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혈명 : CV10 하완 (下脘) / Xiawan 下脘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임맥과 족태음 비경이 만나는 경혈로서 중초를 조화롭게 하고 , 구역질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근육/신경 : 복직근 / 흉곽신경전피지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이 혈은 위(胃)의 하구(下口)에 있다. 위(胃)의 하부(下部)를 옛날에는 하완(下脘)이라 하였으므로 하완(下脘)이라 이름하였다.
脘은 胃脘을 뜻한다. 상중하 세부분으로 나뉘어서 胃의 上口는 오른쪽으로 기울었고, 胃의 中彎은 왼쪽을 향했으며, 胃의 下口는 가운데를 향하였으니. 상중하 세부분 중에 下彎에 해당하는 것은 胃의 下口이다. 그러므로 下脘이라고 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윗배, 앞정중선(anterior median line) 위, 배꼽(umbilicus, 신궐) 중심에서 위쪽으로 2寸.
On the upper abdomen, 2 B-cun superior to the centre of the umbilicus, on the anterior median line.

4. 혈의 취혈
4.1. 취혈1
제상(배꼽위, 신궐위) 2촌 되는 지점으로 전정중선에 위치.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5~1寸
– 斜刺 0.8~1.2寸
세 곳(상완,중완,하완)의 혈에 격강구 뜸
격강구(隔姜灸)
‘격강구(隔姜灸)’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사용되는 뜸 치료법 중 하나로, 생강을 매개로 하여 뜸을 간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생강의 약리 효과와 뜸의 열 효과를 결합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격강구는 특히 냉증, 통증 완화, 소화기 질환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방법은 생강을 아주 얇게 동전 정도 두께로 썰어 상완, 중완, 하완 위에 두고 긔 위레 뜸을 떠서 열기가 경혈에 전달되도록 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생강즙의 열성 성분이 피부로 흡수되어 아주 간단하게 치료에 도달하게 됩니다.
[2] 세부정보
1. 혈성
건비화위, 강역지구
助腸胃運化(조장위운화) 消食積氣滯(소식적기체)
2. 주치
위확장, 위경련, 만성위염, 만성장염, 구토
Details
3. 특효 사항
[리즈] 위가 아플 때 특효인 “세 명의 검객(상완,중완,하완)” – 세 곳의 혈에 격강구 뜸4. 특이 사항
5. 관련혈
[3] 참고 링크 정보
1. 소속 경락에 대한 정보 링크

[클릭] 참조 링크 추가 보이기/감추기
2. 활용 가이드 링크

3. 경혈 특성 분석 및 분류 링크

4. 오케파파 경혈검색 링크 종합 메인 페이지

5. 용어 사전 메인 페이지
[검색키워드]
KACUPOINT_CV010
ACUPOINT_CV010
CV010
💛 아래쪽으로 이동 (클릭👍)
인체 경혈은 정말 소중한 정보입니다. 누구나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 발전 시키겠습니다. 더 빠르게 검색되는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컨테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경혈에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함께 만들어가요^^
감사합니다. 좀 더 활용성 높은 자료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개선 의견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