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릿댄스는 길거리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춤 스타일로,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을 포함합니다. 아래에서 주요 스트릿댄스 장르에 대해 유래, 특징, 주요 동작, 관련 음악, 대표적인 댄서 등을 정리해 봅니다.
스트릿댄스(Street Dance) 개요
스트릿댄스는 길거리나 클럽 같은 비공식적인 공간에서 시작된 춤 스타일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1. 브레이킹 (Breaking)
- 유래: 1970년대 뉴욕 브롱크스에서 힙합 문화의 일부로 탄생. DJ Kool Herc가 브레이크 비트를 연주하며 춤이 발전.
- 특징: 탑록(Toprock), 다운록(Downrock), 파워 무브(Power Moves), 프리즈(Freeze)로 구성.
- 주요 동작:
- 탑록(Toprock): 서서 추는 기본 스텝.
- 다운록(Downrock): 바닥에서 손과 발을 사용하는 동작.
- 파워 무브(Power Moves): 윈드밀, 헤드스핀 같은 회전 기술.
- 프리즈(Freeze): 특정 자세에서 멈추는 포즈.
- 관련 음악: 힙합, 펑크(Funk), 브레이크 비트.
- 대표적인 댄서: Crazy Legs, Ken Swift, Hong 10, B-boy Pocket.
2. 팝핑 (Popping)
- 유래: 197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에서 Boogaloo Sam이 창시.
- 특징: 근육을 순간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며 리듬에 맞춰 팝(popping) 효과를 냄.
- 주요 동작:
- 팝(Pop): 근육의 순간적인 수축.
- 웨이브(Wave): 몸 전체에 물결이 흐르는 듯한 동작.
- 로봇(Robot): 로봇처럼 움직이는 스타일.
- 관련 음악: 펑크(Funk), 일렉트로닉.
- 대표적인 댄서: Boogaloo Sam, Popin’ Pete, Mr. Wiggles.
팝핑 영상
3. 락킹 (Locking)
- 유래: 197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Don Campbellock이 창시.
- 특징: 갑작스러운 멈춤(lock)과 유머러스한 동작이 특징.
- 주요 동작:
- 락(Lock): 동작을 멈추는 포즈.
- 포인트(Point):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동작.
- 펑크 무브(Funky Moves): 유머러스하고 에너지 넘치는 동작.
- Scoo Bot: 로봇처럼 딱딱하고 끊기는 동작.
- Scooby Doo: 유머러스하고 경쾌한 스텝과 동작.
- Stop & Go: 멈춤과 움직임의 대비를 강조.
- Twirl Lock: 팔의 회전과 락을 결합한 화려한 동작.
- Skeeter Rabbit: 빠르고 리드미컬한 다리 동작이 중심. Scooby Doo와 비슷하지만, 다리 움직임에 더 초점을 둠.
- Break Down: 동작을 “분해”하고 연결하는 스타일링 방식. Stop & Go와 비슷하지만 더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연결이 특징.
- 관련 음악: 펑크(Funk), 디스코.
- 대표적인 댄서: Don Campbellock, The Lockers.
락킹 영상
4. 왁킹 (Waacking)
- 유래: 1970년대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게이 클럽 문화에서 시작.
- 특징: 팔의 빠르고 유연한 움직임과 드라마틱한 표현력이 특징.
- 주요 동작:
- 아머 무브(Arm Moves): 팔을 빠르게 휘두르는 동작.
- 포즈(Pose): 모델처럼 포즈를 취하는 동작.
- 관련 음악: 디스코(Disco).
- 대표적인 댄서: Tyrone Proctor, Prince Wizzard, Princess Lockeroo.
왁킹 영상
5. 힙합 (Hip-Hop)
- 유래: 1980년대 뉴욕에서 힙합 음악과 함께 발전.
- 특징: 자유롭고 그루브한 동작, 즉흥성이 강조됨.
- 주요 동작:
- 그루브(Groove):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기본 동작.
- 프리스타일(Freestyle): 즉흥적으로 춤을 추는 방식.
- 관련 음악: 힙합, 랩.
- 대표적인 댄서: Buddha Stretch, Les Twins.
