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경혈의 취혈기준에 대해서 알아본다. 경혈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적합한 방법이 골도분촌법(骨度分寸法)이다. 그 외에 손가락 동신촌법 등이 있다.

골도분촌법[골도법]

뼈마디를 주요한 표지로 삼아 촌 수를 정하는 것을 골도법이라 하고, 취혈시 골도법으로 정한 촌수를 비례로 환산하여 혈의 위치를 정하는 것을 등분촌법이라고 한다. 이것을 골도등분촌법이라 하는데, 환자 본인의 몸을 기준으로 한다. 인체의 각 부위의 특정 부분을 N등분하고 1/N등분을 1촌으로 보고 상대값으로 혈위를 찾는 방법이다.따라서 1촌의 실제 길이는 위치마다 혹은 개인마다 다 다르다.

전신 전/후 면 골도법

골도분촌법1
골도분촌법2

머리 부위의 골도법

머리에서의 치수는 양쪽 눈썹의 중간점 [인당혈(印堂穴)]으로부터 앞머리털 경계까지 3치, 앞머리털 경계로부터 뒷머리털 경계까지 12치, 뒷머리털 경계로부터 제7경추 아래 [대추혈(大椎穴)]까지 3치, 양쪽 두유혈(頭維穴) 사이까지 9치, 양쪽 젖꼭지 사이까지 9치로 한다.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1

액발각 사이가 9촌, 유양돌기 사이 9촌

가슴과 배의 골도법

가슴과 배에서의 치수는 목에서 가장 우묵한 곳인 천돌혈(天突穴)로부터 검상돌기(劍狀突起)와 늑연골(肋軟骨)이 갈라진 사이 [기골간(岐骨間)]까지 9치, 검상돌기와 늑연골이 갈라진 사이로부터 배꼽 중심까지 8치, 검상돌기가 없을 때에는 양쪽 늑연골이 합친 사이로부터 배꼽 중심까지 9치로 한다.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2

팔과 겨드랑이 골도법

팔에서의 치수는 겨드랑이 앞금 끝으로부터 팔꿈치의 가로간 금까지 9치, 팔꿈치의 가로간 금으로부터 손목의 가로간 금까지 12치이다.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3

신체 부위 용어 : 전발제, 후발제, 액발각, 견봉외단, 기골, 치골상연, 견봉외단, 견갑골내측연, 전액문두, 주횡문, 완횡문, 액중, 슬중, 대퇴골대전자, 둔하횡문, 괵횡문(“괵횡문”은 무릎 뒤쪽에 있는 주름이나 선을 의미), 슬괵부(무릎 주변의 힘줄 부위를 의미)

다리 부위 골도법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4

다리의 바깥쪽에서는 대퇴골의 대전자(大轉子)로부터 오금의 가로간 금까지 19치, 오금의 가로간 금으로부터 바깥 복사뼈(malleolus lateralis)의 중심(외과첨)까지 16치, 바깥 복사뼈 중심으로부터 발바닥 높이까지 3치로 한다.

※ 이러한 골도법에 관련된 퀴즈문제는 다음과 같이 나올 수 있다. 버튼을 클릭해 보시라!

손가락 동신촌법

손가락과 기타 부위를 일정한 비례가 있어 환자 본인의 손가락으로 표준을 삼는 것을 동신촌이라 한다.

골도분촌법이나 자연표지법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무지 동신촌

엄지 관절의 가로 길이를 1촌으로 한다. 팔다리의 세로 길이를 비례 환산할 때 쓰인다.

무지동신촌

횡지 동신촌

엄지를 뺀 나머지 네 손가락을 합한 가로 길이를 3촌으로 한다. 다리, 하복부 등의 가로 길이를 비례 환산할 때 쓰인다.

횡지동신촌

중지 동신촌

가운뎃 손가락을 굽혔을 때 중간 관절 안쪽 두 가로선의 끝 사이를 1촌으로 한다. 팔다리나 등의 가로 길이를 비례 환산할 때 쓰인다.

