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혈의 혈성 분류 자료를 정리한다. 이 내용은 중국과학기술문헌출판사발행 “경혈치병명리(經穴治病明理)”를 참고한 것이다. 또한 신체 부위별 주요 경혈들의 혈성 및 주치병증에 대해 정리한 내용도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서 경혈들의 혈성을 이해하고, 해당 혈성은 어떤 주치 병증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 본다.
<경혈의 혈성 분류>
침구수혈은 경혈(經穴=14經 361穴), 경외기혈(經外奇穴), 아시혈<阿是穴=천응혈(天應穴), 압통점(壓痛点)>의 3종류로 나눈다.
여기서는 수혈중 경혈을 혈성에 따라 23가지로 분류 게재하여 침구연구는 물론 임상에 응용하도록 하였다.
이 내용은 중국과학기술문헌출판사발행 “경혈치병명리(經穴治病明理)”를 참고하였음. (편집자 주)
1. 보익류(補益類)
⑴ 보기혈(補氣穴) : 기해(氣海), 기해유(氣海兪), 중완(中脘), 관원(關元),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⑵ 보혈혈(補血穴) : 비유(脾兪), 격유(膈兪), 장문(章門), 삼음교(三陰交), 음릉천(陰陵泉), 족삼리(足三里).
⑶ 생진지갈혈(生津止渴穴) : 액문(液門),조해(照海), 삼음교(三陰交), 연곡(然谷), 태계(太溪)
⑷ 장양혈(壯陽穴) : 명문(命門), 신유(腎兪), 관원(關元), 기해(氣海), 관원유(關元兪), 신궐(神闕), 중극(中極).
2. 온통류(溫通類)
⑴ 온중회양혈(溫中回陽穴) : 기해(氣海), 관원(關元), 신궐(神闕) – 구(灸), 족삼리(足三里), 내관(內關), 백회(百會) – 침(鍼).
⑵ 통맥혈(通脈穴) : 태연(太淵), 내관(內關), 신문(神門), 심유(心兪), 궐음유(厥陰兪), 격유(膈兪), 혈해(血海), 삼음교(三陰交), 족삼리(足三里).
⑶ 통경혈(通經穴) : 천추(天樞), 수도(水道), 귀래(歸來), 혈해(血海), 수천(水泉), 지기(地機), 태충(太衝).
⑷ 통유혈(通乳穴) : 유근(乳根), 전중(膻中), 소택(少澤), 족삼리(足三里).
⑸ 통편혈(通便穴) : 천추(天樞), 대장유(大腸兪), 족삼리(足三里), 풍륭(豊隆), 지구(支溝), 양릉천(陽陵泉),조해(照海), 대돈(大敦), 내정(內庭).
3. 거담(祛痰), 지해(止咳), 평천류(平喘類)
⑴ 거담혈(祛痰穴) : 풍륭(豊隆), 중완(中脘), 내관(內關), 거궐(巨闕), 비유(脾兪), 열결(列缺), 폐유(肺兪), 상완(上脘), 천돌(天突).
⑵ 지해혈(止咳穴) : 열결(列缺), 태연(太淵), 척택(尺澤), 폐유(肺兪), 천돌(天突).
⑶ 평천혈(平喘穴) : 열결(列缺), 전중(膻中), 폐유(肺兪), 선기(璇璣), 기해(氣海), 고황(膏肓)
4. 소도류(消導類)
⑴ 소식혈(消食穴) : 족삼리(足三里), 공손(公孫), 비유(脾兪), 선기(璇璣), 중추(中樞), 천추(天樞), 합곡(合谷).
⑵ 소산혈(消散穴)
① 산나력(散瘰癧) : 천장(天井), 소해(少海), 비노(臂臑),오리(五里), 건리(建里).
② 산유아(散乳蛾) : 합곡(合谷), 소상(少商), 조해(照海), 열결(列缺).
■ 유아(乳蛾) : 편도선염(扁桃腺炎).
5. 이기류(理氣類)
전중(膻中), 내관(內關), 기해(氣海), 태충(太衝), 대릉(大陵), 행간(行間).
6. 이혈류(理血類)
⑴ 지혈혈(止血穴)
① 지비뉵(止鼻衄) : 상성(上星), 격유(膈兪), 척택(尺澤), 화료(禾髎).
② 지해수타혈(止咳嗽唾血) : 승산(承山), 공최(孔最), 격유(膈兪).
③ 지장풍하혈(止腸風下血) : 장강(長强), 승산(承山).
④ 지경루(止經漏) : 교신(交信), 합양(合陽), 충문(衝門), 기충(氣衝).
⑵ 산어혈(散瘀穴)
①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 수구(水溝), 위중(委中).
② 흉중어혈(胸中瘀血) : 족삼리(足三里)
③ 협륵뉴상(脇肋扭傷) : 대포(大包), 양릉천(陽陵泉).
④ 완관절뉴상(腕關節扭傷) : 양지(陽池), 대릉(大陵).
⑤ 견비뉴상(肩臂扭傷) : 견정(肩井), 곡지(曲池).
⑥ 과관절뉴상(踝關節扭傷) : 구허(丘墟), 곤륜(崑崙).
⑦ 슬관절뉴상(膝關節扭傷) : 독비(犢鼻), 양릉천(陽陵泉).
7. 이뇨퇴황류(利尿退黃類)
⑴ 이뇨혈(利尿穴) : 중추(中樞), 방광유(膀胱兪), 삼초유(三焦兪), 음릉천(陰陵泉), 삼음교(三陰交), 관원(關元), 신유(腎兪), 수분(水分), 기해(氣海), 열결(列缺), 태단(兌端).
⑵ 퇴황혈(退黃穴) : 지양(至陽), 완골(腕骨), 양강(陽綱), 담유(膽兪), 일월(日月), 양릉천(陽陵泉), 후계(後溪), 음릉천(陰陵泉), 비유(脾兪), 노궁(勞宮),용천(涌泉), 중완(中脘), 삼음교(三陰交).
8. 수삽류(收澀類)
⑴ 지구혈(止嘔穴) :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천추(天樞), 중완(中脘), 공손(公孫), 전중(膻中), 노궁(勞宮), 삼음교(三陰交).
⑵ 지사혈(止瀉穴) : 천추(天樞), 대장유(大腸兪), 족삼리(足三里), 대횡(大橫), 곡택(曲澤), 위중(委中), 내정(內庭), 척택(尺澤).
⑶ 지한혈(止汗穴) : 음극(陰極), 후계(後溪), 합곡(合谷), 복류(復溜).
⑷ 지유혈(止遺穴) : 관원(關元), 삼음교(三陰交), 중극(中極), 지실(志室).
9. 청열해독류(淸熱解毒類)
⑴ 청열혈(淸熱穴) : 대추(大椎), 곡지(曲池), 합곡(合谷), 도도(陶道), 함곡(陷谷), 내정(內庭), 혈해(血海), 비유(脾兪), 노궁(勞宮), 소상(少商), 상양(商陽), 중충(中衝), 소부(少府), 소충(少衝), 어제(魚際), 이간(二間), 전곡(前谷), 액문(液門), 해계(解溪), 행간(行間), 대도(大都), 연곡(然谷), 협계(俠溪), 족통곡(足通谷).
⑵ 해독혈(解毒穴) : 영태(灵台), 합곡(合谷), 위중(委中).
