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혈검색/14경락-01]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 24혈에 대한 종합 설명 페이지 입니다.
해당 경혈에 대한 유주 설명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해당 경락에 속해있는 경혈들의 취혈 요약정보와 함께 해당 각 경혈의 세부설명 글에 대한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임맥(CV) 유주
유주설명1
유주(流注) : 회음부(會陰部)에서 기(起)하여 외음부(外陰部)를 들렸다가
음모제(陰毛際)를 상행 복부정중선상(腹部正中線上) 제(臍)를 통하여 후두(喉頭)까지 올라가 턱에서 안면(顔面)으로 나와서 입술을 돌아서 둘로 나누어져 양안(兩眼)의 중앙하부에서 양교(陽 )와 족양명(足陽明)의 이경(二經)과 만나고 끝난다. 임맥의 낙혈은 ‘구미‘이다.
유주설명2
- 하복부 중극中極 아래에서 기시起始하여 양음지간兩陰之間[1] 인 회음부로 나와
- 회음부를 경유하여 음모제陰毛際로 상행하여
- 전정중선前正中線을 따라 곡골, 중극, 관원, 석문, 기해, 음교, 신궐(배꼽)을 거쳐
- 흉부정중선을 따라 수분, 하완, 건리, 중완, 상완, 거궐, 구미, 중정, 전중, 옥당, 자궁, 화개, 선기를 지나 천돌, 염천 사이(간間)인 인후부에 이르고
- 턱을 지나 아랫입술 밑 승장에 이르고
- 승장에서 수족양명경, 독맥과 교회하고 둘로 나누어져 입술을 돌아 은교에서 독맥과 만나고 다시 갈라져서
- 안면부를 따라 눈 밑으로 이어져 눈 밑 승읍에서 족양명위경과 만난다
- 분지는 포중胞中에서 나와 등골을 관통하고 배부背部를 순행한다.
유주 그림
경락경혈 그림
아래 이미지의 경혈코드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경혈 정보로 이동됩니다.
임맥(任脈) 취혈(取穴) 요약
- 승장(承漿) – 입술아래 중앙 오목한 곳
- 염천(廉泉) – 턱과 갑상연골의 중간
- 천돌(天突) – 흉골병 위 0.5촌 오목한 곳
- 선기(璇璣) – 전중과 천돌을 5등분하여 위쪽 4/5지점
- 화개(華蓋) – 전중과 천돌을 5등분하여 위쪽 3/5지점
- 자궁(紫宮) – 전중과 천돌을 5등분하여 아래쪽 2/5지점
- 옥당(玉堂) – 전중과 천돌을 5등분하여 아래쪽 1/5지점
- 전중(膻中) – 양 유두사이 정중앙
- 중정(中庭) – 양 늑간이 만나는 지점
- 구미(鳩尾)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위쪽 7/8지점
- 거궐(巨闕)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위쪽 6/8지점
- 상완(上脘)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위쪽 5/8지점
- 중완(中脘)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정중앙 지점
- 건리(建里)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아래쪽 3/8지점
- 하완(下脘)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아래쪽 2/8지점
- 수분(水分) – 배꼽과 흉골 아래쪽 끝 사이를 8등분하여 아래쪽 1/8지점
- 신궐(神闕) – 배꼽
- 음교(陰交) – 곡골과 배꼽사이는 5촌으로 보고 5등분하여 위쪽 4/5지점
- 기해(氣海) – 음교와 석문 사이 정중앙
- 석문(石門) – 곡골과 배꼽사이는 5촌으로 보고 5등분하여 위쪽 3/5지점
- 관원(關元) – 곡골과 배꼽사이는 5촌으로 보고 5등분하여 아래쪽 2/5지점
- 중극(中極) – 곡골과 배꼽사이는 5촌으로 보고 5등분하여 위쪽 1/5지점
- 곡골(曲骨) – 치골의 위쪽 가장자리 정중앙
- 회음(會陰) – 전음과 후음사이 정중앙
임맥(任脈,CV) 소속 경혈들
CV1 회음 (會陰)
CV2 곡골 (曲骨)
[리즈-14] 잦은 소변과 소변을 참기 어려운 증상에 유효.(굽어진 달 모양의 한 약천 같은 경혈.)CV3 중극 (中極)
방광염과 대하증 때는 차료, 방광유와 배합하여 뜬다. 특효이다. 항생제를 쓸 필요가 없다.
중극하 하사자 자침(생식기 방향) : 전립선 비대증에 특효
[리즈-15] 매달 찾아오는 월경 기간 고통을 줄여준다! (중극은 인체 상하좌우의 중심임을 의미한다)CV4 관원 (關元)
강장혈
[리즈-16] 신허한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보약” (원음원양은 모두 이 안에서 들고 나온다)CV5 석문 (石門)
삼초의 모혈. 고혈압치료. 불임 유발(산모 금구)
CV6 기해 (氣海)
관원 잡고 배꼽과 1/2 위치. 강장구혈(남성 정력)
[리즈-17] 정력이 부족하다면 기해에 뜸을! (바닷물이 기화 작용을 거쳐 끓어오르면, 기의 순환과 오르내림이 생겨 몸이 편안해진다)CV7 음교 (陰交)
CV8 신궐 (神闕)
[리즈-18] 복부 문제는 신궐혈에 뜸(격염구)을 떠 해결할 수 있다!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던 곳)격염구(隔鹽灸)
격염구는작고 거친 소금으로 배꼽을 채우고, 그 위에 얇게 썬 생각편을 놓은 뒤 쑥뜸을 뜨면, 배꼽 안으로 황색 소금과 생강즘이 가득 차게 되는데,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좋다. 그냥 소금만 배꼽 위에 약간 수북히 둥글게 모아 작은 언덕 모양으로 올리고 바로 뜸을 올려서 하기도 한다. 뜸 시간은 대략 10~15분 소요.