중지동신촌

간편 취혈법

간편하게 찾기 쉬운 방법으로 임상에서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좌우 두 손 엄지와 검지를 벌려 교차한 뒤 한 손의 검지를 다른 한 손목의 두드러진 뼈에 올려 놓으면 검지 끝에 오목한 곳이 수태음폐경의 ‘열결‘이 된다.

손에 힘을 주지 않고 주먹을 쥐어 가웃뎃손가락 끝이 손바닥에 닿는 곳에서 ‘노궁‘을 취한다.

자연표지법

인체에 나타나는 자연표지를 이용하여 혈의 위치를 정하는 법.

자연표지법은 해부학의 각종 골성표지(骨性標識)에 근거하여 경혈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골성표지는 고정표지(固定標識)와 활동표지(活動標識)로 나눌 수 있다.

고정표지

고정표지는 각 부위의 골절과 근육으로 형성된 돌기나 함몰부위, 오관(五官)의 윤곽, 모발(毛髮), 손톱, 발톱, 유두(乳頭: 젖꼭지), 제와(儕窩: 배꼽의 함몰처) 등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코끝에서 독맥의 소료(素醪), 두 눈썹 중간의 경외기혈인 인당(印堂), 두 젖꼭지 중간의 전중(膻中), 비골소두 앞 아래에 족소양담경 ‘양릉천‘, 제7번 경추극돌기 아래의 대추(大椎), 배꼽 중앙의 신궐(神闕) 등은 인체의 고정표지를 이용해 취혈하는 대표적인 경혈이다.

활동표지

관절, 근육, 피부의 활동으로 나타나는 구멍 사이, 오목한 곳, 주름 등을 이용한다.

예로 입을 벌려야 ‘이문‘, ‘청궁‘, ‘청회‘를 취할 수 있다. ‘하관‘을 취할 때는 입을 다물어야 한다. 그리고 입을 다물어 바람을 넣고 쥐혈하는 협거(頰車), 팔을 수평으로 벌리면 오목해지는 곳에서 ‘견우‘와 ‘견료‘를, 엄지손가락을 뒤로 펴면 드러나는 두 힘줄 사이 오목한 곳에 ‘양계‘를 취한다.

적백육제(赤白肉際)

팔다리에서, 안쪽 살과 바깥쪽 살의 경계. 햇볕을 많이 받아 색깔이 짙은 데를 바깥쪽이라 하고 여기를 붉은살이라고 한다. 햇볕을 덜 받아 색깔이 옅은 데를 안쪽이라 하고 여기를 흰살이라고 한다. 팔에서는 구부러지는 쪽(屈側), 손바닥쪽이 안쪽이고, 펴지는 쪽(伸側), 손등쪽이 바깥쪽이다.

예) 행간, 협계, 액문, 연곡, 속골, 경골, 복삼, 완골, 후계, 전곡, 공손, 대도, 은백, 내정, 이간, 어제

적백육제-손
적백육제-발

상용취혈자연표지

두면부

  1. 전발제(前髮際): 전두부(前頭部: 이마부위)에 있는 머리 경계선
  2. 후발제(後髮際): 후두부(後頭部: 뒷머리부위)에 있는 머리경계선
  3. 액각(額角): 혹은 액발각(額髮角)이라 한다. 전발제 이마부 양측의 꺾어진 모서리
  4. 완골(完骨): 귀의 후하방(後下方)와측두골 (側頭骨)의 유양돌기 (乳樣突起) 후연 중앙 함몰처
  5. 미간(眉間): 인당(印堂)혈, 양 눈썹 사이의 중간지점
  6. 동공(瞳孔)이나 목중(目中): 정좌(正坐)자세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동공의 중점이나 목내자(目內眦: 눈머리)와 목외자(目外眦: 눈꼬리)의 중점

경항부

  1. 후결(喉結): 전경부(前頸部)에 위치한 후두융기부(喉頭隆起部)
  2. 대추(大椎): 후경부(後頸部)의 가장 높게 솟은 극돌기 부분 두부의 활동에 따라 이동하는 부위로서 제7경추의 극돌기하에 해당한다.

