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의 특정 위치(부위)를 지칭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건강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강 정보 설명 중에 나오는 우리 신체(인체)의 부위가 어디에 있는 것인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동양의학에서 사용하는 고전 문서에 나오는 용어들도 있고, 현대 의학에서 사용하는 신체 부위나 해부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의 위치에 관련된 용어를 정리합니다.
동양의학(고전 문서) 용어
인체부위 이름 (동양의학관련) 링크 참조

뼈에서 돌출과 함몰부의 용어
돌기, 융기, 과, 두, 와, 조면, 극 …
- 돌기(突起 process) : 뼈의 표면에서 많이 튀어나온 부위
- 융기(隆起 eminence) : 뼈의 한 부분이 뚜렷하게 돌출된 부위
- 과(顆 condyle) : 골단이 비후해져서 관절면을 이루고 있는 것
- 상과(上顆 epicondyle) : 과에 부속된 작게 비후된 곳
- 두(頭) / 소두(小頭) : 관절면을 기지고 있는 돌기 부분
- 와(窩 fossa) : 뼈의 한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곳
- 강(腔 cavity) : 몇 개의 뼈로 둘러싸인 넓은 공간, 몸속의 넓은 공간
- 동(洞 cavity) : 굴속 같은 기관 내의 빈 공간
- 절흔(切痕) : 도려 낸 것처럼 움푹 들어간 곳
- 열(裂 fissure) : 뼈와 뼈 사이의 갈라진 틈
- 능(稜 crest) : 가느다란 선 모양의 봉우리
- 조면(粗面 tuberosity) : 뼈의 표면이 거칠게 된 부위
- 극(棘 spine) : 가장 날카롭게 뼈의 한 부분이 돌출된 부위
- 결절(結節 tubercle) : 혹처럼 뼈가 부풀어 오른 부위
- 면(面 surface) : 한계가 명확하고 평탄한 골면
- 구(溝 groove or sulcus) : 뼈나 기관의 한 부분이 좁고 긴 도랑처럼 생긴 공간 부분
- 공(孔 foramen) : 뼈나 기관 한 부분의 면에 생긴 구멍으로 혈관이나 신경의 통로
- 관(管 canal) : 孔이 길어져서 생긴 긴 공간
- 압혼(壓痕 impression) : 뼈의 한 부분이 손가락으로 누른 듯한 부분
- 전자(轉子 trochanter) : 매우 크고 뭉뚝한 돌기
현대 의학 용어
비중격
비중격 연골 위치와 역할
비중격(鼻中隔)은 코 중앙에 위치해 있고, 크게 연골과 골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비중격연골, 서골, 사골수직판, 상악골능선, 구개골능선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이 중에서 비중격 연골은 위로는 사골수직판, 뒤쪽으로는 서골과 연결되어 있으며, 아래쪽은 상악골능선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비중격(鼻中隔, Nasal Septum)
- 한자: 鼻中隔
- “鼻(코 비)” + “中(가운데 중)” + “隔(막 격)”으로, 코의 중간을 나누는 막을 의미합니다.
- 영문 표기: Nasal Septum
- “Nasal”은 코(nose)를 의미하고, “Septum”은 얇은 벽이나 막을 뜻합니다.
위치 및 해부학적 설명
- 비중격은 코의 좌우를 나누는 얇은 벽으로, 연골과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요 구성 요소:
- 연골부: 비중격의 앞쪽 부분.
- 골성부: 비중격의 뒤쪽 부분, 아래의 뼈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서골(Vomer): 아래쪽 뼈.
- 사골판(Ethmoid Bone, Perpendicular Plate): 위쪽 뼈.
비중격의 주요 기능은 코의 좌우 공기 흐름을 분리하고, 코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부분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비중격연골과 골판 일부가 휘어지면서 비중격만곡증이 생기게 되는데요. 비중격만곡증이 생기게 되면 일자로 곧은 비중격연골이 C자형, S자형으로 휘게 되면서 한 쪽 콧구멍의 공기 통로를 막게 됩니다. 이런 경우, 코막힘이 생기게 되고 나아가 비중격만곡증으로 인한 만성 비염과 만성 축농증의 생길 수 있습니다.

비중격연골 위치 정확히 알아보기

먼저 코에는 콧구멍을 덮고 있는 하외측연골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하외측연골은 비중격연골의 앞쪽 부분과 연결되 있습니다.

그리고 하외측연골 위 쪽, 콧등 부분에는 상외측연골이라는 연골이 있습니다.
이 상외측연골이 비중격연골과 연결되어 있고, 위로는 비골(콧등 뼈)과 단단하게 접합해 있습니다.

