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양삼초경(TE) 종합

Photo of author

By OKePaPa

| 업데이트 :

[경혈검색/14경락-12]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 TE(Triple Energizer meridian) : 각 23혈에 대한 종합 설명 페이지 입니다.

해당 경혈에 대한 유주 설명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해당 경락에 속해있는 경혈들의 취혈 요약정보와 함께 해당 각 경혈의 세부설명 글에 대한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소양삼초경(TE) 유주주

유주설명1

유주(流注) : 제4지단(指端) 관충(關衝)혈에서 시작하여 약지(藥指)와 소지(小指) 사이로 나온 후 수배(手背)를 따라 완부(腕部)에 이르러 전비외측(前臂外側) 양골(兩骨)의 중간으로 나와 위쪽을 향하여 주( )를 뚫은 후 상박(上膊)외측(外側)을 따라 견(肩)으로 올라가 족소양경(足少陽經)과 교차(交叉)한 후 결분(缺盆)혈로 들어가 하행하여 양유간(兩乳間)의 전중(膻中)혈부에 분포하여 심포(心包)와 연락하고 횡격막(橫膈膜)을 지나 흉(胸)에서 배에 이르러 상,중,하 삼초(三焦)에 속한다. 그 지맥(支脈)은 전중(膻中)에서 올라와 결분(缺盆)으로 나온 후 다시 올라가 목을 주(走)하여 귀뒤에 달해서 곧장 귀 상각(上角)으로 올라가 여기에서 하행하여 뺨을 둘러 안광(眼 )하에 이른다. 또 한 지맥(支脈)이 있어 귀뒤에서 귀속으로 들어가 귀앞으로 나온 후 객주인(客主人=상관)의 앞을 지나서 뺨에서 교(交)하고 안외각(眼外角)에 이르러 족양경(足陽經)과 접합(接合) 한다

유주설명2

  1. 4지 척측 손톱밑 관충에서 기시하여
  2. 4,5중수골 사이로 나와 액문, 중저를 지나 손목 완관절 중앙 양지를 지나
  3. 팔꿈치 주두 상1촌의 천정을 통과해서
  4.  상완외측을 따라 올라가 견봉 후하방 견료를 지나
  5. 천료를 지나
  6. 어깨에서 족소양담경의 견정과 교회한후 대추에서 수족양경과 만난 후,
  7. 앞으로 돌아가 쇄골 중앙 결분을 통해
  8. 흉중으로 들어가 심포에 낙한다.
  9. 하행하여 횡경막을 지나 흉부에서 복부를 거치면서 상.중.하 삼초에 속한다.
  10. 지맥은 흉중에서 임맥의 전중을 따라 상행하여 결분으로 다시 나와
  11. 옆목으로 올라가 옆머리의 예풍, 각손을 지나
  12. 이주 전상부 이문을 지나
  13. 화료를 거쳐 사죽공에 이른다
  14. 이후, 동자료에 이르러 족소양담경과 만난다

유주 그림(경혈 흐름 이미지)
gif_12_TE
유주 그림
m12_TE

경락경혈 그림

아래 이미지의 경혈코드 부분을 클릭(or터치)하면 해당 경혈 정보로 이동됩니다.

⭐수소양삼초경(TE) 종합 1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TE) TE1 관충 (關衝) TE2 액문 (液門) TE3 중저 (中渚) TE4 양지 (陽池) TE5 외관 (外關) TE6 지구 (支溝) TE7 회종 (會宗) TE8 삼양락 (三陽絡) TE9 사독 (四瀆) TE10 천정 (天井) TE11 청랭연 (淸冷淵) TE12 소락 (消濼) TE13 노회 (臑會) TE14 견료 (肩髎) TE15 천료 (天髎) TE16 천유 (天牖) TE17 예풍 (翳風) TE18 계맥 (瘈脈) TE19 노식 (顱息) TE20 각손 (角孫) TE21 이문 (耳門) TE22 화료 (和髎) TE23 사죽공 (絲竹空)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취혈(取穴) 요약

23. 사죽공(絲竹空) – 눈섭 바깥쪽 끝 오목한 지점. 
22. 화료(和髎) – 귀구슬 앞 위쪽, 귀섶 머리칼 뒤 가장자리 지점. 
21. 이문(耳門) – 귀구슬 앞, 입 벌리면 홈이지는 지점. 
20. 각손(角孫) – 이첨이 머리에 닿는 지점. 
19. 로식(顱息) – 예풍과 각손을 활모양 연결 3등분 중 각손에서 1/3 지점. 
18. 계맥(瘈脈) – 예풍과 각손을 활모양 연결 3등분 중 예풍에서 1/3 지점. 
17. 예풍(峠風) – 귓볼 뒤 오목한 지점. 
16. 천유(天爽) – 아래턱뼈 모서리 수평선위, 흉쇄유돌근의 뒤쪽 가장자리 지점. 
15. 천료(天髎) – 견정과 곡원을 잇는 선 위의 중간 지점. 
14. 견료(肩髎) – 팔을 수평으로 들어 어깨에 오목하게 들어가느곳 중 뒤 지점. 
13. 노회(臑會) – 팔꿈치 끝과 견료사이 10촌 중 견료에서 3촌 지점. 
12. 소락(消濼) – 팔꿈치 끝과 견료사이 10촌 중 견료에서 5촌 지점. 
11. 청냉연(淸冷淵) – 팔꿈치 끝과 견료사이 10촌 중 팔꿈치 끝에서 2촌 지점. 
10. 천정(天井) – 팔꿈치 끝 위로 1촌, 두 힘살 사이 오목한 지점. 
9. 사독(四瀆) – 팔꿈치 끝과 양지 사이 12촌 중 팔꿈치에서 5촌 아래 지점. 
8. 삼양락(三陽絡) – 팔꿈치 끝과 양지 사이 12촌 중 양지에서 4촌 위 지점. 
7. 회종(會宗) – 팔꿈치끝과 양지사이 12촌 중 양지에서 3촌 위 척골안쪽 지점. 
6. 지구(支溝) – 팔꿈치끝과 양지사이 12촌 중 양지에서 3촌 위 요골바깥쪽 지점. 
5. 외관(外關) – 팔꿈치 끝과 양지 사이 12촌 중 양지에서 2촌 위 지점. 
4. 양지(陽池) – 손등쪽 요골머리 바깥쪽 모서리 밑 오목한 곳. 
3. 중저(中渚) – 넷째손가락과 다섯째손가락 사이 본절 뒤 오목한 지점. 
2. 액문(液門) – 넷째손가락과 다섯째손가락 사이 본절 앞 오목한 지점. 
1. 관충(關衝) – 넷째손가락 손톱뿌리 바같쪽 모서리 뒤 1푼 지점.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TE) 소속 경혈들

