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뜸의학개론- 3장.장상론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침뜸의학개론 내용중 장상론 부분을 정리합니다. (참고자료) : 요약자: 뜸사랑 110차 김호진, 보완자: 뜸사랑 544차 김현신, 배워서 남 줍시다.^^

장(臟) 은 ‘장(藏,감출 장)’과 같은 뜻으로 내부에 감추어져 있는 물건 즉 인체의 장기(臟器)를 가리키며, 상(象)은 상징(象徵) 또는 형상(形象)의 뜻으로 장부(臟腑)의 생리활동(生理活動)과 병리(病理) 변화가 외적인 상징으로 반영되는 것을 장상(臟象)이라 한다

장상론(장상학)은 밖에 나타나는 상(象)을 통해 장부의 생리기능, 병리변화와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설이다.

오장 육부

구분 특징 장부 생리기능 비고
오장 늘 일한다 채워짐 심, 폐, 비, 간, 신, 심포 정기(精氣)를 화생(化生), 저장 음(陰)
육부 필요시 일 비어짐 소장,대장,위,방광,담, 삼초 수곡을 수납, 전화(傳化) 양(陽)
오장 기능 비고
1) 혈맥을 주관
2) 정신작용을 주관
3) 심의 기능은 얼굴
4) 심은 혀에 영향
5) 심의 액은 땀
汗:양기의증발 심기허-자한 심혈허-도한
1) 氣를 주관
2) 선발숙강기능 주관 선발(호)-기를 위로 올 리고 흩트림 숙강(흡)-흡기한 청기를 腎으로 내려보냄
3) 水道를 소통 조절
4) 백맥을 모아들이고 심을 도와 혈을 운행
5) 피부 자양, 기능은 毛
6) 코에 영향, 액은 콧물
선발숙강은 양음으로 대립하고 조화   청기+수곡정기 = 宗氣   昇降出入 조절
1) 운화기능 주관
2) 혈액의 통섭 주관
3) 상승시키는 기능주관
4) 기육 담당, 사지주관
5) 입에 개규, 입술에 반영
6) 비의 액은 군침(涎)
運化기능: 수곡→ 소화→ 정기로 변화
1) 소설기능 주관
2) 혈을 저장
3) 筋을 주관
4) 손발톱에 반영
5) 눈에 개규
6) 간의 액은 눈물
疏泄기능: 기를 소통, 혈액과 진액의 운행을 조절 하는 생리기능
1) 精을 저장, 생장, 발육,생식 주관
2) 수액을 주관 (신의 기화기능)
3) 납기 기능 주관
4) 골을 주관, 髮 반영
5) 귀와 二陰에 개규
6) 신의 액은 타액(唾)
신음허- 허열 이명, 다몽   신양허- 춥고 四肢 싸늘 요슬산연
*간주장혈-혈량 조절을 위해 저장하고 공급하는 작용
*폐선발기능-기혈,진액을 전신에 퍼트려 장부,경락 기육,피모에 골고루 수포
*폐숙강기능- 청기의 흡입, 수도통조, 조박의 배설

장과 장의 관계

장-장 관계
심-폐 *심- 혈순행 주관 폐- 호흡 주관
*심과 폐는 기와 혈관계, 서로 의존한다.
*심양허-혈액이 순통치못해 폐의 선발숙강 에 영향 폐기가 위로 몰려 기침,숨이차다.
심-비 *심- 혈 주관, 혈운행
*비- 혈 생성, 혈 통제
심-간 *심- 혈 주관, 神 저장
*간- 혈 저장, 소설기능, 정서상태 조절
심-신 *심- 陽의 장, 火
*신- 陰의 장, 水
*수승화강, 심신상교, 心腎不交
폐-비 *폐- 청기흡수
*비- 수곡정기 생성
*청기+수곡정기=宗氣
*폐,비는 수액대사 관여
폐-간 *간기왼쪽으로 상승
*폐기오른쪽으로 하강
폐-신 *폐- 호흡 주관
*신- 납기 주관
간-비 *비의 운화기능은 간의 소설기능이 조절
*간은 혈저장, 비는 혈 생성 통제
간-신 *간신동원(肝腎同源), 정혈동원(精血同源)
*신음은 간음 자양 간양 항진 견제
비-신 *비- 후천의 근본, 수곡정기 생성
*신- 선천의 근본, 精 저장
*비신양허-새벽설사

 