흉복부

  1. 흉골상와(胸骨上窩): 홍골절흔(胸骨切痕) 상방의 함몰처
  2. 흉골각(胸骨角): 흉골 상부의 돌출된 뼈, 제2늑간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
  3. 홍검연합(胸劍聯合): 홍골체(胸骨體)와 검상돌기(劍狀突起)의 결합부위
  4. 유두(乳刓: 젖꼭지의 중앙
  5. 제중(臍中): 신궐(神闕)혈, 배꼽의 중앙
  6. 치골결합(恥骨結合) 상연(上緣): 하복부의 치골결합과 전정중선(前正中線)의 교차점
  7.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 측복부에서 장골능(腸骨陵) 앞 부분에서 위로 돌출된 지점

협늑부

  1. 액와정점(腋窩頂點): 액와(腋窩) 정중앙의 최고점(最高點), 동맥박동 지점
  2. 제11늑단: 측복하부에서 제11 부륵(浮肋)이 유리되어 있는 지점

요배부

  1. 제3흉추극돌기하: 양측 견갑극(肩月甲棘)을 이은 선과 수평을 이룬다.
  2. 제7홍추극돌기: 양측 견갑골(肩月甲骨) 하각(下角)을 이은 선과 수평을 이룬다.
  3. 제4요추극돌기: 양측 장골능(腸骨陵) 최고점(最高點)을 이은 선과 수평을 이룬다.
  4. 흉추극돌기1~12, 요추극돌기1~5, 천골(薦骨)의 정중능(正中陵), 미골(尾骨)
  5. 견갑극(肩月甲棘) 근부점(根部點): 견갑골 내측연에서 척주 가까이 위치하는 지점
  6. 견봉각(肩峰角): 견봉외측연과 견갑내연이 만나는 지점
  7. 상후장골극(上後腸骨棘): 장골능 뒷부분에서 위로 돌출된 지점

상 지

  1. 전액문두(前腋紋刓: 액와 주름의 전단(前端)
  2. 후액문두(後腋紋頭): 액와 주름의 후단(後端)
  3. 주횡문(肘橫紋): 주관절에서 장측면(掌側面)의 가로주름
  4. 주점(肘尖): 척골의 주두(肘頭)돌기
  5. 완횡문(腕橫紋:장측/배측): 척골경상돌기와 요골경상돌기의 끝을 연결한 선의 가로주름
  6. 요골경상돌기: 요골(撓骨) 원측단(原側段)의 요측의 융기된 뼈
  7. 수근중수관절(手根中手關節): 수근골(手根骨)과 중수골(中手骨)의 결합부위

하 지

  1. 비추(牌樞): 대퇴골 대전자(大轉子)
  2. 둔하횡문(臀下橫紋): 둔부와 대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가로주름
  3. 내보상(內輔上): 대퇴골내측과(大月退骨內但]顆)
  4. 내보하(內輔下): 경골내측과(脛骨內但]顆)
  5. 독비(犢鼻): 외슬안혈(外膝眼穴), 슬인대 외측의 함몰된 곳의 중점
  6. 괵횡문(膩橫紋): 오금의 가로주름
  7. 내과점(內踝尖): 내과(內踝)의 최고점(最高點)
  8. 외과첨(外踝尖): 외과(外踝)의 최고점(最高點)
  9. 비골소두(腓骨小頭): 비골 위쪽의 융기된 뼈, 경골의 외측, 양릉천(陽陵泉)혈 취혈의 골성표지가 된다.
  10. 경골내측과(脛骨內但]顆): 무릎의 내측 아래로, 경골 위쪽의 융기된 뼈
  11. 주상골융기(舟狀骨隆起): 내과(內踝) 전하방(前下方)의 융기된 뼈

신체의 위치를 구분하고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선들

전정중선과 유사하게 신체의 구조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선들이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선들의 설명입니다:

1. 전정중선(前正中線, Anterior Median Line)

  • 신체 앞면의 정중앙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신체의 앞면에서 몸을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기준선)
  • 좌우 대칭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선.

