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은 침구학(鍼灸學)에서 중요한 고전 중 하나로, 침구 치료의 실제 경험과 임상 사례를 기록한 책입니다. 이 책은 주로 중국의 명나라 시기에 편찬되었으며, 침구 치료의 원리와 방법,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 경험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은 명나라 시대에 편찬된 침구학의 고전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침구 치료 경험과 방법을 상세히 기록한 책입니다. 이 책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은 주요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
침구의 이론: 경락 이론, 음양오행, 장부학설 등 침구 치료의 기본 이론을 설명합니다.
혈자리와 경혈: 인체의 주요 혈자리와 경혈의 위치, 기능, 효능 등을 상세히 기술합니다.
치료 방법: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침구 치료 방법과 구체적인 처방을 제시합니다. 각 질병에 대해 어떤 혈자리를 어떻게 자극해야 하는지, 침의 깊이와 방향 등을 설명합니다.
임상 경험: 저자가 실제로 경험한 임상 사례를 통해 침구 치료의 효과와 주의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합니다.
응용 방법: 특정 상황이나 조건에서의 침구 치료 응용 방법을 제시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목차 및 주요 내용
서문 및 서론
- 침구의 역사와 이론적 배경
- 침구 치료의 기본 원리
경락과 경혈
- 12경맥과 기경팔맥의 설명
- 주요 경혈의 위치, 기능, 효능
- 경혈 자극 방법 및 주의사항
질병별 치료법
- 각종 내과 질환 (예: 기침, 천식, 소화불량)
- 외과 질환 (예: 근육통, 관절염)
- 부인과 질환 (예: 생리통, 불임)
- 소아과 질환 (예: 소아마비, 야뇨증)
- 기타 질환 (예: 두통, 불면증)
임상 사례
-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 사례
- 각 사례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치료 결과
응용 방법 및 주의사항
- 침구 치료 시의 주의사항
- 특정 상황에서의 응용 방법
-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팁
특징
- 실용성: 이 책은 이론보다는 실제 임상에서의 경험을 중시하여, 실질적인 치료 방법과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종합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치료 방법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침구 치료의 종합적인 참고서 역할을 합니다.
- 역사적 가치: 명나라 시기의 의료 지식과 치료 경험을 담고 있어, 당시의 의료 수준과 치료 방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침구경험방의 별혈
‘침구경험방’에서는 이를 더 보충하여 58개에 이르는 별혈을 수록하고 있다.
이렇게 많은 숫자의 별혈을 집록하고 있는 것은 타 침구서에서는
흔치 않은 일로 신혈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허임은 이들 별혈을 머리(9혈), 등과 어깨(11혈), 상지(15혈), 흉복부(8혈),하지(14혈)의 순으로 부위에 따라 정리하고 있다.
다음은 ‘침구경험방’에 수록되어 있는 별혈들이다.
신총(神聰)4혈, 당양(當陽)2혈, 태양(太陽)2혈, 명당(明堂)1혈, 미충(眉衝)2혈, 비준(鼻準)1혈,
이첨(耳尖)2혈, 취천(聚泉)1혈, 해천(海泉)1혈, 아시혈(阿是穴), 숭골(崇骨)1혈, 백로(百勞)2혈,
정궁(精宮)2혈, 갑봉(胛縫)2혈, 환강(環岡)2혈, 요안(腰眼)2혈, 하요(下腰)1혈, 회기(回氣)1혈,
낭저(囊底)1혈, 난문(門)2혈, 장요(腸)2혈, 견주(肩柱)2혈, 주첨(尖)2혈, 용현(龍玄)2혈, 여세(呂細)2혈,
중천(中泉)2혈, 이백(二白)4혈, 중괴(中魁)2혈, 오호(五虎)4 혈, 대도(大都)2혈, 상도(上都)2혈,
중도(中都)2혈, 하도(下都)2혈, 사봉(四縫)좌우16혈, 십선(十宣)10혈, 대공골(大空骨)2혈,
소공골(小空骨)2혈, 방정(旁廷)2혈, 통관(通關)2혈, 직골(直骨)2혈, 음도(陰都)2혈, 기문(氣門)2혈,
포문(胞門)1혈, 자호(子戶)1혈, 자궁(子宮)2혈, 학정(鶴頂)2혈, 슬안(膝眼)2혈, 풍시(風市)2혈,
영충(營衝)2혈, 누음(漏陰)2혈, 교의(交儀)2혈, 음양(陰陽)2혈, 음독(陰獨)8혈, 족내과첨(足內尖)2혈,
족외과첨(足外尖)2혈, 독음(獨陰)2혈, 내대충(內大衝)2혈, 갑근(甲根)4혈
오호(五虎, 4혈)
[침구경험방] 식지와 무명지의 두 번째 마디 뾰족한 곳에 있다. 주먹을 쥐고 취혈한다. 손가락이 오그라지는 것을 치료한다. 뜸은 5장을 뜬다.삼백(三白, 4혈) = 이백(二白)
* 이백(二白) – 동의보감에는 이백2혈로 소개되어 있다.
[침구경험방] 손바닥 뒤에 가로간 금에서 위로 4촌 올라가 수궐음경맥과 같이 있다. 두개의 혈이 서로 나란히 있는데 하나는 두 힘줄 사이에 있고, 또 하나는 큰 근육 밖에 있다. 치루(痔漏)로 피가 나오며 가렵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침은 3푼 깊이로 놓고 두 번 숨을 들이쉴 동안 사한다. 뜸은 3장을 뜬다. [고려임상의전] 대릉혈에서 4촌 올라가 간사와 극문 중간에 1개, 요골측수근굴근건 바깥에 1개혈. 합하여 2개 혈이 있다. 치질, 탈홍, 직장출혈자호(子戶, 1혈) / 포문(胞門, 1혈)
[침구경험방] 관원 왼쪽 2촌에 있다. 부인의 불임증을 치료한다. 뜸은 50장을 뜬다.*. [동의보감 침구편] 포문(胞門), 자호(子戶, 각각 1개 혈) : 포문혈은 관원혈(關元穴)에서 왼쪽으로 2촌 나가 있고 자호혈은 관원혈에서 오른쪽으로 2촌 나가 있다. 다 부인들이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뜸은 각각 50장씩 뜬다.
통관(通關, 2개 혈)
[중완혈(中腕穴)에서 옆으로 각각 5푼 나가 있으며 5열증(五噎證)을 치료한다. 침은 8푼을 놓는데 왼쪽으로 돌리면서 비비면 음식을 먹을 수 있고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비비면 비위(脾胃)가 좋아진다. 이 침혈에 한 대의 침을 놓으면 4가지 효과가 있다. 즉 첫째로, 침을 꽂은 다음 한참 있으면 비장이 음식을 삭이느라고 침대가 움직이는 것을 느끼게 되고 둘째로, 병의 근원을 없애는 소리가 뱃속에서 나며 셋째로, 방광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느끼고 넷째로, 기가 허리의 뒤뼈 사이로 흘러 들어가는 것 같은 것이다[강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