10. 거풍산한류(祛風散寒類)
⑴ 거풍혈(祛風穴) : 풍지(風池), 풍부(風府), 백회(百會), 풍문(風門), 곡지(曲池), 곤륜(崑崙).
⑵ 산한혈(散寒穴) : 신궐(神闕), 중극(中極), 명문(命門), 중완(中脘), 온류(溫溜), 지기(地機), 음릉천(陰陵泉), 기해(氣海), 관원(關元), 장문(章門), 은백(隱白), 열결(列缺), 전중(膻中).
11. 서근진경류(舒筋鎭痙類)
⑴ 서근혈(舒筋穴)
① 상지(上肢) : 견우(肩髃), 곡지(曲池), 합곡(合谷), 양릉천(陽陵泉), 근축(筋縮).
② 하지(下肢) : 환도(環跳), 양릉천(陽陵泉), 절골(絶骨), 근축(筋縮).
⑵ 진경혈(鎭痙穴) : 백회(百會), 대추(大椎), 후계(後溪), 곡지(曲池), 양릉천(陽陵泉), 승산(承山), 태충(太衝), 곤륜(崑崙), 근축(筋縮), 수구(水溝), 합곡(合谷), 찬죽(攢竹), 풍부(風府).
서근활락(舒筋活絡)
[치법] : 경근추나(經筋推拿)의 정형원리(正形原理) 중 하나. 손상 후 근육, 근막, 인대, 관절 등의 손상을 받은 연조직에는 동통이 나타나고 경락계통의 반사작용을 통해 유관조직에 병리 상태가 나타난다. 서근활락(舒筋活絡)은 긴장, 경련된 근육을 이완시켜 기혈을 소통시키는 방법을 이른다.12. 진정안신류(鎭靜安神類)
⑴ 진정혈(鎭靜穴) : 백회(百會), 간사(間使), 후계(後溪), 풍륭(豊隆), 용천(涌泉), 태충(太衝), 신정(神庭).
⑵ 안신혈(安神穴) : 백회(百會), 신문(神門), 내관(內關), 심유(心兪), 삼음교(三陰交), 태계(太溪).
⑶ 성뇌혈(醒腦穴) : 수구(水溝), 백회(百會), 십이정혈(十二井穴), 노궁(勞宮), 용천(涌泉).
십이정혈(十二井穴)
십이정혈(十二井穴): 수족십이경맥(手足十二經脈)의 경기(經氣)가 샘물이 솟구치는 것처럼 솟구치는 곳으로 손가락, 발가락 끝에 있음.
십이경(十二經)에는 각기 하나의 정혈(井穴)이 있는데 각각 소상(少商; 肺), 상양(商陽; 大腸), 여태(厲兌; 胃), 은백(隱白; 脾), 소충(少衝; 心), 소택(小澤; 小腸), 지음(至陰; 膀胱), 용천(涌泉; 腎), 중충(中衝; 心包), 관충(關衝; 三焦), 규음(竅陰; 膽), 대돈(大敦; 肝)으로서 이것을 12정혈(井穴)이라 일컫는다. 임상에서는 구급(救急) 치료시에 상용(常用)한다.
13. 항학류(抗瘧類)
대추(大椎), 도도(陶道), 지양(至陽), 간사(間使), 후계(後溪), 간유(肝兪), 담유(膽兪), 복류(復溜),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14. 항노류(抗癆類)
중부(中府), 폐유(肺兪), 고황(膏肓), 백호(魄戶), 족삼리(足三里), 대추(大椎).
■ 노(癆) : 폐로(肺癆=폐질환)
15. 승양익기류(升陽益氣類)
회음(會陰) – 침(鍼), 기해(氣海), 백회(百會) – 구(灸)
16. 개규발음류(開竅發音類)
아문(啞門), 염천(廉泉), 협차(頰車), 통리(通里), 천돌(天突).
17. 지통류(止痛類)
⑴ 두통(頭痛) : 태양(太陽), 풍지(風池), 인당(印堂), 열결(列缺), 두유(頭維), 찬죽(攢竹), 솔곡(率谷).
⑵ 아통(牙痛), 협차(頰車), 합곡(合谷), 내정(內庭), 하관(下關), 승장(承漿), 태계(太溪), 척택(尺澤).
⑶ 후통(喉痛) : 소상(少商), 상양(商陽), 합곡(合谷), 천돌(天突), 조해(照海).
⑷ 항통(項痛) : 열결(列缺), 후계(後溪), 천주(天柱), 대추(大椎), 곤륜(崑崙), 풍지(風池), 대저(大杼)
⑸ 흉통(胸痛) : 내관(內關), 극문(郄門), 전중(膻中), 풍륭(豊隆).
⑹ 심교통(心絞痛) : 대릉(大陵), 내관(內關), 신문(神門), 극문(郄門), 심유(心兪), 거궐(巨闕), 지양(至陽).
⑺ 위통(胃痛) : 중완(中脘),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내정(內庭), 공손(公孫).
⑻ 복통(腹痛) : 중완(中脘), 기해(氣海),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천추(天樞).
⑼ 협늑통(脇肋痛) : 지구(支溝), 기문(期門), 일월(日月), 태충(太衝), 양릉천(陽陵泉), 구허(丘墟), 장문(章門), 대포(大包).
⑽ 요배통(腰背痛) : 후계(後溪), 격유(膈兪), 명문(命門), 신유(腎兪), 위중(委中), 곤륜(崑崙), 대추(大椎), 간유(肝兪), 은문(殷門).
⑾ 요고통(腰尻痛) : 차료(次髎), 질변(秩邊), 승부(承扶).
⑿ 수배통(手背痛) : 합곡(合谷), 후계(後溪).
⒀ 주관절통(肘關節痛) : 곡지(曲池), 수삼리(手三里), 천장(天井),소해(少海), 양계(陽溪), 양로(養老), 외관(外關).
⒁ 완관절통(腕關節痛) : 양계(陽溪), 양지(陽池), 양곡(陽谷).
⒂ 견관절통(肩關節痛) : 견우(肩髃), 견료(肩髎), 노유(臑兪), 거골(巨骨), 견정(肩貞), 조구(條口).
(16) 관관절통(髖關節痛) : 환도(環跳), 승부(承扶), 질변(秩邊), 거료(居髎), 은문(殷門).
(17) 슬관절통(膝關節痛) : 독비(犢鼻), 양릉천(陽陵泉), 질변(秩邊), 승산(承山), 족삼리(足三里).
(18) 하지위비통(下肢痿痹痛) : 비관(髀關), 복토(伏兎), 족삼리(足三里), 절골(絶骨), 양릉천(陽陵泉).
(19) 과관절통(踝關節痛) : 해계(解溪), 곤륜(崑崙), 상구(商丘), 구허(丘墟).
(20) 족지종통(足趾腫痛) : 태충(太衝), 족임읍(足臨泣).
(21) 통경(痛經) : 기해(氣海), 삼음교(三陰交).
※ 아통(牙痛): 치통, 심교통(心絞痛): 협심증, 관관절(髖關節): 고관절,위비(痿痹): 마비, 과관절(踝關節): 발목관절, 통경(痛經): 생리통
18. 최토류(催吐類)
내관(內關), 중완(中脘).
19. 발한류(發汗類)
합곡(合谷), 복류(復溜), 대저(大杼), 대도(大都), 경거(經渠).
20. 최산류(催産類)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지음(至陰), 곤륜(崑崙), 견정(肩井).