2. 후정중선(後正中線, Posterior Median Line)

  • 신체 뒷면에서 정중앙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나누는 중심선.

3. 흉골선(胸骨線, Sternal Line)

  • 흉골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가상의 선으로, 해부학적 구분을 위한 기준선.
  • 전면에서 흉골의 경계를 나타냄. 흉부의 중심부와 가까운 구조를 설명할 때 사용.
  • (활용예) 심장, 폐, 흉부 장기의 위치를 설명하거나 청진, 타진 등의 의학적 행위에서 기준점으로 사용. 예를 들어, 흉골선은 심장 판막의 청진 위치(특히 승모판, 대동맥판 등)를 설명할 때 도움이 됩니다.

4. 쇄골중선(鎖骨中線, Midclavicular Line)

  • 쇄골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흉부와 복부의 위치를 구분하는 데 자주 사용됨.

5. 액와전선(腋窩前線, Anterior Axillary Line)

  • 겨드랑이 앞쪽 경계를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대흉근의 앞쪽 경계를 기준으로 함.

6. 액와중선(腋窩中線, Midaxillary Line)

  • 겨드랑이 중앙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신체의 측면에서 위치를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7. 액와후선(腋窩後線, Posterior Axillary Line)

  • 겨드랑이 뒤쪽 경계를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광배근과 대원근의 경계를 기준으로 함.

8. 견갑선(肩甲線, Scapular Line)

  • 견갑골(어깨뼈)의 내측 경계를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신체의 뒤쪽에서 위치를 설명할 때 사용됨.

9. 척추선(脊椎線, Vertebral Line)

  • 척추의 정중앙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
  • 후정중선과 동일한 위치.

활용 예시

이러한 선들은 신체의 특정 부위를 구분하거나 병변의 위치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심장 청진 시 쇄골중선흉골선을 기준으로 청진 부위를 구분하며, 폐의 청진이나 타진 시 액와선견갑선을 활용합니다.

지골 부위 명칭

【본절(本節)】손가락 첫마디. 손가락과 손바닥이 만나는 데. 주먹을 쓸때, 가장 힘이 실리는 곳. 발에서도 같은 부분에 이 말을 쓴다.

※ 손뼈는 손목뼈 8개, 손바닥뼈 5개, 손가락뼈 (5+5+4=) 14개로 되어있어요. 한자말로는 손목뼈를 수근골(手根骨), 손바닥뼈를 중수골(中手骨), 손가락뼈를 수지골(手指骨)이라고 하고, 손가락을 이루는 세 뼈를 첫마디뼈(제1지골/指骨), 가운데마디뼈(제2지골), 끝마디뼈(제3지골:손톱난 데)라고 한다. 또, 세 마디를 첫마디, 가운데마디, 끝마디 라고 한다.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5
손뼈-말절골-중절골-기절골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6

발뼈 부위 명칭

발뼈-중족골-종골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7
혈위의 탐색, 취혈기준 8

취혈기준

등쪽 취혈기준

취혈기준-등쪽

임맥, 독맥 취혈 요령

임맥(회음~승장) 취혈 기준

<기준점 잡기>

1) 치골

  • 배꼽 아래에서는 치골을 우선 잡아야 한다.

2) 배꼽 : 제중. ‘신궐’혈

  • 배꼽과 치골을 잡아서 5등분을 나눈다.

3) 기골 : 좌우 갈비뼈가 만나는 곳–> 기골(혈자리로는 ‘중정’)

  • 기골과 배꼽을 8등분으로 나눈다
  • 여기에 1/2 지점이 ‘중완’ (중완은 먹는 것 소화에 관련해서는 무조건 들어가는 혈)

4) 천돌 : 하늘로 구멍이 뚫려 있는 지점

  • 기골과 천돌 사이의 혈들은 흉골들을 기점으로 취혈
  • 양 젖꼭지 사이 ‘전중’혈은 중요혈

5) 염천 : 엄지 마디를 턱선에 대고, 엄지 손끝으로 찍히는 자리가 염천

  • 혀 안쪽을 향해서 침을 찌르면 침이 다들어간다.

