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의학개론 내용중 침뜸치료 부분을 정리합니다. [참고자료] 요약자: 뜸사랑 110차 김호진, 보완자: 뜸사랑 544차 김현신, 배워서 남 줍시다.^^
제1절 침법
1. 자침수기
(1)자침각도
직자 | 피부면 자입 각도 70-90도 |
사자 | 피부면 자입 각도 20-70도 |
횡자 (지평자) | 피부면과 평행방향으로 20도 이내 |
(2) 자발(刺拔)만 하는 것
단자술- 침을 회전시키지않고 멈춤 없이 자입, 목적한 깊이에 도달 후 발침
간헐술- 자입한 침을 중간까지 빼고 약간 멈추었다가
다시 자입 반복
옥루술- 목적 깊이까지 자입하는데 3단계로 나눠 처마의 물이 떨어지는 모양과 같이 자입
(3) 빠르게 움직이는 것
작탁술- 목적한 깊이로 자입한 침을 참새가 모이를
쪼듯이 상하로 빠르게 진퇴시켜 자극
난침술- 여러수기를 조합 깊게 얕게,빠르게 늦게,찌르고 빼고, 회전시키거나 회전시키지 않고 상하로 움직여 가장 강렬한 자극
(4) 회전하는 것
선연술- 자입시나 발침시 엄지와 검지로 손목시계 밥을 주듯이 좌우로 회전하는 방법
회선술- 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입,
발침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해 발침하는 방법
제2절 뜸법
1. 뜸의 재료
뜸쑥의 구별
구별 | 좋다 | 나쁘다 |
신구(新舊) | 오래된 것 | 새 것 |
촉감 | 부드럽다 | 뻣뻣하다 |
선유(線維) | 가늘고 길며 치밀 | 굵고 길며 거칠다 |
잡물 | 없다 | 있다 |
색조 | 淡黃色(담황색) | 灰白色(회백색) |
습도 | 적다 | 많다 |
연소 | 빠르다 | 느리다 |
자극 | 작다 | 크다 |
2. 뜸의 방식
유흔구(有痕灸) | 소구법(小灸法) | 사상구(絲狀灸)-실같이 가늘게, 큰 흔적이 없도록 할 때 |
속립구(粟粒灸)-좁쌀크기, 극 허약 체질,소아,극도로 민감한사람 | ||
반미립구(半米粒灸)-쌀 반알, 처음 시작, 허약, 정신 노동자 | ||
미립구(米粒灸)-쌀알 크기, 익숙한 사람,육체노동자,건강체질 | ||
대두,소두구-콩알크기, 瀉法 두꺼운 발바닥, 둔감한 곳 | ||
대구법(大灸法) | 초작구(焦灼灸)-피부조직을 강하 게 태움 癤(부스럼), 옹저, 蜂窩織炎 등 화농소, 뱀,지네,거미 등에 물린 부위에 직접 다장구 환부를 초작 | |
타농구(打膿灸)-엄지손톤크기, 피 부화상,화농을 만들어 배농 재촉법 | ||
무흔구(無痕灸) | 격물 구법 | 된장구-0.5~0.7㎜ 두께를 깐다 |
마늘구-0.5㎝ 절편 위에 | ||
생강구-0.5㎝ 피부에 놓고 위에 | ||
소금구-한지깔고 위에 0.5~0.7㎜ | ||
황토구-황토물 개어 환부에 | ||
온열 구법 | 봉구(棒灸)-종이로 말아서(애조구,애권구 | |
지열구(知熱灸)-열을 느끼기 전에 뺀다. | ||
순간구-가는 뜸을 거의 탈 때 손가락을 눌러 끈다. 소염효과 | ||
압구(押灸)-고루 펴고 살에 닿기 전에 납작한 것을 눌러 끈다. | ||