21. 소염류(消炎類)
⑴ 편도체염(扁桃体炎) : 소상(少商), 합곡(合谷), 천돌(天突).
⑵ 급성중이염(急性中耳炎) : 이문(耳門), 청회(聽會), 청궁(聽宮), 예풍(翳風), 중저(中渚), 외관(外關), 양릉천(陽陵泉), 구허(丘墟).
⑶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 : 견우(肩髃), 곡지(曲池), 합곡(合谷), 환도(環跳), 양릉천(陽陵泉), 절골(絶骨), 풍시(風市), 족삼리(足三里), 독비(犢鼻), 신유(腎兪), 요양관(腰陽關).
⑷ 급성단순성난미염(急性單純性闌尾炎) : 상거허(上巨虛), 족삼리(足三里), 천추(天樞), 곡지(曲池).
22. 승혈압류(升血壓類)
내관(內關), 소료(素髎).
23. 강혈압류(降血壓類)
조해(照海),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소해(少海), 태충(太衝), 용천(涌泉).
신체 부위별 경혈 혈성표
신체 부위별로 분류해서 해당 경혈과 혈성 그리고 해당 혈성의 주치 병증을 기술합니다.(혈성의 표현이 없이 주치만 기술한 것도 있습니다.
※ 약어 표기 방식
경혈명 앞에 경락 명을 약어로 표기했습니다.(독=독맥, 임=임맥, 폐=폐경, 대=대장경, 위=위경, 비=비경, 심=심경, 소=소장경, 방=방광경, 신=신경, 포=심포경, 초=삼초경, 담=담경, 간=간경, 기=경외기혈)
경혈명 뒤에 괄호 안에 오수혈(정井/형/수髓/경經/합合)과 八=팔맥교회혈, 原=원혈, 絡=낙혈, 郄=극혈, 팔회혈(筋血) 등을 표기했습니다.
※ 아래 기술 내용중 소제목의 해당 경혈명을 클릭하면 해당 경혈 정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목, 머리 부위
■ 독-대추
解表退熱(해표퇴열)
감기, 기관지염, 고열, 해수, 폐결핵, 학질 * 뜸 또는 사혈
진정안신(鎭靜安神)
경궐, 간질 (요배척 강직, 전신마비, 경련 동반), 신경쇠약
온경활락(溫經活絡)
낙침, 경항강직, 요배통, 中暑(중서:더위로 인하여 두통이 나고 체온이 높아지고 맥박이 약해지며 심하면 까무러치기도 하는 병)
내분비조절
담마진(두드러기), 면부좌창(여드름), 백혈구감소증 * 사혈
■ 소-천종
서근이절(舒筋 )
견비통, 견갑통, 견주염
활락지통(活絡止痛)
- 지압시 참기 어려운 통증 호소: 경추병 (진단점)
이기행기(利氣行氣)
흉협부 이기행기, 催乳(최유:모유분비 촉진)
■ 소-천료
심장병, 고혈압 명혈 (+ 격유); 견비통 (오십견)
■ 소-천유
청두총이(淸頭聰耳)
귀질환, 안질환, 경추성 두통
통규산어(通竅散瘀)
주로 막힌 구멍(竅, 규)을 소통시키고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치료 개념을 나타냅니다.
경항부 질환 (필수 요혈), 견배통
■ 담-견정
소통경락(疏通經絡)
경항강통, 견비통, 요고(허리, 사타구니)통, 대퇴동통
조기강역(調氣降逆)
해수, 구토, 반위, 난산; 급성 유선염
■ 대-견우
소풍습(消風濕)
견관절염, 견비통, 류머티스 관절염
해표(解表)
피부질환, 피부소양증
■ 대-천주
거풍통규(祛風通竅)
두통, 항강, 회고불능; 고혈압; 편두통
■ 독-풍부
거풍한사(祛風寒邪)
중풍, 반신불수, 감기, 경항부신경통
■ 담-풍지
소풍해표(消風解表):
발열, 두통, 비색, 경부강통, 외감풍사표증; 피부 질환
소간통락(疏肝通絡)
중풍, 뇌혈전, 현훈, 목적종통, 두통, 이명, 내풍 질환
혈류해제
뇌출혈, 뇌일혈, 뇌출혈, 출혈성 두통; 축농증, 비염
안신건뇌(安神健腦)
신지병, 정신질환, 간질, 전광, 신경쇠약; 불면증, 건망증
■ 독-상성
통비규(通鼻竅)
비염, 부비강염, 비색, 비건, 비뉵, 비양
산풍열(散風熱)
감기, 결막염, 각막염, 안충혈, 뇌충혈
■ 독-백회
성뇌개규(醒腦開竅)
중풍, 혼궐, 경풍, 休克, 언어불능, 편풍, 반신불수;
정신분열증, 간질발작, 무도병, 히스테리, 대뇌발육불량
영심안신(寧心安神)
신경쇠약, 심계, 정충, 불면증, 건망증
승양고탈(昇陽固脫)
중기하함: 탈항, 구설, 붕루, 월경과다, 자궁하수, 위하수
평간식풍(平肝熄風) : 간양(肝陽)이 성하여 생긴 풍증을 치료하는 방법
두통, 현훈, 두중, 편두통, 고혈압, 뇌충혈, 뇌일혈
이마, 얼굴, 목 부위
■ 방- 찬죽
청열명목(淸熱明目)
두통, 목현, 미릉골통, 안검경련 * 두통은 두유 배합
목적종통, 결막염, 각막염, 근시, 시신경염
- 외안질환에 효과 * 정명은 내안질환에 효과
- 일반 안질환: 하사 정명혈 0.5촌
구안와사, 두통, 심계: 횡자 어요 0.5촌
안검 경련등: 횡자외하향 0.5촌
*특효
급성 요배통, 심박과속 (심계, 정충) * 부교감신경 자극
■ 방- 정명
활락명목(活絡明目)
안질환: 백내장, 녹내장, 시신경염, 난시, 근시, 복시, 원시
산풍청열(散風淸熱)
외감성 열증 해소: 비염, 부비강염, 결막염, 누선염
■ 위-승읍
거풍산화(祛風散火)/소사명목(消邪明目)
급성 결막염, 각막염, 누선염, 비루관염, 시신경염, 시력감퇴, 근시, 원시, 초기 백내장/녹내장, 야맹증, 사시
거풍산화(祛風散火)/소사명목(消邪明目)
- 거풍산화(祛風散火): 풍사(風邪)와 화열(火熱)을 제거하여 두통, 어지럼증, 염증 등을 완화하는 작용.
- 소사명목(消邪明目): 사기(邪氣)를 제거하고 눈을 맑게 하여 시력을 개선하는 작용.
