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태양소장경(SI) 종합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경혈검색/14경락-08]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 SI(Small Intestine medirian) : 각 19혈에 대한 종합 설명 페이지 입니다.

해당 경혈에 대한 유주 설명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해당 경락에 속해있는 경혈들의 취혈 요약정보와 함께 해당 각 경혈의 세부설명 글에 대한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태양소장경(SI) 유주

유주설명1

유주(流注) : 소지외측단 소택(小澤)에서 시작해서 손 외측을 따라 손목에 이르러 예각(銳角)을 지나서 직상하여 전비(前臂)의 하연(下椽)을 따라 팔굼치 뒤 안쪽의 양근(兩筋) 사이로 나와 다시 윗팔의 외측(外側) 후연(後緣)을 따라 견후골(肩後骨)의 접합부로 나와 견갑을 돌아서 견상에서 만나고 결분(缺盆)에서 심장에 연락하며 목구멍을 돌아 식도를 따라 횡경막(橫膈膜)으로 내려와 위에 이르고 하행하여 소장에 귀속한다. 한가닥은 결분(缺盆)혈에서 목을 따라 뺨으로 올라가 눈외각에서 귓속으로 흘러 들어간다. 다른 한가닥은 뺨에서 갈라져 눈자위 아래로 가서 눈의 내각에 비스듬이 가서 정명(睛明)혈에 이르러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과 교류한다

유주설명2

  1. 새끼손가락외측단의 소택에서 기시하여
  2. 손등 외측을 따라 전곡, 후계, 완골을 지나 손목의 양곡에 이르러 척골경상돌기로 나온 다음,
  3. 올라가 전와 후연을 따라 팔꿈치와 상환골내측상과 사이의 소해를 지나
  4. 상황외측후연을 따라
  5. 견관절 견정, 노유로 나와서
  6. 견갑부 천종을 돌아
  7. 제7경추 극돌기아래의 대추에서 교회하고
  8. 다시 앞으로 넘어와 결분에서 흉중으로 진입하여
  9. 심에 낙한다.
  10. 식도를 따라 내려가 전중과 교회하면서
  11. 횡경막을 지나
  12. 상완, 중완과 교회하면서 위부를 지나
  13. 소장에 속한다. 소장의 경기는 계속하여 족양명위경의 하거허에 연결되어 하합혈을 형성한다
  14. 지맥은 결분에서 나와
  15. 목을 따라 올라가 흉쇄유돌근 뒤로해서
  16. 뺨[협부]을 지나
  17. 눈꼬리[목외자]에 이르러 족소양담경의 동자료와 교회하고 돌아서
  18. 수소양삼초경의 화료를 지나 귓속으로 들어갔다가 청궁으로 나온다
  19. 지맥은 뺨에서 나와 눈자위 및 권료로 상행하여 코 옆[졸]을 지나
  20. 눈구석[목내자]에서 족태양방광경의 정명과 만난다

유주 그림(경혈 흐름 이미지)
gif_08_SI
유주 그림
m08_SI

경락경혈 그림

아래 이미지의 경혈코드 부분을 클릭(or터치)하면 해당 경혈 정보로 이동됩니다.

⭐수태양소장경(SI) 종합 1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SI) SI1 소택 (少澤) SI2 전곡 (前谷) SI3 후계 (後谿) SI3 후계 (後谿) SI5 양곡 (陽谷) SI6 양로 (養老) SI7 지정 (支正) SI8 소해 (小海) SI9 견정 (肩貞) SI10 노유[노수] (臑兪) SI11 천종 (天宗) SI12 병풍 (秉風) SI13 곡원 (曲垣) SI14 견외유[견외수] (肩外兪) SI15 견중유[견중수] (肩中兪) SI16 천창 (天窓) SI17 천용 (天容) SI18 관료 (顴髎) SI19 청궁 (聽宮)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취혈(取穴) 요약