육부 특징
*中正지관
*담즙 저장 배설
*결단력 주관
*담즙을 소설기능으로 소장으로, 소화촉진
*倉廩(창름)지관
*수곡기혈의 바다
*비위 후천의 근본, 胃氣
*강탁기능 주관, 비는 승청기능
*燥를 싫어하고 濕을 좋아한다.
소장 *受盛지관
*소화 흡수
*비별 청탁
대장 *傳道之官
*수분흡수, 대변배출
방광 *州都지관
*소변 저장, 배출 (腎의 기화작용)
삼초 *元氣를 오장육부에 수송하는 통로
*기가 승강출입하는 통로
*온몸의 기주관 기운행, 기화기능 조절
*수액대사도 반드시 삼초를 통해야
*삼초실조→ 진액대사실조→ 수종
*상초- 횡격막 이상 (안개) 중초- 횡격막~배꼽 (물거품) 하초- 배꼽 ~二陰 (도랑)

오장과 육부의 관계

오장육부 관계
심-소장 *心火→ 경맥을 통해 소장에 영향 오줌 붉고 적어지고 통증
폐-대장 *폐숙강 실조→ 대장 수송기능 실조 대장습윤 실조, 변비증상
비-위 *비- 상승, 위- 하강
*비(음)- 喜燥 惡濕, 위(양)-喜濕 惡燥
간-담 *간- 소설기능, 답즙 분비, 모려주관
*담- 답즙 저장, 배설(소장), 결단주관
신-방광 *방광- 오줌 저장 배설 기능은
*신- 기화 기능으로 발휘

오장과 육부의 관직

오장육부 관직

장군지관(將軍之官) 모려출언(謀慮出焉)
중정지관(中正之官) 결단출언(謀慮出焉)

소장
군주지관(君州之官) 신명출언(神明出焉)
수성지관(受盛之官) 화물출언(化物出焉)

간의지관(諫議之官) 지주출언(知周出焉)
창름지관(倉廩之官) 오미출언(五味出焉)

대장
상부지관(相傅之官) 치절출언(治節出焉)
전도지관(傳導之官) 변화출언(變化出焉)
신장
방광
작강지관(作强之官) 기교출언(技巧出焉)
주도지관(州都之官) 진액장언(津液出焉)
심포
삼초
신사지관(臣使之官) 희락출언(喜樂出焉)
결독지관(決瀆之官) 수도출언(水道出焉)

기항의 부

기항지부(奇恒之腑)는 전통적인 육부(六腑)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 장부를 지칭합니다. 기항지부는 일반적인 장부처럼 물질을 운송하거나 소화하는 역할을 하지 않지만, 저장 기능특수한 생리적 역할을 수행하는 독특한 장부들입니다.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여자포(女子脯)

기항부 특징
*정신, 사유활동 주관, 심,간,신과 관계
*심-정신이 소장, 간- 소설주관 신은 精저장, 정은 髓생성, 髓海
*골강 속의 기름같은 물질
*골수, 척수, 뇌수
*수는 뼈를 보양, 골수는 造血기관
*골수를 담고 있다.
*몸의 형체 유지.
*장부와 기관조직 보호
*골격근의 신축작용으로 운동
*맥관으로 심과 통하는 腔管, 기혈통로
여자포 *자궁(월경주관) 충맥,임맥,심,간,비와 관계
*담즙저장 분비, 육부에도 소속

정•신•기•혈•진액(精• 神• 氣•血•津液)

정()

1) 정의 생성

*선천의 정- 부의 정액, 모의 정혈이 합쳐진 정

*후천의 정- 수곡, 정기를 장부가 생성 사용 후 남은 것을 腎에 저장한 것

2) 정의 기능

① 생식기능

② 생장과 발육기능

③ 정신기능의 기초-뇌수 생성

④ 인체의 운동과 기능활동의 바탕

⑤ 외부자극 病邪에 대한 방어기능

-병사는 精氣가 허할 때 생김

⑥ 腎과 관련된 기능

신정의 부족- 이롱, 이명, 청력감퇴

뼈가 시리고 저리다. 허리 무릎 아프다.

동자(동자는 뼈의 精)가 탁해진다

신()

1) 신의 개념

신은 생명활동 현상의 외부로의 표현작용

정신기능 활동, 초월적 인식능력, 지각작용

2) 신의 생성

*선천의 신- 부모로부터 받는다.

정신(혼백):정은 신이 들어있는 곳이고 신 은 정의 표현

*후천의 신- 수곡정기흡수→기혈진액이 충양되어 생성

3) 신의 기능

① 온 몸을 다스린다.

② 정서를 총괄하고 조절한다.