<두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
항목 | 거풍산화(祛風散火) | 소사명목(消邪明目) |
---|---|---|
목적 | 풍사 제거 및 화열 진정 | 사기 제거 및 눈 건강 개선 |
주요 작용 | 풍열(風熱) 제거, 염증 및 열감 완화 | 눈의 염증 완화, 시력 개선 |
적용 부위 | 전신(특히 두부와 상체) | 눈 및 시각 관련 |
대표 증상 | 두통, 어지럼증, 피부 발진 | 눈 충혈, 시력 저하, 눈의 피로 |
■ 위-사백
거풍명목(祛風明目)
목적통, 목예, 목현양(어지럽고 가려운 병); 두통, 구안와사
소간이담(疏肝利膽)
담도 회충증 * 사백에서 영향으로 투자
■ 위-지창
서근활락(舒筋活絡)
치통, 국부근육질환 (구안와사, 脣緩不收(진완불수), 유연증)
■ 위-협거
거풍통락(祛風通絡)
안면신경마비, 삼차신경통, 중풍
청열지통(淸熱止痛)
구강내외 염증, 편도선염, 이하선염
■ 위-하관
소풍개규(消風開竅)
치통, 이명, 이롱, 중이염, 구안와사, 면부오관질환
통경활락(通經活絡)
삼차신경통, 좌골신경통 * 족양명경/족소양경 교회
활락지통(活絡止痛)
습관성 하악골탈구, 아관긴폐, 교근경련
■ 위-두유
거풍청열(祛風淸熱)
두통: 위/담경상의 열로 인한 풍증, 염증, 통증 진정
지통명목(止痛明目)
눈을 밝게; 말초성 현훈(이명) 뜸 특효 *중추성은 백회
■ 기- 인당
거풍청열(祛風淸熱)
열증, 염증, 통증 제거 (두통, 현훈, 구토, 비연, 비뉵, 目痛(목통), 미릉골통, 안면정창, 重舌(중설))
영신안지(寧神安志)
고혈압, 불면증, 소아경풍, 신경쇠약, 불안초조
*특효
급만성 위염/위궤양, 소아야제증, 알레르기성 비염
■ 임-승장
청열산풍(淸熱散風)
치통, 면종, 유연증, 뉵혈, 구금설강, 면신경마비, 구강궤양
전광, 정신질환
건비화위(健脾和胃)
소아염식증 (거식증)
■ 임-염천
이후서설(利喉舒舌):
舌질환; 인후염, 급성 인후종통, 이하선염, 편도선염
■ 임-천돌
선폐조기(宣肺調氣)
해수, 실어증, 매핵기
화담진해(化痰鎭咳)
기관지천식, 효천, 식도염, 식도경련, 식도암
■ 위-인영
기혈조절, 강혈압, 심계, 利咽喉(이인후), 진정
*내관 침, 삼초유 다장
옆머리/얼굴 부위
■ 담-완골
두통, 불면증, 간질, 정신질환
안면신경질환, 귀질환
■ 삼-예풍
통관이규(通關利竅)
이명, 이롱, 이하선염, 편도선염, 치과질환, 하악골 질환
거풍통락(祛風通絡)
외사 및 근관절 질환, 구안와사, 하악골탈구, 아관긴폐
안신명목(安神明目)
편두통, 현훈, 쇼크 구급; 정신안정, 시각기능 회복
■ 삼-각손
청열산풍(淸熱散風)
치통, 치은염, 耳中腫痛, 결막염, 시신경염, 구강병; 두항강통, 편두통, 유행성 이하선염
■ 삼-이문
개이규(開耳竅)
난청, 이롱, 중이염; 눈주위 기혈 소통
■ 소-청궁
선이규(宣耳竅)
청력 강화, 외이도염, 중이염
영신안지(寧神安志)
신경쇠약, 히스테리
■ 담-청회
통이규(通耳竅)
귀질환
거풍설열(祛風泄熱)
안면부의 열증, 염증, 통증 제거
■ 담-곡빈
편두통, 반신불수, 아관긴폐, 삼차신경통, 측두근 경련
■ 삼-사죽공
두통, 안면 질환 (신경마비 등)
■ 담-동자료
거풍설열(祛風泄熱)
안면부의 열증, 염증, 통증 제거
■ 기-태양
소해두풍(消瘥頭風) : 병증을 없애고(消瘥), 머리의 풍증(頭風)을 치료한다
(消(소): 없애다, 제거하다. /瘥(해): 병이 낫다, 병증이 회복되다.)
편두통, 목적종통, 치통, 안면통, 구안와사, 삼차신경통
청열명목(清熱明目)
안면열 제거하여 눈을 맑게, 안질환
■ 기-이첨
청열명목(清熱明目)
결막염, 맥립종
통락지통(通絡止痛)
고혈압 (특효, 사혈); 편두통, 편도선염, 유행성 이하선염
■ 기-어요
결막염, 안검연염, 목적종통; 안면신경마비
*특효
심박과속 (빈맥), 심계항진증 (정충) * 부교감신경 자극
가슴, 배 부위
■ 임-전중
조기강역(調氣降逆)
폐기불강 (효천, 기관지염, 폐결핵); 위기상역 (구토, 트림)
심기울결(心氣鬱結)
협심증, 심근경색, 관상동맥경화증
간기울결(肝氣鬱結)
흉민, 두창, 번조불안, 월경부조
■ 임-거궐
이경화위(利隔和胃)
횡격막경련증, 식도경련, 오심구토, 신경성 소화기질환
■ 임-중완
온보비위(溫補脾胃)
위경련, 위하수, 위/십이지장궤양, 급만성위염, 소화불량
이중초(利中焦)
위통, 복통, 장명복사, 황달, 변비; 당뇨
이습화담(利濕化痰):
거담 (담음, 담습, 담화) * 배합 풍륭
이기활혈(利氣活血)
두통, 현훈, 폐경, 월경부조, 자궁질병
■ 임-신궐
기혈조절
혼절, 부종, 반위, 구토, 설사, 배뇨곤란, 자궁탈수; 이질
*망양허탈, 양허한성 질환 치료; 命門火와 후천양기 補
■ 위-천추
조장화위(調臟和胃)/승강기기(升降氣機)
복통, 복창, 위통, 구토, 이질; 설사, 변비 치료 요혈 (노인 습관성 변비 특효 * 침, 뜸)
요통, 산기, 월경부조, 적백대하, 자궁경부암 (뜸)
*족양명, 족소음, 충맥이 교회 (신-방광 관련 질환 치유)
■ 위-대거
대거-외릉 부위 (여성 약간 융기) *함몰시: 난소문제 의심
*난소 이상시 반대쪽 가슴에 통증
■ 위-수도
대소변불리, 소복창만, 호산 (탈장, 疝痛(산통)), 자궁이상
■ 임-석문
통리수도(通利水道)
수종, 유뇨, 뇨폐, 장명설사
보신배원(補腎培元)
징가, 경폐, 체산, 붕루, 적백대하, 산후요로부지
*유효
노인의 허약성 감기, 고혈압, 가임여성 피임
■ 임-기해
보신기
신장의 원기 증진, 비뇨생식기 질환
■ 임-관원
보기회양(補氣回陽)
신장기능 강화, 원기 증진, 양기 회복
보기회양(補氣回陽)
보기회양(補氣回陽)**는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치료 원칙 중 하나로, 기(氣)를 보충하고 양기(陽氣)를 회복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주로 **기허(氣虛)**와 양허(陽虛) 상태에서 생명을 보존하고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개념은 인체의 기운과 양기가 부족해져 생리적 기능이 약화되거나 정지될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보강하여 생명력을 되살리고 건강을 회복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1. 용어 풀이
- 보(補): 부족한 것을 채워주는 것.
- 기(氣): 인체의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에너지.
- 회(回): 돌아오게 하다, 회복시키다.
- 양(陽): 따뜻하고 활발한 에너지로, 생명을 유지하고 기능을 활성화하는 원동력.
따라서 **보기회양(補氣回陽)**은 기운과 양기를 보충하여 생리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보기회양의 생리적 배경
(1) 기(氣)와 양기(陽氣)의 역할
- 기(氣):
- 인체의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에너지로, 장부의 기능을 돕고 혈액과 진액을 운행합니다.