19. 청궁(聽宮) – 귀구슬 앞 가운데, 입을 벌리면 움푹해지는 지점. 
18. 관료(顴髎) – 눈꼬리 끝선과 코끝선 교차점, 광대뼈 밑 지점. 
17. 천용(天容) – 하합각 직하, 흉쇄유돌근과의 중간 지점. 
16. 천창(天窓) – 후두융기 수평선상의 흉쇄유돌근 뒤쪽 가장자리 지점. 
15. 견중유(肩中兪) – 대추 양옆 2촌, 견정과 대추의 중간 지점. 
14. 견외유(肩外兪) – 도도 양옆 3촌, 어깨쭉지뼈 안쪽 지점. 
13. 곡원(曲垣) – 견갑골 안쪽 모서리의 도드라진 뼈 바깥쪽 오목한 지점. 
12. 병풍(秉風) – 견갑골가시 위쪽 가장자리의 중간, 거골과 곡원의 중간 지점. 
11. 천종(天宗) – 견갑골 아래부분 중앙, 누르면 앞통이 있는 지점. 
10. 노유(臑兪) – 겨드랑이 뒤쪽 세로금위 견갑골가시 밑에 닿는 지점. 
9. 견정(肩貞) – 겨드라이 뒤쪽 세로금 끝에서 위로 1촌 지점. 
8. 소해(小海) – 팔꿈치 끝과 척골의 안쪽 돋아오른 뼈사이 지점. 
7. 지정(支正) – 양곡과 소해 12촌 중 양곡에서 5촌 지점. 
6. 양로(養老) – 손을 가슴에 댄 상태에서 척골 돋아오른뼈 중앙 홈 있는 지점. 
5. 양곡(陽谷) – 척골 돋아오른 부분 아래 손목쪽으로 오목한 지점. 
4. 완골(腕骨) – 손목뼈 넘어 오목한 곳, 손등과 손바닥 경계 지점. 
3. 후계(後谿) – 손바닥 가로금 끝, 손등과 손바닥 경계 지점. 
2. 전곡(前谷) – 다섯째손가락 본절 앞쪽 가로금 끝, 손등과 손바닥 경계 지점. 
1. 소택(小澤) – 다섯째손가락 손톱뿌리 바깥쪽 모서리 뒤 1푼 지점.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SI) 소속 경혈들

SI1 소택 (少澤)

유즙 잘나오게. 구급시 사혈. (아이열)이첨⇒대추⇒소택

[리즈-59] 조리 중인 산모에게 모유가 나오게 하는 경혈

SI2 전곡 (前谷)

콧구멍이 막힐 때(비공폐색)

[리즈-60] 경추의 긴장을 풀어주는 경혈

SI3 후계 (後谿)

낙침으로 목이 안돌라갈 때

[리즈-60] 경추의 긴장을 풀어주는 경혈

SI4 완골 (腕骨)

팔에 힘이 없어 물건을 뒷 수 없을 때 요혈 (옥룡가)

SI5 양곡 (陽谷)

손목 아플 때

SI6 양로 (養老)

노안. 지정혈과 함께 사마귀 치료의 특효혈

SI7 지정 (支正)

열을 내림

SI8 소해 (小海)

앨보, 무도병(춤추듯 걷는)

SI9 견정 (肩貞)

견통이나 팔이 올라가지 않는 증상

SI10 노유[노수] (臑兪)

서근활락

SI11 천종 (天宗)

유방과 연결된 혈, 유방 유종

[리즈-61] 부모에게 복과 장수를 선물하는 효심혈

SI12 병풍 (秉風)

견통으로 인한 거상 불능

[리즈-62] 견배부 질환 조리에 특효혈

SI13 곡원 (曲垣)

견갑부가 당기면서 아픈 것 치료

SI14 견외유[견외수] (肩外兪)

어깨와 등이 시리면서 아픈 것 치료

SI15 견중유[견중수] (肩中兪)

선폐지해

SI16 천창 (天窓)

열을 내리고 풍사 제거

SI17 천용 (天容)

열을 내리고 담을 제거

[리즈-63] 인후부를 부드럽고 상쾌하게 하여 목구멍을 보호하는 경혈

SI18 권료[관료] (顴髎)

구안와사

SI19 청궁 (聽宮)

중이염

관련링크

1. [경혈검색] 링크 종합 페이지 : 최상위 메뉴 페이지(메인 페이지)

2. 활용가이드 링크

3. 경혈 특성 분석 및 분류 링크

[검색키워드] si000, 냐000, 소장000

💛 아래쪽으로 이동 (클릭👍)

인체 경혈은 정말 소중한 정보입니다. 누구나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 발전 시키겠습니다. 더 빠르게 검색되는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컨테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경혈에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함께 만들어가요^^

감사합니다. 좀 더 활용성 높은 자료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개선 의견 환영합니다!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시 기재된 메일 주소는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