독맥(장강~은교) 취혈 기준

등뼈를 세야 한다.
경추7개, 흉초12개, 요추 5개, 천골
<기점에 되는 뼈>

1) 천골+장골=천장골,

  • 장골과 천골을 이어주는 근에 염증이 생기면 천장골염

2) 장골능 : 장골 위쪽 능선을 장골능 이라고 한다.

  • 장골능 양쪽이 만나는 점 –> 요추4번 –> ‘요양관’혈
  • 거기서 한마디 내려오면 요추5번, 한마디 올라가면 요추3번

3) 12번 늑골를 연결한 선 부분이 요추2번 –> ‘명문’혈

  • 요추4번, 요추 2번을 잡았으니 가운데는 3번
  • 허리 아픈 사람들은 모두 요추 1,2,3,4,5번의 문제이다.
  • 요추 3번4번 추간판 탈출증
    –> 뼈의 이상이 아니라 근육의 이상이다.(근에 충분한 영양 공급이 안되서 뼈를 지탱하는 근에 이상으로 주저앉음.눌러앉음,뒤틀림 )
    –> 뼈 옆에 있는 근에 지속적으로 침과 뜸을 뜨면, 기혈 순환을 통해서 영향이 가서 건강해져서 통증이 없어짐.
  • 치질, 뜸을 뜨면 올라간다. –> 그것들과 연결된 근에 힘이 생기도록 해서 끌어올려 주는 것.

4) 날개쭉지뼈(견갑골) 하단을 연결한 선 –> 7흉추 –> ‘지양’

  • 이것을 기준으로 윗뼈는 6번, 아래뼈는 8번

5) 견갑극의 연결선이 만나는 곳, 흉추4번,

  • 이 위의 뼈가 흉추3번 –> ‘신주’혈

6) 머리를 수구리면 가장 툭 튀어나오는 뼈 –> 경추7번

  • 경추7번 아래 있는 것이 ‘대추’혈
  • 경추7번 아래가 흉추 1번

7) 목덜미를 따라 올라가다가 탁 걸리는 부분 –> ‘풍부’혈

  • 그 아래 머리칼이 나기 시작하는 선(후발제)과 사이에 ‘아문’

8) 턱과 귀 앞면으로 나란히 선을 그으면, 똑바로 위로가지 않고, 약간 비스듬이 뒤로 간다.

  • 23.5도 기울어져 있는 지구 기울기 각도와 같이 올라간다.(이렇게 주장하는 설도 있다)
  • ‘백회’가 정수리 중심에 있지 않고 약간 뒤에 있다
  • 정수리 가장 윗부분은 ‘전정’이 된다. 그 약간 뒷쪽에 함몰된 부분이 백회

※ 독맥은 등뼈를 기준으로 하는데,
1) [장골능] -> 요추4번-> ‘요양관’혈 : 근처 아래쪽
2) [12번 늑골] -> 2요추 -> ‘명문’혈 : 근처 윗쪽
3) [날개끝] -> 7흉추 -> ‘지향’혈 : 근처 윗쪽
4) [대추] -> 경추7
을 기준으로 한다.

참고 페이지

인체부위 이름 (한의학 관련)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시 기재된 메일 주소는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의 댓글

  1.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자료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골도법 관련 이미지를 사용하고싶은데요, 참고자료 출처표기는 이 블로그명으로 하면 되나요, 아니면 책명으로 해야하나요?..

    응답
    • CLAIRE님, 반갑습니다.
      여러자료를 종합한 것이라서, 일단 블로그명으로 해주시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은 언제든 문의 주세요.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응답
    • 여리여리님, 반갑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관련 분야의 최고의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케파파 블로그는 우리 몸의 소중한 건강정보인 경락경혈 정보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라면 1,000만명 이상이 경락 경혈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역할을 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경락 경혈 정보를 이용해서 서로 간에 쉽게 서로의 건강을 살펴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네요.^^
      계속 지켜봐 주시고, 개선 의견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응답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