온통구(溫筒灸)-시구면과 뜸사이에 공기층 |
뜸의 자극량
장수 | *가벼운 자극-3~5장, 강자극-7장 이상 *초작구-50~100장, 면정, 옹-100~500 |
대소 | 사상(絲狀)대-속립(粟粒)대-반미(半米粒)대-미립대-맥(麥)립대 -서분대(鼠糞大)-소두대-대두대-완두대 |
단단하기 | 단단하면 오래타고 강자극, 성기면-약자(弱刺) |
뜸치료 기간
급성 | 1~3회 |
만성병 | 6주 이상으로 치료효과 파악 |
경증 | 한 달, 침 치료 겸 |
중증 | 2~3개월 |
완고한 만성병 | 3~4개월 |
체질개선 | 3개월 이상 |
건강유지 | 지속적 뜸, 오래할수록 좋다. |
3. 뜸의 주의사항
해서는 안될 곳 | 머리 측발제상 혈관, 목 앞쪽 양 경동맥 부근, 가래톳, 맥진처, 오금, 면부와 심장 바로 위 젖꼭지, 음부 |
큰뜸을 해서는 안될 때 | 전염병, 열이 많은 병, 피부병, 악성종양(암), 화농성질환, 임신 중, 중병 후 매우 쇠약할 때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때, 출혈하기 쉬운 체질 |
뜸의 반동(反動) | 심하게 나른, 갑자기 열발생, 머리가 무겁고, 하품, 발열, 하리 식욕부진- 일시적이나 심하면 일시 중지, 자극량 줄인다. |
수포와 가피(痂皮) | 곧 흡수, 소독한 침으로, 위에다 뜸 가능, 가피 위에 뜸 |
뜸자리의 화농 | 화농하기 쉬운 체질은 일단 쉰다. |
참기 어려운 열통 | 신경질적인 사람, 소아, 첨 뜸 주변을 손가락으로 눌러준다. |
4. 뜸의 보사(補瀉)
구분 | 보(補) | 사(瀉) |
송풍 | 자연히 타게 둔다 | 입으로 불어 빨리 |
장수 | 적게 한다. | 많이 한다. |
뜸봉 | 작게 한다. | 크게 한다. |
단단하기 | 단단하지 않게 | 단단하게 |
뜸쑥의 질 | 잘건조, 치밀, 협작물이 없는 뜸쑥 | 잘 건조 않되고, 협착물이 있는 |
뜸재(灸灰) | 재위에 그대로 뜸 | 재를 치우면서 뜸 |
눌러주기 | 세손가락으로 누름 | 그대로 한다. |
속도 | 서서히 거듭, 허증 | 빠르게 거듭, 실증 |
제3절 침뜸 활용
1. 침뜸의 치료원칙
1) 침뜸의 치료원리
음양의 조화 | 경락을 통해 음양의 치우침을 조절 |
정기를 북돋고 사기를 누른다. | 저항능력인 정기를 왕성하게 하고 사기를 내보내 저항력 높인다. |
경락을 소통 | 경락과 연계된 장부 조직과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 시킨다. |
2) 침뜸의 치료법칙
허하면 보하고 실하면 사한다. |
열은 식히고 한은 따뜻하게 한다. |
병의 현상과 본질, 그리고 완급을 구별한다. |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헤아린다. |
같은 질병에 다른 치료방법, 다른 질병에 같은 치료방법 |
개체의 특성을 중시. 계절, 환경, 거주지역, 생활습관, 체질, 성별, 직업, 병력 등을 고려한다. |
2. 경락치료
1) 경락치료의 개념
경락치료는 전체요법이다. 경락에너지의 허실을 살펴 경락을 보사하여 경락변동을 조정하면 병이 낫는다.