[비중격 구조와 위치]
두 연골의 위치가 이해가 가셨다면 이제 비중격안에 구조물과 비중격연골의 위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중격은 코안을 좌우로 나누는 칸막이 벽으로서 주로 연골과 골판으로 구성되어
콧등과 코끝을 지지하며 점막으로 덮여 있는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 비중격은 크게 비중격연골, 사골수직판, 서골, 상악골능선, 구개골능선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그 중에서 비중격연골은
상방으로는 상외측연골과 연결되고,
후상방은 사골수직판과 연결됩니다.
비중격연골 후하방은 서골과 연결되며,
하방은 상악골능선과 연결됩니다.
즉, 상외측연골 접합부분부터 시작해서 사골수직판 아래
서골 전상방과 상악골능선 앞쪽, 하외측연골 까지라 보시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비중격연골은
코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콧등과 수직으로 연결된 물렁한 연골을 말합니다.
흉골, 흉골체, 흉골병, 검상돌기, 흉골각
흉골(가슴뼈 ; sternum)이란 흉부의 앞면 중앙부에 있는 편평골을 말하며 1개가 존재한다. 흉골은 흉골병, 흉골체 및 검상돌기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흉골병에는 제1늑골절흔, 흉골체에는 제2~7늑골절흔이 있어 제1~7늑골과 결합한다.

인체의 흉골(胸骨)은 가슴 앞쪽 중앙에 위치한 긴 편평한 뼈로, 갈비뼈(늑골)와 연결되어 흉곽(가슴우리)을 형성하며 심장과 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흉골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의 구조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흉골(胸骨, Sternum)
- 흉골은 몸의 정중선에 위치한 평평한 뼈로, 가슴의 앞쪽을 이루며 늑골과 연결되어 흉곽을 형성합니다.
- 흉골은 상부에서 하부로 흉골병(胸骨柄), 흉골체(胸骨體), 흉골검(胸骨劍)으로 구성됩니다.
2. 흉골병(胸骨柄, Manubrium)
- 흉골의 가장 위쪽에 위치한 부분으로, 방패 모양의 구조를 가집니다.
- 쇄골(鎖骨)과 연결되어 쇄골과 흉골의 관절을 형성하며, 제1늑골(첫 번째 갈비뼈)과도 연결됩니다.
- 흉골병의 상단 중앙에는 경절흔(頸切痕, Jugular Notch)이라는 오목한 부분이 있습니다.
3. 흉골체(胸骨體, Body of Sternum)
- 흉골의 중간 부분으로, 흉골에서 가장 긴 부분입니다.
- 제2~제7늑골과 연결되어 흉곽의 주요 구조를 형성합니다.
- 흉골병과 흉골체가 만나는 부위는 흉골각(胸骨角, Sternal Angle)이라고 하며, 이 부위는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4. 흉골각(胸骨角, Sternal Angle)
- 흉골병과 흉골체가 만나는 경계 부위로, 약간 튀어나온 각을 형성합니다.
- 제2늑골이 흉골과 연결되는 위치로, 늑골을 세는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 흉골각은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랜드마크로, 대략 제4흉추(T4) 높이에 해당합니다.
5. 흉골검(胸骨劍, Xiphoid Process)
- 흉골의 가장 아래쪽 끝에 위치한 작은 돌기 형태의 구조입니다.
- 성인이 되면서 점차 골화되며, 일부에서는 변형된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복부 근육과 연결되며 흉곽의 하부 경계를 형성합니다.
뼈와 근육 위치 용어
정중천골능, 천골열공, 후정중선
정중천골능(正中薦骨稜, Median sacral crest) : 천골의 뒤쪽 중앙에 위치한 융기된 능선을 말합니다
천골열공(薦骨裂孔, Sacral hiatus) : 천골(sacrum)의 뒤쪽, 아래쪽 끝 부분에 위치한 삼각형 모양의 구멍을 말합니다. GV2 요유(腰兪)가 천골열공에 위치한다.

골반의 주요 뼈 구성
골반(Pelvis)은 인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뼈 구조로, 상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하지(다리)와 연결되며, 내장 기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골반은 여러 뼈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복합 구조물로, 아래에 주요 구성 요소와 각각의 특징을 설명합니다.
골반의 주요 뼈 구성과 설명
골반(Pelvis)을 구성하는 뼈
- 엉덩뼈 2개 (장골· Ilium)
- 엉치뼈 1개 (천골· Sacrum)
- 꼬리뼈 1개 (미골· Coccyx)
- 궁둥뼈 2개 (좌골· Ischium)
- 두덩뼈 2개 (치골· Pubis)

