)의 하합혈(下合穴)이 위경상(胃經上)에 위치(位置)한다.
⑤ 중독(中瀆, 도랑과 같은 장부)의 부(府)인 삼초(三焦)와 주도(洲都, 오줌.진액)의 관(官)인 방광(膀胱)의 양자(兩者)가 수액대사(水液代謝) 면(面)에서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어, 삼초(三焦)의 하합혈(下合穴)이 방광경상(膀胱經上)에 있다.
2) 하합혈의 단독취혈법
육부(六腑)에 병(病)이 생겼을 때 거기에 대용(代用)하는 하합혈(下合穴)을 사용(使用)한다.
(1) 수삼양경(手三陽經)의 하합혈(下合穴)
① 대장경(大腸經)의 하합혈 – 상거허(上巨虛), 주치(主治) : 천추혈부위통(天樞穴部位痛)
② 삼초경(三焦經)의 하합혈 – 위양(委陽), 주치(主治) : 이동성동통(移動性疼痛)
③ 소장경(小腸經)의 하합혈 – 하거허(下巨虛), 주치(主治) : 제부(臍部,배꼽부위)의 동통(疼痛)
(2) 수삼양경(足三陽經)의 하합혈(下合穴)
④ 胃經의 하합혈 – 足三里, 주치(主治) : 위완통(胃脘痛)
⑤ 膽經의 하합혈 – 陽陵泉, 주치(主治) : 협늑통(脅肋痛)
⑥ 膀胱經의 하합혈 – 委中, 주치(主治) : 소복통(少腹痛)
3) 하합혈(下合穴), 모혈(募穴)의 배합(配合)
모혈(募穴)은 양병(陽病) 즉 부병(腑病), 실증(實證), 열병(熱證)에 쓰이고, 하합혈은 통강작용이 월등하기 때문에 양자(兩者)를 짜 맞춘 국소(局所)와 원경부(遠隔部)의 배혈(配穴)은 협조성(協調性)이 있고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높일 수 있다.
① 하리(下痢), 복통(腹痛)은 大腸의 하합혈 – 상거허, 대장의 모혈 – 천추(天樞)
② 위완통(胃脘痛)은 위(胃)의 하합혈 – 족삼리, 취의 모혈 – 중완(中脘)
③ 담경(膽經)의 울열(鬱熱)은 담(膽)의 하합혈 – 양릉천, 담의 모혈 – 일월(日月)
(사 관 혈 바로가기 앵커 : sakan )
사관혈 (四關穴)
4관(사관혈)은 합곡혈(合谷穴)과 태충혈 좌우 4개혈을 말하며 12경맥의 원혈들은 다 4관에서 나왔다[입문].
사관혈(四關穴)은 각각 원혈(原穴)로서 일양일음(一陽一陰), 일기일혈(一氣一血), 일부일장(一腑一臟), 일승일강(一昇一降)의 특징을 갖고 장부(臟腑), 음양(陰陽), 기혈(氣血)을 동시에 치료하는 특징이 있다.
사관혈은 기혈 순환을 조절하고, 체내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혈자리로 여겨집니다. 사관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합곡 (LI4) – 기를 조절하고, 통증을 완화하며, 면역력을 증강시킵니다.
태충 (LR3) – 간의 기를 조절하고, 스트레스와 긴장을 완화하며, 혈액 순환을 돕습니다.
( 사 총 혈 바로가기 앵커 : sachong )
사총혈 (四總穴)
사총혈은 각각의 혈자리가 특정 부위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총혈(사총혈)은 역대 의사들의 오랜 기간 임상 경험을 총화한 것이다. 4총혈은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모든 혈에 비하여 치료 범위가 대단히 광범할 뿐만 아니라 한, 열, 허, 실 및 급성 만성을 막론하고 이 혈들의 각기 독특한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의 중요성으로부터 출발하여 4총혈이라고 부른다
1) 합곡(合谷) : 안면과 입(얼굴, 입)의 일체 질환시.
2) 열결(列缺) : 머리와 항부(머리, 목)의 질환시.
3) 위중(委中) : 배부와 요부(등, 허리)의 일체 질환시.
4) 족삼리(足三里) : 복부(배, 중초)의 일체 질환시.
※ 두복(배,중초)은 족삼리에 머물고, 요배(허리,등)는 위중에서 구하고, 두항(머리,목)은 열결에서 찾고, 면목(면구,얼굴)은 합곡에서 거둔다.
관련 글
증상별 요혈, 특효혈

편작의 비방을 정리한 ‘옥룡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