2) 표(標)와 본(本)
표치법 | *국소질병 치료, 응급조치 방법으로 사용 *국소혈, 근린혈, 원도(遠道)혈(특효혈)-경락의 유주에 따른, 아시혈 |
본치법 | *병의 본질인 경락변동을 조정 *14경락 조절, 자연치유력 증대 근본치료 *본치는 장기간 치료-천자(淺刺)한다. |
*상호보완적인 치료가 필요 *응급조치로 표치법으로 완화 후 본치법 치료한다. |
상합(相合)치료 | 3음 3양의 표리관계 치료 |
교상합(交相合)치료 | 3음 3양의 수족관계 치료 |
복합(複合)치료 | 좌우에 각각 상합,교상합 치료 |
혼합(混合)치료 | 오행혈, 원혈, 극혈, 낙혈, 교회혈, 특효혈, 경험혈 |
3) 경락치료에 잘 쓰이는 혈 선택
모자혈(母子穴) | *허(虛)- 모(母)를 보(補)한다. *실(實)- 자(子)를 사(瀉)한다. *腎(水)虛-自經에서 복류[經金穴(金生水)]補 他經[폐경(金生水)]에서 경거[經金穴]補 *腎(水)實-自經에서 용천[井木穴(水生木)]瀉 他經[간경(水生木)]에서 대돈[井木穴]瀉 |
유주(流注) 침법 | *신(수)허[腎(水)虛]를 10시(脾)에 치료하는 경우 →비경이 왕성한 시간→ 합수혈(음릉천)취혈 *간(목)허[肝(木)虛]를 정오(心)에 치료하는 경우 →심경이 활발한 시간→ 정목혈(소충), 원혈 |
유모혈(兪募穴) | *방광경상 제1유혈과 복부의 모혈를 취혈 *소화기 허→ 비유(脾兪), 장문(章門) *만성병은 유혈(兪穴)만 취한다.- 효과 크다. |
상하 취혈 | *상지와 하지의 상관(相關)혈을 한조로 취혈하고 효과 없으면 임독맥과 두부(頭部)의 연관혈 취혈 *기문(期門)의 압통→ 하지의 간경+상지의 심포경 +간경 분지혈(백회)/ 교회혈(중극,관원,곡골 중1) |
3. 取穴과 配穴法
1) 국소 취혈- 병환, 동통이 있는 부위, 근처 혈
主訴증 효과, 경쾌감, – 한계가 있다.
2) 근린 취혈- 국소 취혈의 효과를 높인다.
환부에서 조금 떨어진 경혈, 단독으로도 사용
국소 취혈과 근린 취혈
부위 | 국소 취혈 | 근린 취혈 |
앞이마(頭部,前額) | 상성, 백회 | 천주 |
입, 뺨(頰협) | 지창, 협거 | 천용 |
눈(眼) | 정명, 사죽공 | 상성 |
코(鼻비) | 영향, 화료(禾髎) | 통천 |
목(頸경) | 염천, 천돌 | 아문 |
가슴(胸) | 전중 부근 | 불용 |
윗배(上腹) | 중완(中脘) 부근 | 중정(中庭) |
아랫배(下腹) | 관원(關元) 부근 | 천추(天樞) |
옆머리(側頭) | 태양, 솔곡 | 풍지 |
귀(耳) | 청회, 예풍 | 천용 |
옆가슴 | 식두, 기문 | 간유 |
옆배(側腹) | 대맥, 오추 | 기문(期門) |
뒷목(項部) | 풍부, 풍지 | 대저 |
척주(背腰)1~7추(椎) | 대추, 고황 | 천주 |
9~13추(椎) | 간유, 위유 | 경문(京門) |
14~21추(椎) | 명문, 대장유 | 환도 |
항문(後陰) | 장강, 회양 | 백환유 |
어깨(肩)윗팔(上腕) | 천종, 견정 | 비유 |
팔꿈치, 아랫팔 | 곡지, 외관 | 견우 |
손, 손목 | 합곡, 후계 | 외관 |
볼기, 넓적다리 | 환도, 승부 | 양관 |
무릎, 정강이 | 삼리, 현종 | 풍시 |
발, 복숭아뼈 | 태계, 내정 | 부양 |
침뜸의 혈 배합
단측취혈 | 환(患)측 또는 건(健)측만 취혈, 우측치통은 좌측 합곡, 좌측치통은 우측합곡 |
양측취혈 | 좌우 같은 혈을 함께 취혈 |
상하양단취혈 | 상지-양쪽, 하지-한쪽 (반대로도 가) |
교차취혈 | 상하지 교차- 임맥상 압통에 효과 |
표리취혈 | 표리관계 장부 경락 취혈, 합곡-태연 |
원근취혈 | 근부- 머리, 얼굴, 몸통, 원부-팔다리 |
3) 주요 혈의 응용
(1) 반응점
압통(壓痛) | 신경(神經)의 경로와 일치, 뼈 인대 등 단단한 조직, 체벽반사병(體壁反射病)의 통증, 조직병변 효과 |
경결(硬結) | 피부, 피하조직, 근육에. 눌러 아프면 실(實) 안 아프면 허(虛), 쌀알~ 손가락 크기 |
함하(陷下) | 저항이 줄고 함몰된 느낌, 대두~대추알 뜸이 좋다. 함하 주위에 경결, 통증있다 |
반점(斑點) | 희고 검고 회백색, 붉은 반점 |
구진(丘疹) | 피부에 난 좁쌀만한 구진 |
수종(水腫() | 연약하고 힘이 없는 물혹 느낌 |
지각이상(知覺異常) | 기능항진-과민대가 넓다. 압통느낌 기능감퇴-마비감, 지각소실 |
온도이상(溫度異常) | 국한적 냉감이나 열감- 압통, 경결 |
습도이상(濕度異常) | 국한 부위에 건조나 습윤 느낌 |
(2) 팔맥교회혈 응용
*기경 치료의 한 방법으로 각 상대되는 혈을 한조로
사용한다.