- 기가 부족하면 피로, 무기력, 소화불량, 호흡곤란 등이 나타납니다.
- 양기(陽氣):
- 따뜻한 에너지로, 인체를 따뜻하게 하고 생리적 기능을 활성화시킵니다.
- 양기가 부족하면 몸이 차갑고,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의식이 흐려지거나 생명에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기허(氣虛)와 양허(陽虛)의 병리
- 기허(氣虛):
- 기운이 부족한 상태로, 피로감, 나른함, 무기력, 소화 장애 등이 나타납니다.
- 양허(陽虛):
- 양기가 부족하여 몸이 차갑고, 생리적 기능이 저하된 상태.
- 심한 양허는 망양(亡陽) 상태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이 위태로운 응급 상황을 의미합니다.
3. 보기회양의 적용 상황
보기회양은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1) 망양(亡陽) 상태
- 양기가 극도로 약해져 생명 활동이 위기에 처한 상태.
- 증상: 사지 냉증, 차가운 땀, 희미한 맥박, 의식 저하 등.
- 치료 목적: 양기를 회복하여 생명을 구합니다.
(2) 기허와 양허 상태
- 전신적으로 기운이 약하고, 몸이 차가운 증상이 나타날 때.
- 증상: 피로, 무기력, 소화불량, 추위에 민감, 사지 냉증, 설사 등.
- 치료 목적: 기운을 보충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생리 기능을 회복합니다.
(3) 한습(寒濕)으로 인한 병증
- 한기(寒氣)와 습기(濕氣)가 몸에 침입하여 양기를 손상시킨 경우.
- 증상: 몸이 무겁고 차가우며, 관절 통증, 소변 감소, 부종 등이 동반될 수 있음.
- 치료 목적: 양기를 회복하여 한습을 제거합니다.
거한습(祛寒濕)
복통, 소장기능 강화
■ 임-중극
조혈실(調血室)
자궁 등 생식기 기능 조절
이방광(利膀胱)
비뇨기계 기능 조절
이습열(利濕熱)
하초의 수습 관리 기능 강화
등, 허리 부위
■ 독-장강(絡)
항문질환
치루, 항문열, 탈항, 변혈, 대장/직장/자궁/치 출혈
온경통양(溫經通陽)
변비, 설사, 장염, 유뇨, 유정, 양위, 낭습진; 폐경
소통성뇌(疏通醒腦)
간질, 전광, 척추강직, 각궁반장
■ 방-차료
보신장요(補腎壯腰)
요통, 요척통, 유정, 양위, 유뇨, 하지마비
조경지통(調經止痛)
대하, 생리통, 월경부조
■ 독-명문
요추 2,3
요배통, 하복부/생식기, 대퇴 전내측 질환; 소아 급성병(뜸)
■ 독-요양관
요추 4,5
좌골신경조절, 대퇴후외측, 전외측 질환; 관절염; 생리통
■ 방-대장유
소조장위(疏調腸胃)
변비, 설사, 이질, 장옹, 치루, 급만성 장염
■ 방-신유
보신기(補腎氣)
설사, 수종, 이뇨, 신불납기 (담음, 해수)
보음보양
정력감퇴, 음위, 양위, 유정
총이명목(聰耳明目)
이명, 이롱
강장요척
요배통, 좌골신경통, 슬관절통, 腰氣勞損(요기노손) (요통, 피내침)
■ 방-비유
화위화습(和胃化濕)
비위기능 조화, 수습관리, 거담, 소식
화영혈
보혈 (빈혈, 출혈), 비만, 수척, 청열, 퇴황
■ 방-간유
통경활락(通經活絡)
간비대, 내상출혈, 객혈, 토혈, 빈혈; 안질환
청열해독(淸熱解毒)
간염, 간경화, 담낭염, 황달, 담석증; 맥립종
화위영신(和胃寧神)
간기상역 (정신병), 간기횡역 (소화기) 질환
■ 방-격유(血)
화열리혈(和血理血)
일체의 출혈성 질환(비뉵, 객혈, 토혈, 붕루 등); 빈혈
과격이기(寬膈利氣)
딸꾹질, 횡경막 병증, 폐/협늑/식도/위 관련 질환
거어통락(祛瘀通絡)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병; 혈관성 두통, 고혈압
■ 방-심유
염심안신(寧心安神)
각종 정신병
이기조혈(理氣調血)
객혈, 토혈, 뉵혈, 빈혈, 뇌충혈; 고혈압, 저혈압; 협심증
■ 방-폐유
해표선폐(解表宣肺)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기종, 해수, 천식; 자한, 도한; 과민성 비염
■ 독-지양
관흉이기(寬胸利氣)
상복통, 협심증, 심근경색 (압통, 30장 다장); 담도회충증
청열화습(清熱化濕)
두중통, 요척통, 사지중통
■ 독-신주
선폐평천(宣肺平喘)
해수, 기천, 신열경기, 요척견배강통, 정창, 폐렴, 학질
안신안지(安神安志)
간질,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피로(속자속발); 소아건강구
■ 방-고황
선폐건비(宣肺健脾)
상지 내측 부위
■ 폐-척택(合)
유폐지해(潤肺止咳)
해수, 흉통, 효천, 각혈
청설사화(淸泄邪火) : 몸에 쌓인 병적인 열(邪火)을 맑게 하고 배출하는 것을 의미
치통, 인후염, 편도선염(점자)
소풍산사(疏風散邪)
뇌혈전형성 (중풍후유증, 반신불수) *금극목
■ 폐-공최(郄)
急 + 通
해수기천, 인후종통, 실음; 열병무한 (+ 협계)
각혈(압통점 심자); 치창(灸, 사와다) (+ 위중 사혈, 특효)
*음경 극혈: 혈증, 양경 극혈: 급성 동통
■ 폐-어제
선폐해표(宣肺解表)
기관지천식 (어제+합곡 지압), 풍열감기, 두통, 해수
인후종통, 급성편도선염; 신열
■ 폐-소상
인후질환 특효 (인후염, 편도선염, 이하선염)
소아중증 폐렴; 고열; 중풍, 혼궐, 혼미,
■ 포-내관
익심기(益心氣)
협심증, 심박이상, 혈압이상, 심장병; 마음진전(특효)
*시험보기전 두근거림 예장: 피내침
영심신(寧心神)
신경쇠약, 실명, 히스테리, 간질
관흉이기(寬胸理氣)
흉통, 협통, 효천, 흉완비민, 협하지만
조화비위(調和脾胃)
급만성 위염, 구토, 딸꾹질, 위경련, 급복통, 담석통
진정지통(鎭靜止痛)
심통, 위통, 복통, 흉협동통, 사지동통, 편도선염, 인후동통
특효
관심통 (발작시 전중, 지양 지압), 고지혈증(+ 풍륭), 낙침, 두드러기, 돌발성 이롱
■ 포-대릉
개규성신
간질, 히스테리; 심열구취, 구설생창, 심계실면
서근활락(舒筋活絡)
수경련증 (환측), 족근골극, 족저통 (*퇴행성 병변)
청심화
실면증 (* 대릉에서 외관으로 투과) 특효
■ 포-노궁
泄(설)번열
심번, 심계, 실면; 구건; 수단수황; 각혈, 비뉵; 맥삭
기혈울체(氣血鬱滯)
식적/한사성 위경련 특효 (40분 유침 1회로 치유)
■ 포-중충
청심설열(淸心泄熱)
중풍혼미; 身熱如火(사역여화), 면적, 번조, 설강, 설하종통 *심화항성
특효
소아야제증 (자혈); 급성 결막염 (환측 자
■ 심-신문
통리-신문 투자: 협심증, 심부전 특효 (+ 공손, 내관, 합곡)
■ 기-사봉
*자혈
소아질환 (기관지천식, 감적/영양실조, 미열, 열성설사)
상지 외측 부위
■ 대-합곡
진통
두통, 치통, 인후종통, 생리통, 복통, 사지통
거풍해표(祛風解表)
외감풍한, 한열, 두항통, 요추강직, 무한/다한
관관절 (엉덩이) 뉴상 특효 (건측, 동기법)
■ 대-수삼리
화위안장(和胃安脏) : 위(胃)의 기능을 조화롭게 하고, 장부(脏腑)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
위통, 복통, 복사; 소화불량 (+ 족삼리); 고혈압 특효
소풍활락(消風活絡)
상비/견비부 동통, 반신불수, 기육위축, 지각지둔
청사양명(淸瀉陽明)
치통, 아래턱 통증, 편도선염; 급성 요뉴상 (건측)
청사양명(淸瀉陽明)
청사양명(淸瀉陽明)**은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치료 원칙 중 하나로, 양명경(陽明經)의 병적인 열(熱)을 제거하고 배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명경은 인체의 주요 경락 체계 중 하나로, 주로 **위(胃)와 대장(大腸)**에 해당하며, 이 경락에 병적인 열이 쌓이면 다양한 열성 질환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납니다.