1. 천골(薦骨, Sacrum, 엉치뼈)
- 척추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5개의 천추뼈(S1-S5)가 융합되어 하나의 뼈를 형성합니다.
- 골반의 후방 중앙에 위치하며, 양쪽 장골과 연결되어 골반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천골은 골반강(pelvic cavity)의 후벽을 형성하며, 천골관(sacral canal)을 통해 신경이 지나갑니다.
2. 장골(腸骨, Ilium, 엉덩뼈)
- 골반의 가장 큰 뼈로, 양쪽에 위치하며 날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장골능(iliac crest)이 뼈의 윗부분에 있으며, 이는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 장골에는 관련상전장골극(ASIS)과 하전장골극(AIIS)이 위치해 있으며, 이는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는 해부학적 표지입니다.
3. 좌골(坐骨, Ischium, 궁둥뼈)
- 골반의 후하방을 이루는 뼈로, 우리가 앉을 때 체중을 지탱하는 주요 부분입니다.
-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이 두드러져 있으며, 이는 앉을 때 체중을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4. 치골(恥骨, Pubis, 두덩뼈)
- 골반의 전하방을 구성하며, 좌우 치골이 치골결합(Pubic Symphysis)을 통해 연결됩니다.
- 치골은 골반강의 전벽을 형성하며, 치골의 윗부분은 치골능(pubic crest)이라 불립니다.
5. 치골결합(恥骨結合, Pubic Symphysis, 두덩결합)
- 좌우 치골이 섬유연골로 연결된 구조로, 골반의 앞쪽 중앙에 위치합니다.
- 치골결합은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하며, 특히 임신과 출산 시 골반이 확장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6. 관골구[비구](髖骨臼[髓臼], Acetabulum, 볼기절구)
- 골반의 측면에 위치하며, 장골, 좌골, 치골이 만나 형성된 오목한 구조입니다.
- 대퇴골의 골두(femoral head)가 관골구에 맞물려 고관절(엉덩관절)을 형성합니다.
- 관절을 안정시키고 하지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7.폐쇄공(閉鎖孔, Obturator Foramen, 폐쇄구멍)
- 좌골과 치골 사이에 형성된 큰 구멍으로, 골반의 하부에 위치합니다.
- 폐쇄구멍은 폐쇄막(obturator membrane)에 의해 대부분이 막혀 있으며, 혈관과 신경이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8. 미골(尾骨, Coccyx, 꼬리뼈)
- 척추의 가장 끝부분에 위치하며, 3~5개의 미추뼈(coccygeal vertebrae)가 융합된 구조입니다.
- 미골은 골반의 후하단에 위치하며,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어 골반저(pelvic floor)를 지지합니다.
상전장골극(ASIS)과 하전장골극(AIIS)의 위치와 특징
1.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 장골의 앞쪽 윗부분에 돌출된 구조로, 골반의 표면에서 쉽게 촉지할 수 있는 뼈 돌기입니다.
- ASIS는 중요한 해부학적 표지로, 여러 근육(예: 대퇴근막장근, 배곧은근)과 인대(예: 서혜인대)가 부착됩니다.
- 임상적으로 골반의 정렬 상태를 평가하거나 하지 길이를 측정할 때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2. 하전장골극(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AIIS)
- ASIS 바로 아래에 위치한 돌출 구조로, 장골의 앞쪽 하단부에 있습니다.
- AIIS에는 대퇴직근(Rectus Femoris)의 근육이 부착되어 하지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ASIS에 비해 촉지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으며, 고관절과 관련된 부위입니다.
상전장골극(ASIS=전상장골극)과 하전장골극(AIIS)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 ASIS, 위앞엉덩뼈가시), 하전장골극(下前腸骨棘, AIIS, 아래앞엉덩뼈가시)


해부학적 특징
- 상전장골극(ASIS)는 장골능(iliac crest)의 앞 끝에 위치한다.
- 상전장골극(ASIS)은 봉공근(Sartorius)과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e latae)의 기시부(origin)가 된다.
- 상전장골극(ASIS)과 두덩결절(pubic tubercle) 사이에는 서혜인대(inguinal ligament)가 뻗는다.
- 하전장골극(AIIS)은 상전장골극(ASIS)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 하전장골극(AIIS)은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의 기시부(origin)가 된다.
- Anterior(전) Superior(상) Iliac(장골) Spine(극) : (ASIS, 위 앞 엉덩뼈 가시 = 상전장골극 )
- Iliac(장골) Crest(능) Line (엉덩뼈 능 선; 장골능 선)
- osterior(후) Superior(상) Iliac Spine : ( PSIS, 위 뒤 엉덩뼈 가시= 후상장골극 )
- nterior(전) inferior(하) Iliac(장골) Spine(극) : (AIIS, 아래 앞 장골 극 = 하전장골극)
골반의 기능적 역할
- 체중 분배: 골반은 상체의 무게를 하지로 전달합니다.
- 내장 보호: 골반강 내부에 위치한 생식기, 비뇨기계, 소화기관을 보호합니다.
- 움직임 지원: 골반은 하지와 연결되어 걷기, 뛰기, 앉기 등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골반은 해부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구조이며, 각 구성 요소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