공손: 비(脾), 충맥 ⇔ 내관: 심포(心包), 음유맥
임읍: 담(膽), 대맥 ⇔ 외관: 삼초(三焦), 양유맥
후계:소장( 小)腸, 독맥 ⇔ 신맥: 방광(膀胱), 양교맥
열결: 폐(肺), 임맥 ⇔ 조해: 신(腎), 음교맥
경맥 | 혈 | 주치 범위 |
충맥 음유맥 | 공손 내관 | 심, 가슴, 위 |
대맥 양유맥 | 임읍 외관 | 눈외각, 귀뒤, 어깨, 목 앞, 뺨 |
독맥 양교맥 | 후계 신맥 | 눈내각, 목 뒤, 귀, 어깨 |
임맥 음교맥 | 열결 조해 | 폐계, 인후, 흉격 |
기경의 변증
독맥 | 충산증(衝疝症), 불임증, 칮치질(痔疾), 유뇨(遺尿), 척추강직 인후 건조증, |
임맥 | 산통(疝痛), 적백대하, 배속에 각종 혹 |
충맥 | 기 상충(氣 上衝)으로 배가 불룩 |
대맥 | 허리, 배가 팽만, 주머니에 물 넣은 듯 |
음교맥 | 양기(陽氣) 쇠(衰), 음기(陰氣) 성(盛)해 잠이 많다. |
양교맥 | 음기(陰氣) 쇠, 양기(陽氣) 성해 잠이 안 온다. |
음유맥 | 의지력 약해 정신불안, 심중(心中)에 통증 |
양유맥 | 사지무력, 오한, 발열 |
(3) 팔회혈 응용
팔회 | 경혈 | 위치 | 효과 |
장회(臟會) | 장문(章門) | 간경 | 비(脾)의 모혈(募穴), 오장병에 효과 |
부회(腑會) | 중완(中)脘 | 임맥 | 위의 모혈, 육부병에 효과 |
근회(筋會) | 양릉천(陽陵泉) | 담경 | 무릎은 근이 모이는 곳 |
수회(隨會) | 현종 | 담경 | 골수와 뇌수에 효과 |
혈회(血會) | 격유 | 방광경 | 혈 모이는 곳, 혈액, 부인병 |
골회(骨會) | 대저 | 방광경 | 골이나 관절의 병 |
맥회(脈會) | 태연 | 폐경 | 맥박, 순환기계의 병 |
기회(氣會) | 전중 | 임맥 | 신경계의 병 |
(4) 오행혈의 응용
오행혈
음경(陰經) | (井)목 | (滎)화 | (輸)토 | (經)금 | (合)수 |
폐경(金) | 소상 | 어제 | 태연 | 경거 | 척택 |
심경(火) | 소충 | 소부 | 신문 | 영도 | 소해(少海) |
간경(木) | 대돈 | 행간 | 태충 | 중봉 | 곡천 |
비경(土) | 은백 | 대도 | 태백 | 상구 | 음릉천 |
신경(水) | 용천 | 연곡 | 태계 | 복류 | 음곡 |
심포경(火) | 중충 | 노궁 | 대릉 | 간사 | 곡택 |
양경(陽經) | (井)금 | (滎)수 | (輸)목 | (經)화 | (合)토 |
대장경(金) | 상양 | 이간 | 삼간 | 양계 | 곡지 |
소장경(火) | 소택 | 전곡 | 후계 | 양곡 | 소해(小海) |
담경(木) | 규음 | 협계 | 임읍 | 양보 | 양릉천 |
위경(土) | 여태 | 내정 | 함곡 | 해계 | 족삼리 |
방광경(水) | 지음 | 통곡 | 속골 | 곤륜 | 위중 |
삼초경(火) | 관충 | 액문 | 중저 | 지구 | 천정 |
모자혈
오행(五行) | 금(金) | 수(水) | 목(木) | |||
장부(臟腑) | 페(肺) | 대장(大腸) | 신(腎) | 방광(膀胱) | 간(肝) | 담(膽) |