경염구의 효과
- 복부 질환: 격염구는 특히 소화기 질환, 복통, 설사 등의 복부 질환에 효과적입니다.
- 기혈 순환: 뜸의 열이 피부를 통해 내부로 전달되면서 기혈 순환을 촉진합니다.
- 통증 완화: 뜸의 열이 통증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CV9 수분 (水分)
수분대사조절. 배뇨곤란
CV10 하완 (下脘)
[리즈-19] 위가 아플 때 특효인 “세 명의 검객(상완,중완,하완)” -격강구 뜸격강구(隔姜灸)
‘격강구(隔姜灸)’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사용되는 뜸 치료법 중 하나로, 생강을 매개로 하여 뜸을 간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생강의 약리 효과와 뜸의 열 효과를 결합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격강구는 특히 냉증, 통증 완화, 소화기 질환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방법은 생강을 아주 얇게 동전 정도 두께로 썰어 상완, 중완, 하완 위에 두고 긔 위레 뜸을 떠서 열기가 경혈에 전달되도록 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생강즙의 열성 성분이 피부로 흡수되어 아주 간단하게 치료에 도달하게 됩니다.
CV11 건리 (建里)
[리즈-20]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가장 좋은 온보약. (중초비위지기의 기초를 건립한다.)CV12 중완 (中脘)
소화불량, 복통, 위경련, 구토, 급성유염, 위궤양 등 위와 관련된 일체의 병
[리즈-19] 위가 아플 때 특효인 “세 명의 검객(상완,중완,하완)” -격강구 뜸CV13 상완 (上脘)
[리즈-19] 위가 아플 때 특효인 “세 명의 검객(상완,중완,하완)” -격강구 뜸CV14 거궐 (巨闕)
심경의 모혈. 삼계항진증(가슴이 두근두근), 구토, 멀미
[리즈-21] 두근거림을 완화시키는 경혈. (심장 옆에서 심장을 수호하는 호위무사)CV15 구미 (鳩尾)
임맥의 낙혈. 심장 압통. 식도 관련 질병.
CV16 중정 (中庭)
천식
CV17 전중(단중) (膻中)
특효: 양유두 중간(심포경의 모혈,팔회혈,상초) 여자들의 심장,가슴,유방질환(유즙 분비 부족), 불면증
[리즈-21] 심장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혈액을 공급해 주는 “구심환” 같은 경혈!종기를 전중에 모아주면 심장을 잘 지킬 수 있게 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구심환(救心丸)’
‘구심환(救心丸)’은 전통 중국 의학에서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심장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한약입니다. 이 약은 주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며,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요 성분
구심환은 다양한 한약재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며, 그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홍화(紅花):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단삼(丹參):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심장의 기능을 강화합니다.
항산화 작용이 있어 심혈관 건강에 유익합니다.
- 황기(黃芪):
면역력을 강화하고, 혈액을 보충하며, 기운을 북돋아 줍니다.
- 당귀(當歸):
혈액을 보충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합니다.
여성의 생리 불순과 관련된 증상에도 효과적입니다.
- 천궁(川芎):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두통과 같은 통증을 완화합니다.
효능과 효과
구심환은 다음과 같은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심혈관 건강 증진: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혈액 순환 촉진: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어혈을 제거하고, 혈류를 개선합니다.
- 기력 회복:
기운을 북돋아 주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통증 완화:
두통, 생리통 등 다양한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복용 방법
구심환은 일반적으로 환약 형태로 제공되며, 성인의 경우 하루 2-3회, 1회에 1-2환을 따뜻한 물과 함께 복용합니다. 복용 전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용량과 복용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의사항
- 임신 중이거나 특정 약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복용 전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 과도한 복용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권장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구심환은 전통적인 한약재를 기반으로 한 자연 치료법으로,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CV18 옥당 (玉堂)
CV19 자궁 (紫宮)
CV20 화개 (華蓋)
CV21 선기 (璇璣)
CV22 천돌 (天突)
[리즈-23] 황두온구를 하면 아주 간단하게 천식을 치료. (폐의 문호를 열어 바깥 공기와의 소통을 개선시킨다)CV23 염천 (廉泉)
CV24 승장 (承漿)
얼굴의 중심을 잡는다.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구창(입이 헌다), 안면부종(얼굴 붓는다), 당뇨병
관련링크
⭐기경팔맥(奇經八脈) 종합
[경혈검색] 링크 종합 페이지 : 최상위 메뉴 페이지(메인 페이지)
활용가이드 링크
경혈 특성 분석 및 분류 링크
[검색키워드] CV000, ㅊㅍ000, 임맥000
💛 아래쪽으로 이동 (클릭👍)
인체 경혈은 정말 소중한 정보입니다. 누구나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 발전 시키겠습니다. 더 빠르게 검색되는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컨테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경혈에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함께 만들어가요^^
감사합니다. 좀 더 활용성 높은 자료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개선 의견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