1. 용어 풀이
- 청(淸): 맑게 한다는 뜻으로, 병적인 열을 가라앉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사(瀉): 배출한다는 뜻으로, 체내에 축적된 병적인 요소를 밖으로 내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 양명(陽明): 인체 경락 중 하나로, 주로 **위경(胃經)**과 **대장경(大腸經)**을 지칭합니다. 양명경은 풍부한 기혈을 가지고 있어 열이 쉽게 발생하는 경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청사양명(淸瀉陽明)**은 양명경에 쌓인 병적인 열을 가라앉히고 배출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원칙을 의미합니다.
2. 양명경의 특징
양명경은 **위(胃)**와 **대장(大腸)**과 관련된 경락으로, 주로 소화기 계통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양명경에 병적인 열이 쌓이면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풍부한 기혈
- 양명경은 기와 혈이 풍부하여 열이 쉽게 발생하거나 축적될 수 있습니다.
- 병적인 열이 심하면 고열, 갈증, 변비, 복통 등이 나타납니다.
(2) 열성 병변
- 양명경의 열은 소화기 계통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전신적인 열성 증상을 유발합니다.
- 병적인 열이 대장에 영향을 미치면 변비나 복부 팽만감이 나타나고, 위에 영향을 미치면 구토, 속쓰림, 갈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청사양명의 적용 상황
청사양명은 주로 열성 질환이나 양명경의 병리적 상태를 다스리는 데 사용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적용됩니다.
(1) 양명열증(陽明熱證)
- 양명경에 병적인 열이 쌓여 발생하는 증상.
- 증상: 고열, 심한 갈증, 땀이 많이 나는 증상, 얼굴이 붉어짐.
(2)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
- 양명경의 장부(위와 대장)에 열이 쌓이고, 대변이 굳어져 배출되지 않는 상태.
- 증상: 변비, 복부 팽만감, 복통, 열감.
(3) 열성 염증
- 위염, 장염, 구내염, 피부 발진 등 열과 관련된 염증성 질환.
(4) 갈증과 체열 증가
- 열성 질환으로 인해 몸이 뜨겁고 갈증이 심한 경우.
4. 청사양명의 병리적 원인
(1) 열이 위와 대장에 축적
- 양명경은 음식물의 소화와 배설을 담당하는 위와 대장을 포함하므로, 열이 축적되면 소화기 이상이 발생합니다.
(2) 외감열사(外感熱邪)
- 외부에서 들어온 열성 병원체가 양명경에 침입하여 열증을 유발.
(3) 음식물 정체
- 과식이나 자극적인 음식 섭취로 인해 위와 대장이 정체되고 열이 발생.
(4) 진액 부족
- 체내 진액(津液)이 부족해지면 열이 더욱 심화되고, 변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남.
5. 청사양명의 치료 원칙
청사양명은 양명경의 병적인 열을 가라앉히고, 이를 배출하여 체내의 균형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 원칙이 적용됩니다.
(1) 청열(淸熱)
- 열을 가라앉히는 방법.
- 주로 고열, 갈증, 염증 등을 완화.
(2) 사열(瀉熱)
- 체내에 축적된 열을 배출하는 방법.
- 변비와 같은 증상을 완화.
(3) 윤조통변(潤燥通便)
- 열로 인해 대변이 굳어진 경우에 적용.
- 대장을 부드럽게 하여 변비를 해결.
■ 대-곡지
퇴열해표(退熱解表)
외감풍열표증 (고열 증상); 감기, 두통
거풍지양(祛風止癢)
피부병 (두드러기, 단독, 소양증, 과민성 자반)
고혈압 (뇌혈관 진장 완화, 동맥 탄성 개선 등), 고지혈증
■ 대-비노
통경활락(通經活絡)
두항강통, 견갑관절통, 견배통, 흉통, 소아마비, 기육위축
결막염, 각막염, 시신경위축; 맥립종(다래끼) 특효
■ 소-후계
산풍청열(散風清熱)
소변단적 (*심열이 소장으로 전이하여 발생)
성뇌청신(醒腦淸神)
히스테리(억병), 간질, 전신병, 중풍불어 (*독맥과 통)
서근활락(舒筋活絡)
낙침, 경항통; 급상 요뉴상 (척추양측): 인중 (척추중앙)
■ 초-액문
청열사화(淸熱瀉火)
상초-중초 열 옹색성 두면, 오관, 인후 질환; 고열감기
특효
두통, 치통, 두훈, 안통, 비색, 이명, 이통, 구설통, 인후통
■ 초-중저
소양열사(少陽熱邪)
이명, 이롱, 중이염, 목현, 목적, 편두통
소양열사(少陽熱邪)
소양열사(少陽熱邪)는 한의학에서 소양경(少陽經)에 발생한 열성 병사(熱邪)를 의미합니다. 소양열사는 주로 소양경의 병리적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열(熱)이 소양경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증상과 병리적 상태를 설명합니다. 이 개념은 한의학의 육경변증(六經辨證) 이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1. 소양경(少陽經)이란?
소양경은 인체의 주요 경락 체계 중 하나로, 삼초(三焦)와 담(膽)에 속합니다. 소양경은 표(表)와 리(裏)의 중간에 위치하며, 병사가 표와 리 사이를 오가며 영향을 미치는 경로입니다.
소양경의 특징
- 소양경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속합니다. 이는 병사가 표(바깥)와 리(안쪽) 사이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소양경의 주요 경락은 담경(膽經)과 삼초경(三焦經)으로 구성됩니다.
- 소양경에 문제가 생기면 열(熱)이 발생하거나, 경락을 따라 병리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2. 소양열사(少陽熱邪)의 병리적 원인
소양열사는 열성 병사(熱邪)가 소양경에 침입하거나 내부적으로 열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감병사(外感病邪)
- 외부에서 침입한 병사(특히 풍열, 습열)가 소양경에 영향을 미쳐 열증을 유발.