모혈(母穴) | 태연 | 곡지 | 복류 | 지음 | 곡천 | 협계 |
자혈(子穴) | 척택 | 이간 | 용천 | 속골 | 행간 | 양보 |
오행(五行) | 화(火) | 토(土) | ||||
군화(君火) | 상화(相火) | |||||
장부(臟腑) | 심(心) | 소장(小腸) | 심포(心包) | 삼초(三焦) | 비(脾) | 위(胃) |
모혈(母穴) | 소충 | 후계 | 중충 | 중저 | 대도 | 해계 |
자혈(子穴) | 신문 | 小海 | 대릉 | 천정 | 상구 | 여태 |
오수혈
井(정) | 所出(소출) | 구급, 심하만(心下滿), 신지병(神志病) |
滎(형) | 所溜(소류) | 발열, 신열(身熱), 심화병(心火病) |
輸(수) | 所注(소주) | 관절통, 신경통, 체중절통(體重節痛) |
經(경) | 所行(소행) | 기침, 감기, 인후병, 호흡기계 |
合(합) | 所入(소입) | 만성병, 위장병 |
(5) 교회혈
*삼음교- 족태음비경, 족궐음간경, 족소음신경
*관원 – 임맥, 족태음비경, 족궐음간경,족소음신경
(6) 원혈과 낙혈
원혈 | *원기를 강하게 하는 혈이다. *오장육부의 병은 모두 원혈을 취한다. *음경은 토혈(土穴), 양경은 수혈(水穴) *운용방법-수족의 같은 이름의 원혈을 취함 수태양소장경-완골(腕骨) + 족태양방광경-경골 |
낙혈 | *표리관계 두 경을 연락한다. *두 경과 관계있는 병증을 치료한다. *비경의 낙혈-공손은 비와 위병도 치료한다. |
원혈과 낙혈
경맥 | 폐 | 비 | 심 | 신 | 간 | 심포 |
원혈 | 태연 | 태백 | 신문 | 태계 | 태충 | 대릉 |
낙혈 | 열결 | 공손 | 통리 | 대종 | 여구 | 내관 |
경맥 | 대장 | 위 | 소장 | 방광 | 담 | 삼초 |
원혈 | 합곡 | 충양 | 완골(腕骨) | 경골 | 구허 | 양지 |
낙혈 | 편력 | 풍륭 | 지정 | 비양 | 광명 | 외관 |
임맥 | 구미 | 독맥 | 장강 | 비(脾) [대락(大絡)] | 대포 |
(7) 극혈의 응용
경락 | 극혈 | 특효 |
폐경 | 공최 | 각혈, 치 출혈 |
신경 | 수천 | 월경통, 월경곤란, 자궁탈출 |
간경 | 중도 | 자궁출혈, 산기(疝氣) |
심경 | 음극 | 심통, 협심증, 전간(癲癎) |
비경 | 지기 | 급성 카타르, 수종 |
심포경 | 극문 | 심장병, 늑간신경통, 신경성 심계항진 |
대장경 | 온류 | 풍사, 치통 |
방광경 | 금문 | 비장근 경련, 소아경기 |
담경 | 외구 | 광견병, 전간(癲癎) |
소장경 | 양로 | 목현(目弦), 이명 |
위경 | 양구 | 위통(위경련, 위카타르) |
삼초경 | 회종 | 심통(협심증 등), 장염(맹장염) |
(8) 모혈의 응용
경락 | 모혈 | 소속 | 비고 |
폐경 | 중부(中府) | 폐경 | 비경과 만남 |
심경 | 거궐 | 임맥 | |
간경 | 기문(期門) | 간경 | 담경, 비경과 만남 |
비경 | 장문(章門) | 간경 | 담경과 만남 |
신경 | 경문(京門) | 담경 | |
대장경 | 천추 | 위경 | 대장경과 만남 |
소장경 | 관원 | 임맥 | 신, 간, 비경과 만남 |
