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공부] 포지션 속성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포지션 속성은 박스 구성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속성입니다. 이 속성에는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그리고 sticky와 같은 다섯 가지 값이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포지션(position) 속성 개요

CSS의 position 속성은 웹 페이지 내의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고 위치를 정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속성입니다. 이 속성에는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그리고 sticky와 같은 다섯 가지 값이 있습니다.

  1. static: 이것은 모든 요소의 기본값입니다. static으로 설정된 요소는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 따라 배치됩니다. 또한, top, right, bottom, left와 같은 위치 지정 속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relative: 이것은 요소를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 따라 배치하되, 자신의 원래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를 조정합니다. top, right, bottom, left와 같은 위치 지정 속성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거리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3. absolute: 이것은 가장 가까운 부모나 조상 요소 중 position 값이 static이 아닌 것을 기준으로 위치가 결정됩니다(만약 그런 요소가 없다면 body 태그가 기준이 됩니다). absolute로 설정된 요소는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서 제외되며, top, right, bottom, left와 z-index 속성을 사용하여 위치 및 쌓임 순서(stack order)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4. fixed: 이것은 뷰포트(viewport)를 기준으로 고정된 위치에 배치합니다. 스크롤을 해도 항상 같은 곳에 남아있습니다. fixed로 설정된 요소 역시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서 제외되며 top, right, bottom,left 와 z-index 속성을 사용하여 위치 및 쌓임 순서(stack order)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5. sticky: sticky는 스크롤 할 때 상대적(relative) 또는 고정(fixed) 포지셔닝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처럼 동작합니다.

위치 지정 속성 (top / right / bottom / left)과 함께 사용하면 해당 방향에 대해 스크롤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다가 뷰포트 경계에 닿으면 그 곳에서 멈춥니다.

하지만 Internet Explorer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속성이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포지션 속성 설명

position 속성은 박스 구성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속성입니다. 어떤 position 속성을 사용 하느냐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내용을 잘 이해하고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CSS 공부] 포지션 속성 1

1) Static

  • position 속성의 기본값으로, 요소를 나열한 순서대로 배치하며 원하는 위치에 콘텐츠를 배치할 방법은 없다.
  • 순서대로라는 의미는 콘텐츠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추가해 나가고 오른쪽에 공간이 없을 경우 다음 줄로 넘겨 배치하는 것을 의미 한다.
  • 뒤에 나오는 float 속성을 이용해 좌우로 배치할 수 있다.

2) Relative

  • static과 같이 나열한 순서대로 배치되지만 top, right, bottom, left 속성을 사용해 원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 이때 좌표값은 원래 있던 위치 즉, static 기준으로 원래 위치해야 할 곳이 기준이 되며 지정한 속성에 따라 상/하/좌/우 원하는 자리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 하다.

3) Absolute

  • top, right, bottom, left 속성값을 이용해 요소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 이때 기준 위치는 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 중 position 속성이 relative인 요소.
  • 따라서 absolute를 사용하는 경우 콘텐츠 박스를 감싸는 컨테이너를 만들고 position을 relative로 지정해놓고 사용.
  • 상위 요소가 없다면 브라우저 화면의 좌측상단을 기준으로 설정.

4) Fixed

  • absolute 속성처럼 좌표로 위치를 결정하지만 기준이 부모요소가 아닌 브라우저 창(Browser Window)임.
  • 페이지를 스크롤하더라도 계속 고정되어 표시됨. 즉, 항상 같은 위치를 유지.

5) z-index

  • 박스들이 중첩되는 경우 박스들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속성.
  • 파워포인트에서 박스들을 맨위로 보내거나 맨뒤로 보내는것과 같다.
  • z-index 값이 높을수록 위, 작을수록 아래에 배치되며 -인 경우 기준 콘텐츠의 아래쪽을 의미.
  • position 속성이 적용된 경우에만 의미가 있음.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