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혈명: ST43 함곡 (陷谷) / Chongyang 衝(冲)陽(阳)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ST(STomach meridian)
효능 : 비를 튼튼하게 하여 습(濕)을 빼내며 풍사(風邪)를 흩뜨리고 낙맥을 소통시키는 효능
특정혈 역할 : 수목혈, 위경의 원래 원혈은 ‘충양’이지만 뼈위에 있어서 임상에서는 ‘함곡’을 위경의 원혈처럼 사용.
근육/신경 : 장지신근 / 경측족배피신경, 심비골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함(陷)은 함요(陷凹), 곡(谷)은 산의 골짜기를 가리킨다. 이 혈은 거골(距骨)의 간극(間隙)에 있고 표면은 산의 골짜기를 닮은 함요(陷凹)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혈은 주로 애기( 氣)가 나가지 못하게 되는 복부창만(腹部脹滿), 곡기(穀氣)가 하함(下陷)하는 것을 치료하므로 이 이름이 붙여졌다.
陷은 아래로 꺼진 것이고 谷은 빈공간이다. 발등의 두번째 발가락 本節後의 陷下된 뼈의 빈공간에 위치하므로 陷谷이라 이름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발등, 둘째와 셋째 발허리뼈(the 2nd and 3rd metatarsal bones)의 사이, 둘째 발허리발가락관절(the 2nd metatarsophalangeal joint)의 몸 쪽 오목한 곳.
On the dorsum of the foot,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etatarsal bones, in the depression proximal to the second metatarsophalangeal joint. (발등에서,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사이에서, 제2중족골 관절에 근접한 함몰부에서.)

4. 혈의 취혈 : 함곡 (陷谷)
4.1. 취혈1
제2지 외측 중족골저 전함중에서 취한다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3~0.5寸
– 斜刺 0.5~1寸
[2] 세부정보
1. 혈성
조화장위, 건비이수
散寒溫經(산한온경)
2. 주치
소화불량, 위궤양, 복통, 장산통, 장뇌명, 면목부종, 발열, 치통
Details
3. 특효 사항
“상열하한증”에 효과. -> “공진당” 한약 효과 (이철영교수)
4. 특이 사항
★ 위운동 안되서 소화가 안될 때,
⇒ 소속 장부의 수혈 (위경의 수목혈 : 함곡)
+ 근(木)의 수혈인 담경의 수목혈(족임읍)을 쓴다
우리 몸에 火, 水의 기운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 함곡혈을 지압해주면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火는 뜨거운 기운을 가지고 있는 오행이고 水는 차가운 기운을 가지고 있는 오행입니다. 예를 들면, 사람 몸의 상체나 얼굴부위에 열이 많고, 하체나 아랫배 쪽은 차가운 경우에 쓸 수 있습니다. 함곡혈은 제목에서 나와 있듯이 갑자기 확 더웠다가 추워지는 증상이 있을때 특효가 있는 지압자리입니다. 질환으로 보자면 갱년기에 여성분들이 열이 확 올랐다 내렸다 할 때라든지, 화병이 있어서 갑자기 열이 위로 자주 오른다든지 할 때에도 지압을 해볼 수 있는 자리입니다. 특히 상병하치(아래쪽의 병은 위에서 치료한다) 이론에 의해서, 얼굴 어깨와 같은 상부에 열이 오르내릴 때 더욱 좋습니다.
5. 관련혈
[3] 참고 링크 정보
1. 소속 경락에 대한 정보 링크
2. 활용 가이드 링크

3. 경혈 특성 분석 및 분류 링크

[검색키워드]
KACUPOINT_ST043
ACUPOINT_ST043
ST043
💛 아래쪽으로 이동 (클릭👍)
인체 경혈은 정말 소중한 정보입니다. 누구나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 발전 시키겠습니다. 더 빠르게 검색되는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컨테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경혈에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함께 만들어가요^^
감사합니다. 좀 더 활용성 높은 자료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개선 의견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