담경 | 일월 | 담경 | 간, 비경과 만남 |
위경 | 중완(中脘) | 임맥 | 위,폐,심포,삼초,간,소장 |
방광경 | 중극 | 임맥 | 신, 비경과 만남 |
삼초경 | 석문 | 임맥 | |
심포경 | 전중 | 임맥 |
(9) 兪穴의 응용
*등에 있는 진단 치료점, 등은 陽→陰氣가 흐르는 곳
병기가 있으면 음기가 유혈에 뭉쳐 경결, 압통
장부 | 유혈 | 위치 |
폐 | 폐유 | 제3흉추 하 |
대장 | 대장유 | 제16추, 上口-신궐 상1촌 |
위 | 위유 | 상구-상완, 중구-중완, 하구-하완 |
비 | 비유 | 제11흉추 하 |
심 | 심유 | 제5흉추 하 |
소장 | 소장유 | 상구-하완, 하구-수분, 제18추 |
방광 | 방광유 | 제19추 |
신 | 신유 | 제14추, 배꼽과 평행 |
심포 | 궐음유 | 제4흉추 하 |
삼초 | 삼초유 | 상초-전중, 중초-중완(대표),천추 하초-음교 |
담 | 담유 | 제10흉추 |
간 | 간유 | 제9흉추 |
(10) 회양구침
*인사불성, 혼절-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차 | 아문, 노궁, 삼음교 |
2차 | 용천, 태계, 중완 |
3차 | 환도, 족삼리, 합곡 |
(11) 사총혈
*늘 사용하고 효과가 많은 혈
족삼리 | 복부의 병 (腹部) |
위중 | 허리와 등 부위 (腰背部) |
열결 | 머리와 목 (頭, 項) |
합곡 | 얼굴과 눈병 (面, 眼) |
(12) 생물시간의 응용
인체 | 유주시간 | 12지(支) | 인체 | 유주시간 | 12지(支) |
담(膽) | 23~1시 | 자(子) | 심(心) | 11~13시 | 오(午) |
간(肝) | 1~3시 | 축(丑) | 소장(小腸) | 13~15시 | 미(未) |
폐(肺) | 3~5시 | 인(寅) | 방광(膀胱) | 15~17시 | 신(申) |
대장(大腸) | 5~7시 | 묘(卯) | 신(腎) | 17~19시 | 유(酉) |
위(胃) | 7~9 | 진(辰) | 심포(心包) | 19~21시 | 술(戌) |
비(脾) | 9~11 | 사(巳) | 삼초(三焦) | 21~1시 | 해(亥) |
4. 무극보양뜸
모든 만성병을 치료하는 뜸요법,병을 예방하는 뜸요법
*처방- 음양오행의 원리를 응용
음양오행 | 혈명 | 위치 | 기능 | |
중앙 (토) | 중완 | 몸통 중앙 | 오장육부 통제 | |
사방 (목화금수) | 곡지 족삼리 | 양쪽 팔다리 | 균형 조절유지 | |
오방통제 (土 代行) | 백회 | 머리 | 오장육부의 오행질서 통제 | |
음(陰) | 관원 기해 | 몸 앞쪽 아래 | 원기(元氣)농축 | 음양조절 기혈보양 |
양(陽) | 폐유 고황 | 몸 뒤쪽 위(폐위치) | 기(氣) 주관, 원기(宗氣)생산 |
*여자는 陰 중극, 수도
♣ 무극보양뜸자리잡기
*남-12자리 중완,곡지,족삼리,백회,폐유,고황
관원,기해(8개)
*여-13자리 중완,곡지,족삼리,백회,폐유,고황
중극,수도(8개)
혈명(穴名) | 소속경락(所屬 經絡) | 자리잡기 | 치료효과 | 비고 |