귀 주변을 지나면서 잘 들리게 해주는 경맥

TE1 관충 (關衝)

(정금혈). 삼릉침으로 살짝 찔러 한두 방울의 피를 빼면 눈다래끼에 특효.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빈혈때도 같은 조작을 가하면 일시적이나마 효과

TE2 액문 (液門)

(형수혈). 어지럼증, 귀울음, 편두통 등이 잘 낫는다

TE3 중저 (中渚)

(수목혈). 맞은편 손바닥 쪽에는 소부(심경)이 있다. 편두통 때 침을 놓으면 즉효

[리즈-84]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이명을 치료한다

TE4 양지 (陽池)

(원혈). 완관절염. 양지혈의 주요 기능의 하나는 항알레르기 작용. 양지를 주혈로 하고 장문,중완, 어제, 곡지, 혈해, 위중, 천정, 견우 혈들을 배합하여 침 또는 뜸치료를 하면 그 어떤 형의 알레르기성 질병도 잘 낫는다(이 침혈들이 알레르기성 질병 치료에서효과를 내게 하자면 소화기계통에 대한 치료를 먼저 해야 한다는 원칙을 잊어서는 안된다.)

[리즈-85] 전화 받으면서 손목 보호 운동을 할 수 있다

TE5 외관 (外關)

(낙혈) (팔맥교회혈-양유맥). 유행성 감기(초기 감기), 전신절통(온 몸 마디마디 쑤실 때)–>현종과 같이 씀
외관(外關)-몸의 외부에 관계하며 동시에 통증을 없애주는 마취혈(痲醉穴)

목이나 어깨가 아플 때, 귀가 쏘거나 눈알이 아플 때 구체적 진단명에 관계없이 이 혈에 침을 놓으면 즉효를 볼 때가 많다.

족임읍+외관 : 눈바깥끝(담경-동자료), 귀뒤(담,삼초경), 뺨, 담(痰), 편두통, 좌골신경통

[리즈-86] 내관과 함께 기혈을 조절한다

TE6 지구 (支溝)

(경화혈). 만성변비–>지구+조해(+좌측 이신문)

행간‘혈과 배합하여 30분간 유침하거나 강자극을 주면 늑간신경통이 즉시 없어진다

[리즈-87] 장이 건조한 형태의 변비에 작용하는 윤활제

TE7 회종 (會宗)

(극혈)

TE8 삼양락 (三陽絡)

각혈(피토함)의 요혈. 기와(드러눕기 좋아하는 사람)

TE9 사독 (四瀆)

수비통, 실어증, 서경(글씨 쓸 때 손 떠는 증상)

TE10 천정 (天井)

(합토혈).

TE11 청랭연 (淸冷淵)

TE12 소락 (消濼)

TE13 노회 (臑會)

TE14 견료 (肩髎)

TE15 천료 (天髎)

견비통, 상박 신경통

TE16 천유 (天牖)

TE17 예풍 (翳風)

안면신경마비, 이명(귀에 소리남)

귓병 치료(귀울이, 귀머거리, 중이염, 이하선염, 어지럼증 등의 치료)

TE18 계맥 (瘈脈)

TE19 노식 (顱息)

TE20 각손 (角孫)

술 취해서 정신이 안돌아 올 때 ‘각손‘ 침, 이게 안되면 ‘소료‘에 침(위쪽 콧등 방향)

[리즈-88] 편두통이 있으면 이첨 높이에 있는 각손혈을 찾자

TE21 이문 (耳門)

중이염, 이롱

TE22 화료 (和髎)

TE23 사죽공 (絲竹空)

눈 관련 질환(비루관폐쇠증 등)

[리즈-89] 눈가 주름을 없애는 경혈

cf. 목사혈 : 승읍, 찬죽, 사죽공, 양백

관련링크

1. [경혈검색] 링크 종합 페이지 : 최상위 메뉴 페이지(메인 페이지)

2. 활용가이드 링크

3. 경혈 특성 분석 및 분류 링크

[검색키워드] te000, ㅅㄷ000, 삼초000

💛 아래쪽으로 이동 (클릭👍)

인체 경혈은 정말 소중한 정보입니다. 누구나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 발전 시키겠습니다. 더 빠르게 검색되는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컨테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경혈에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함께 만들어가요^^

감사합니다. 좀 더 활용성 높은 자료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개선 의견 환영합니다!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 댓글은 처음 쓰시는 경우에는 처음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팸성 댓글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처음 한 번 댓글 승인된 이후에는 댓글 쓴 내용이 바로 표시됩니다. 댓글 작성시 기재된 메일 주소는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