- 예: 감기, 독감, 바이러스성 질환 등.
(2) 담열(膽熱)
- 담경(膽經)에 열이 쌓여 소양열사 증상이 나타남.
- 예: 간과 담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열이 발생.
(3) 삼초열(三焦熱)
- 삼초경의 열이 소양경에 영향을 미쳐 나타남.
- 예: 체내 수분 대사 장애로 인해 열이 축적.
(4) 체내 열의 축적
- 음식, 스트레스, 과로 등으로 인해 체내에 열이 쌓여 소양경에 영향을 미침.
3. 소양열사의 주요 증상
소양열사는 반표반리(半表半裏) 상태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증상을 나타냅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신 증상
- 발열과 오한이 교대로 나타남: 열이 났다가 추운 증상이 반복됨.
- 구고(口苦): 입안이 쓰고 불쾌한 느낌.
- 흉협고만(胸脇苦滿): 가슴과 옆구리가 답답하고 팽만감이 있음.
- 구역감 또는 구토: 소양경이 위장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증상.
- 식욕 부진: 담열이나 열사가 소화기 계통에 영향을 미침.
(2) 열성 증상
- 불면: 열로 인해 마음이 불안정해져 잠들기 어려움.
- 두통: 소양경의 경로를 따라 나타나는 편두통이나 측두통.
- 땀이 나지 않음: 열이 내부에 갇혀 표층으로 발산되지 못함.
(3) 담열 관련 증상
- 황달: 담열이 심할 경우 피부와 눈이 노래짐.
- 소변이 붉거나 적음: 열로 인해 체액 대사가 원활하지 않음.
4. 소양열사의 치료 원칙
소양열사는 소양경의 열을 제거하고 병사를 풀어주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치료 원칙이 적용됩니다.
(1) 화해소양(和解少陽)
- 소양경의 병사를 조화롭게 풀어주는 치료 방법.
- 대표 처방: 소시호탕(小柴胡湯).
(2) 청열해독(淸熱解毒)
- 체내의 열을 가라앉히고, 열성 병사를 제거.
- 열증이 심할 경우 청열약을 추가로 사용.
(3) 조습거열(燥濕祛熱)
열과 함께 습기가 동반된 경우 습기를 제거하면서 열을 다스림.
5. 소양열사의 실제 활용
(1) 감기와 독감
- 발열과 오한이 교대로 나타나는 감기나 독감에 적용.
- 소양열사가 초기 단계에서 나타날 경우, 소시호탕으로 열을 다스림.
(2) 간담 열성 질환
- 담낭염, 간염 등 간과 담의 열성 질환에서 소양열사가 나타날 수 있음.
- 시호청간탕 등을 활용해 열을 제거.
(3) 소화기 질환
- 소양경이 위장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구역, 구토, 식욕 부진 등.
- 소시호탕으로 열을 조절하고 위장의 기능을 회복.
(4) 열성 질환
- 체내 열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두통, 불면, 흉협고만 등에 적용.
6. 요약
소양열사(少陽熱邪)는 소양경에 열성 병사가 침입하거나 축적되어 나타나는 병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반표반리 상태에서 발열과 오한의 교대, 구고, 흉협고만, 두통 등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치료 원칙은 화해소양, 청열해독, 조습거열로, 대표 처방으로는 소시호탕, 시호청간탕, 대시호탕 등이 사용됩니다. 소양열사는 감기, 간담 질환, 소화기 질환 등 다양한 열성 증상에서 중요한 치료 대상으로 다루어집니다.
서근활락(舒筋活絡)
낙침 (강지압), 견주염, 오십견 (환측사자 1-1.5) *동자법
■ 초-양지
서근이절(舒筋利節)
급성발목염좌 (환측, 환부안마)
소통삼초
삼초 원기 관리 (灸, 면역력 증강), 소통수도, 통리수액체류
특효
급성 고환염 (구)
■ 초-외관
청열사화(清熱瀉火)
두통, 감기, 이명, 이롱, 중이염, 급성 인후염, 결막염
통경활락(通經活絡)
사지동통, 견비동통, 연급, 경항강통
특효
급성발목염좌 (건측); 신장결석통; 알레르기 질환 (+ 장문)
■ 초-지구
통락지통(通絡止痛)
두통, 이명, 이롱; 낙침, 급성 요뉴상
습관성 변비 (남좌여우, + 조해)
■ 초-천정
청열산풍(淸熱散風)
편두통, 이롱, 목외각통; 경항강통, 낙침; 은진 (가려움)
■ 기-정영(正營)
두통, 이명, 수배완부 동통; 신장결석통 (필요시 강자극)
■ 기-대골공
눈질환 (근시, 노안, 안질환) *관절내로 하사자
하지 외측 부위
■ 방-곤륜(經-경)
거풍진경/소통경락
두통, 현훈, 오한/발열, 뇌충혈, 뉵혈, 고혈압, 중풍, 미릉골통; 갑상선질환, 전립선
서근지통(舒筋止痛)
낙침, 항통, 요배통, 하지마비통, 과관절뉴상, 과관절통
이포궁
최산 (난산), 불임, 태반불출
■ 방-신맥(八)
거풍산한/소통경락
*후측 동통 질환 필수 (+ 후계)
두통, 현훈, 목적종통, 요통, 足膝無力(족슬무력), 久立不能(구립불능)
영심청뇌(寧心淸腦)
심계, 실면, 정신병, 주간 간질 * 야간 간질: 조해
*특효
급성설사 (뜸): 양교맥 기시혈, 양기온보, 육부소통
■ 방-지음(井)
이포궁
생리통, 월경부조, 태위부정, 태반불출; 빈뇨, 유뇨, 수종
산풍한
후두통
■ 방-비양(絡)
소통활락(疏通活絡)
두통, 비색, 비뉵, 요퇴통, 치창, 방광염, 좌골신경통
급성요뉴상 * 신방광 表裏二經(표리이경)의 기체혈어 병증에 특효
■ 방-승산
서근활락지통(舒筋活絡止痛)
하지전근(쥐,사혈), 요배동통, 좌골신경통, 미려골통(꼬리뼈)
항문질환
치질, 치출혈, 탈항; 습관성 변비 (이기산체) * 腎主二陰(신주이음)
■ 방-위중(合)
서근통락(舒筋通絡)
퇴행성/류마티스 관절염, 학다리, 하지위약
청열사화(淸熱瀉火)
사혈: 傷暑, 토사,비뉵, 기혈착란; 급성요뉴상, 소퇴경련(쥐)
해독거어(解毒祛瘀) : 체내의 독(毒)을 제거하고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것을 의미
정창 (악성종양, 종기), 풍진, 단독, 옹저, 유주 (고름)
해독거어(解毒祛瘀)
해독거어(解毒祛瘀)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치료 원칙으로, 체내의 독(毒)을 제거하고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염증, 독소 축적, 어혈로 인한 통증이나 병리적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1. 용어 풀이
- 해독(解毒): 체내에 쌓인 병리적인 독(毒)을 제거하거나 해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독”은 외부에서 들어온 독소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발생한 병리적 산물(염증, 열독, 농 등)을 포함합니다.
- 거어(祛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혈은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정체되거나, 손상된 혈액이 쌓여서 생기는 병리적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해독거어(解毒祛瘀)**는 체내 독소를 제거하고 어혈을 풀어 혈액 순환을 개선하며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 원칙을 말합니다.