백회(百會) | 독맥(督脈) | 전발제상5촌 후발제상7촌 두정골 시상봉합 중앙 | 치매예방, 중풍, 두통, 건망증,이명, 뇌일혈,치질 혈압항진 탈항 | 삼양(三陽) 오회(五會) |
폐유(肺兪) | 족태양방광경 (足太陽膀胱經) | 제3흉추 극돌기하 외방1.5촌 신주외방 1.5촌 | 폐질환,천식 기관지염, 피부질환, 소화불량 | 폐경(肺經)의 유혈(兪穴) |
고황(膏肓) | 족태양방광경 (足太陽膀胱經) | 제4흉추 극돌기하 외방 3촌 견갑골 내연 의 승모근 중 | 폐질환,몽정, 신경쇠약,유정 소화불량, 식욕부진 | 만성병 치료 자리 |
곡지(曲池) | 수양명대장경 (手陽明大腸經) | 주횡문연장선 전완외측 최상단면과 만나는 지점 | 성인병예방, 반신불수, 두통, 변비, 피부병, 강장 | 합토혈 팔의 대표혈 |
중환(中脘) | 임맥(任脈) | 기골하 4촌 신궐상 4촌 | 소화불량,복통, 식욕부진 위경련, 변비 설사, 고혈압 | 위경의 모혈(募穴) |
기해(氣海) | 임맥(任脈) | 신궐하 1.5촌 음교와 석문 의 중간 | 생식기질환, 장질환, 신장 질환, 신경쇠 약, 강장구혈 | 선천의 원기 남성용(男性用) |
관원(關元) | 임맥(任脈) | 곡골상 2촌, 신궐하 3촌 | 양기부족, 조루,유정, 탈항, 요실금 발기부전, 복막염, | 소장경 모혈(募穴) 남성용(男性用) |
중극(中極) | 임맥(任脈) | 곡골상 1촌, 신궐하 4촌 | 여생식기질 환, 방광염 전립선염, 골반염, 신장염 요실금, 대하 월경통, 수종 | 방광경 모혈(募穴) 여성용(女性用) |
수도(水道) |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 | 대거하 1촌, 관원 옆 2촌 | 월경곤란, 신염, 자궁염 변비,불임증, 부종, 고환염 소변불통,탈장 | 여성용(女性用) |
족삼리(足三里) |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 | 독비하 3촌 경능골 옆 1촌 | 무병장수혈, 신경통, 변비 고혈압, 빈혈 위경련, 안질 반신불수, 소화불량, | 합토혈 위의 하합혈 |
*백회-삼양오회:족태양,수소양,족소양,족궐음,독맥 교회
5. 침의 활용
1) 따기(瀉血法)
*반드시 엎드리거나 누운자세로 따기
-기혈이 허약한자는 의자에 앉아서 하면 안된다
*따기 후유증 대처방안
편하게 눕히되 머리는 낮게 발은 높게 하여 안정을 취하거나 손가락 끝(십선)과 발가락 끝(십기단)을 따준다
족삼리,수삼리,합곡혈을 가볍게 따주면 즉시 깨어난다
*따기를 해서는 안되는 경우
심한 저혈압,백혈병,극도의 기혈쇠약,심한출혈이나
땀의배설,심한설사 후에는 따지않는다.
2) 피내침
피부층에 수평자입
피부가 신축하는 방향에 대해 십자형으로 자입
자침된 침을 테이프로 고정하여 침자극이 지속되게한다
-침자루에 피부에 닿으면 침감이 낮아지므로 피부와 침자루사이에 테입고정하되 침자루에 붙도록
피내침 자입 후 움지이게 하여 침이 피부를 찌르지 않는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