③ 몸속에서 일어나는 생명활동의 정황을 밖으로 표현

인체의 정과 기의 관계

만물의 실체, 물질적, 기능적, 작용적인 의미가 있다. 장부와 지체를 구성하고 생명활동을 일으키고 유지하는 존재이다

1) 기의 생성

*선천의 기- 부모의 精氣

*후천의 기- 수곡정기 + 淸氣

*기의 생성은 비위가 가장 중요 (신, 비/위, 폐 관여)

2) 기의 생리 작용 (추온고방기)

①추동 생장, 발육, 장부 경락활동, 혈 진액운행
②온후 체온유지, 혈진액 순행, 장부경락기능
③고섭 혈액, 진액, 정액, 장부조직 제위치
④방어 외사 침입방어, 퇴치
⑤기화 기의 승강출입, 신진대사 정상유지 기혈진액생성과 땀 오줌 등 배출기능

3) 기의 종류

종류 작용
元氣 *신에서 만들어짐 후천의 영양으로 보충
*삼초를 통해 경락 주리사이를 운행 성장발육, 경락장부의 온후 기능
宗氣 *수곡정기+청기(폐에서 합해짐)
*종기는 전중에 모인다. ①폐의 호흡운동 ②심맥 기혈운행 ③후두를 지나므로 언어강약에 영향
營氣 *수곡정기가 맥에 들어가 변화
*중초에서 나와 십사경맥을 통해 순행
*혈을 만들고 신체 영양, 혈액주요성분
衛氣 *활성이 크고 유동이 빠른 기
*경맥 밖으로 나와 만들어 진다.
*수면과 관계있다. 취침- 체내순행,깨어있으면-체표면순행
衛氣의 기능
① 피부표면을 보호, 邪氣의 침입을 막는다.
② 장부를 온후, 피모를 윤택하게 한다.
③ 주리를 열고 닫아 땀의 배설과 체온조절 한다

4) 기의 운행

氣機 – 승강출입

*기체- 기기가 원활하지 못해 지체 불통

*기역- 지나치게 상승, 충분히 하강하지 못한 상태

폐상역-기침,숨이참

위상역-오심,구토,딸꾹질,트림

간상역-두훈,흉협부 창만,노,각혈,토혈,혼궐

*기함- 아래에 있어 충분히 상승하지 못할 때

*기탈- 기가 소모 손상되어 탈진한 상태 *기폐- 기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안에 울결

혈()

1) 혈의 생성

①수곡정기+청기→기화작용(심,폐)으로→맥관에서 변화

②신에 있는 精→골수와 간의 작용으로→혈로 바뀜

*혈생성은 비위기능이 가장 중요(비,위,폐,심,신,간)

*심화의 기화작용→적색혈로 변신 온기를 얻는다.

*종기에 추동되어 끊임없는 순환

2) 혈의 순행

*심기- 혈액순환의 원동력(혈맥)

*폐기- 폐에 모였다가 온 몸으로 퍼지게 한다.(추동)

*비기- 혈액이 맥 밖으로 넘쳐나진 않게 한다.(통섭)

*간- 혈 저장, 혈관 내 혈액양 조절(저장)

3) 혈의 기능

① 온 몸을 영양하고 습윤시킨다.

② 정신 활동의 기초이다.

진액(津液)

*몸 안의 모든 정상적인 수액

구분 특징 용도
맑고 묽다. 유동성이 좋다. 피부,근육,공규,표면을 자윤한다.
걸고 끈끈하고 유동성이 적다. 골절,장부,뇌,髓 등 체내 를 유양한다.

1) 진액의 대사 (수분대사, 수액대사)

*위, 소장, 대장에서 흡수된 영양과 수분에서 생성

*비의 운화로 폐→폐의 선발로 온 몸(삼초통로)으로

*진액의 생성,수송,배출은 폐, 비, 신의 조절기능

*진액대사 실조→수(水), 습(濕), 담(痰), 음(飮) 등의 수액이 체내에 몰림

2) 진액의 기능

① 자양하고 윤활하게 한다.

② 혈액의 구성성분(혈액 수분 보충)

③ 음양의 평형을 조절- 진액대사조절작용

여름 땀>소변, 겨울 땀<소변 조절

④ 대사의 산물을 배설시킨다. – 불순물 배설

기 혈 진액의 관계

기와 혈 *기는 혈을 생성시킨다. 정(精)→수(髓)→혈(血)
*기는 혈을 운행시킨다.
*기는 혈을 통솔한다.
*혈은 기의 근원이다.
기와 진액 *기는 진액을 생성시킨다. 비위의 기능활동 촉진 수곡정기→진액
*기는 진액을 운송시킨다.
*기는 진액을 고섭한다.
*진액은 기를 싣고 운행한다.
혈과 진액 *혈과 진액은 서로 전환될 수 있다.
*혈액이 부족하면 진액도 부족

관련 글

침뜸의학개론 – 4장. 병인병기론

장상학 개론


[mc4wp_form id=9589]
댓글 정말 환영합니다. 😊
댓글로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 함께 공유해요. 🤩
댓글로 알려주시는 정보를 보기 좋게 정리하고 쉽게 검색될 수 있게 구성해서 활용성을 높이겠습니다.
더 도움되는 컨텐츠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