힙합 영상
6. 리릭컬 힙합 (Lyrical Hip-Hop)
- 유래: 힙합과 현대무용(Contemporary Dance)의 혼합으로 2000년대에 발전.
- 특징: 가사와 감정을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둔 춤.
- 주요 동작:
- 표현력 있는 동작: 음악의 가사와 감정을 전달.
- 부드러운 연결: 힙합과 현대무용의 조화.
- 관련 음악: 느린 템포의 힙합, R&B.
- 대표적인 댄서: Tabitha & Napoleon D’umo (Nappytabs).
리릭컬 힙합 영상
7. 브레이크댄스 (Breakdance)
- 브레이크댄스는 브레이킹(Breaking)의 대중적인 명칭으로, 같은 춤 스타일을 지칭합니다.
특징:
- 정의: 브레이크댄스는 힙합 문화에서 발전한 춤 스타일로, 비보잉(B-boying)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중적인 용어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춤을 추는 사람을 B-boy(남성) 또는 B-girl(여성)이라고 부릅니다.
- 명칭: “Breakdance“라는 용어는 대중 매체에서 만들어진 이름이고, 원래는 B-boying 또는 Breaking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 기원: 1970년대 미국 뉴욕의 브롱크스 지역에서 시작된 힙합 문화의 일부로 발전했습니다.
- 문화적 의미: 비보잉은 단순히 춤 동작에 국한되지 않고, 힙합 문화의 정신과 철학을 포함합니다. 이는 경쟁(배틀)과 커뮤니티를 중시하는 문화적 요소를 담고 있습니다.
- 동작: 브레이크댄스는 크게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탑록(Toprock): 서서 추는 기본 동작.
- 다운록(Downrock): 바닥에서 손과 발을 이용해 움직이는 동작.
- 파워 무브(Power Move): 회전이나 공중 동작 등 역동적이고 힘이 필요한 기술.
- 프리즈(Freeze): 특정 자세를 멈추며 포즈를 취하는 동작.
- 음악: 주로 힙합, 브레이크비트(Breakbeat)에 맞춰 춤을 춥니다.
브레이크댄스 요약:
- 브레이크댄스는 스트릿댄스의 하위 장르 중 하나로, 역동적인 바닥 동작과 힘 있는 기술이 특징입니다.
8. 크럼프 (Krump)
- 유래: 2000년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Tight Eyez와 Big Mijo가 창시.
- 특징: 에너지 넘치고 공격적인 동작, 감정을 강렬하게 표현.
- 주요 동작:
- 스톰프(Stomp): 발을 강하게 구르는 동작.
- 체스트 팝(Chest Pop): 가슴을 앞으로 밀어내는 동작.
- 관련 음악: 하드 힙합, 비트 중심의 음악.
- 대표적인 댄서: Tight Eyez, Big Mijo.
크럼프 영상
9. 얼반 댄스 (Urban Dance)
- 유래: 스트릿댄스와 상업적인 춤 스타일의 혼합으로 발전.
- 특징: 다양한 스트릿댄스 스타일을 결합하여 안무 중심으로 구성.
- 주요 동작: 특정 동작보다는 안무와 팀워크가 강조됨.
- 관련 음악: 힙합, 팝.
- 대표적인 댄서: Keone & Mari Madrid.
얼반 댄스 영상
10. 걸스 힙합 (Girls Hip-Hop)
- 유래: 힙합 댄스에서 여성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발전.
- 특징: 섹시하고 우아한 동작, 고난도의 힐 댄스 포함.
- 주요 동작:
- 힐 워크(Heel Work): 힐을 신고 추는 동작.
- 웨이브(Wave): 부드럽고 유연한 움직임.
- 관련 음악: 힙합, 팝.
- 대표적인 댄서: Aliya Janell, Yanis Marshall.
걸스 힙합 영상
11. 댄스홀 (Dancehall)
- 유래: 1970년대 자메이카에서 시작된 춤.
- 특징: 자유롭고 에너지 넘치는 동작, 리듬 중심.
- 주요 동작:
- 와인(Wine): 엉덩이를 돌리는 동작.
- 스킵(Skip): 가볍게 뛰는 동작.
- 관련 음악: 댄스홀 레게(Dancehall Reggae).
- 대표적인 댄서: Black Eagle, Latonya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