2. 해독거어의 적용 상황
이 치료 원칙은 주로 체내 독소와 어혈로 인해 발생한 병리적 상태에서 사용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적용됩니다.
(1) 염증 및 감염
- 체내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감염으로 인해 독소가 축적된 경우.
- 예: 종기, 화농성 염증, 피부의 농양, 상처 감염.
(2) 어혈로 인한 통증
- 외상, 수술 후유증, 혈액 순환 장애 등으로 인해 어혈이 생겨 통증이 발생한 경우.
- 예: 타박상, 좌상, 생리통, 산후 어혈.
(3) 혈관 문제
-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
- 예: 동맥경화, 정맥류, 혈전증.
(4) 열독(熱毒)으로 인한 피부 질환
- 열독으로 인해 피부에 발진, 농포, 가려움증 등이 나타나는 경우.
- 예: 습진, 피부염, 대상포진.
(5) 암 또는 종양
- 한의학에서 암 또는 종양은 종종 독소와 어혈의 축적으로 설명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해독거어 치료가 사용됨.
3. 해독거어의 병리적 원인
(1) 외부 병사의 침입
- 외부에서 침입한 병사(바람, 한기, 습기, 열 등)가 체내에 독소를 형성하거나 어혈을 유발.
(2) 기혈 순환 장애
- 기(氣)와 혈(血)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어혈이 생기고, 이로 인해 독소가 축적될 수 있음.
(3) 외상 및 손상
- 외상으로 인해 혈액이 정체되면서 어혈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염증과 독소가 생김.
(4) 내부 장기의 기능 장애
- 간, 신장 등 해독 작용을 담당하는 장기의 기능이 약화되면 체내에 독소가 축적되고 어혈이 생길 수 있음.
4. 해독거어의 치료 원칙
해독거어의 치료는 독소 제거와 어혈 해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원칙이 적용됩니다.
(1) 해독(解毒)
- 독소를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
- 열독(熱毒), 습독(濕毒), 농독(膿毒) 등을 해소.
(2) 활혈화어(活血化瘀)
-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어혈을 풀고 새로운 혈액 생성을 돕는 것.
(3) 청열해독(淸熱解毒)
- 열독으로 인해 발생한 염증과 독소를 제거.
(4) 소종산결(消腫散結)
- 종기나 덩어리(결절)를 줄이고 염증을 완화.
(5) 통락지통(通絡止痛)
경락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완화.
■ 담-구허(原)
서간이담(舒肝利膽)
간담울체, 흉협동통; 늑간신경통, 담낭염, 담석통
순경상울(循經上鬱)
과관절뉴상, 과관절통, 중이염, 耳病(이병), 목통, 두통
■ 담-현종(髓)
서근화습(舒筋化濕)
하지위비통, 하지마비, 관절염
수청열(髓淸熱)
뇌수/척수 열성 병증, 고혈압
■ 담-양릉천(合,筋)
서근이절/강근통락
전신 관절염증, 관절연조직 병변, 반신불수, 하지위비; 안면신경마비, 낙침, 경항강직, 견주염, 요통, 협통
이간담(利肝膽)
담낭염, 담결석증, 퇴황
청열화습(清熱化濕)
전신 부종, 유뇨, 통변, 설사, 대하, 복막염, 당뇨
■ 담-풍시
거풍통락(祛風通絡)
원인불명 전신동통, 하지근육 질환, 관절계통 질환
거풍습
중풍
■ 담-환도
기혈소통
요통, 좌골신경통, 하지관련 질환
거풍통락(祛風通絡)
중풍, 하지마비, 과관절통, 슬관절염
■ 방-질변
거풍통락(祛風通絡)
요통, 좌골신경통, 하지통, 중풍, 관절 질환
건요슬
요고통, 관관절통, 슬관절통
하지내외측 부위
■ 위-양구
통조위기(通調胃氣)
급복통(장위경련, 위궤양, 위염), 위산과다; 구토, 설사
통조위기(通調胃氣)
통조위기(通調胃氣)는 한의학에서 위(胃)의 기운(氣)을 소통하고 조절하여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돕는 치료 원칙을 의미합니다. 위는 소화와 흡수의 중심 기관으로, 위기(胃氣)는 위장의 기능적 활동을 나타냅니다. 통조위기는 주로 소화 장애, 위장의 기운 정체, 소화기 질환 등을 다스리는 데 사용됩니다.
1. 용어 풀이
- 통(通): 막힌 것을 뚫고 소통시킨다는 뜻으로, 위장의 기운이 막혀 있거나 정체된 경우 이를 원활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조(調): 조화롭게 조절한다는 뜻으로, 위장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할 때 이를 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위기(胃氣): 위장에서 발생하는 기운으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 기혈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기가 정상적으로 작용해야 소화와 영양 공급이 원활해집니다.
따라서 통조위기(通調胃氣)는 위장의 기운을 소통시키고 조화롭게 조절하여 소화기능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치료 원칙입니다.
2. 통조위기의 치료 원칙
통조위기는 위장의 기운을 소통시키고 조화롭게 하여 소화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음과 같은 치료 원칙이 적용됩니다.
(1) 소도화적(消導化積)
- 음식물이 정체된 경우 이를 소화시키고 제거.
(2) 강역지구(降逆止嘔)
- 위기의 역행을 억제하고 구토를 멈춤.
(3) 온위산한(溫胃散寒)
- 위장이 차가운 경우 따뜻하게 하여 기능을 회복.
(4) 청열사화(淸熱瀉火)
- 위에 열이 쌓인 경우 열을 내려 염증과 소화 장애를 완화.
(5) 건비익기(健脾益氣)
- 위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비(脾)를 강화하여 소화기능을 개선.
(6) 활혈통락(活血通絡)
- 위장의 기혈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기능을 회복.
■ 위-족삼리
소통통락
(유행성)감기, 만성위염, 신장결석통
보건장수
고혈압, 고지혈증, 중풍 예방 (+ 현종); 면역력 증가
■ 위-풍륭
화담화습(化痰化濕)
거담 특효 (담에 의한 전광, 해수, 천식, 두통), 고지혈증
통경활락(通經活絡)
안면신경마비
■ 위-함곡
면목(面目) 부종, 치통; 소화불량, 위궤양, 복통, 장산통
■ 위-내정
청위설열
안면 부종; 위열성 두통 *이내정 뜸: 식중독 명혈
■ 위-여태
체기, 위열성 멀미 (뜸으로 예방 가능), 하지냉증, 눈밑 경련 (건측 자침)
■ 신-축빈
해독영신
약물중독, 해독작용, 음식물 섭취후 두드러기 (+ 견우)
■ 신-복류
부종, 소변불리
■ 신-조해
해수천식, 인후종통, 편도선염; 안구건조증, 눈을 맑게; 혈액 순환 촉진 (저혈압, 불면증)
■ 신-태계
익신자음(益腎滋陰)
당뇨, 구갈; 원인 불명성 족근통
■ 신-용천
구급(심신 동시치료), 뇌출혈, 심장병, 자궁하수, 불임증
■ 간-태충
서간이기(舒肝利氣)
급체(사관+중완), 감기몸살(사관), 피로성 두통
평간소풍(平肝消風)
두통, 현훈, 간질, 경풍, 마목경련
■ 간-행간
간화상역 질환 (화병, 우울증, 두통, 불면, 심계항진)
■ 간-대돈
월경과다, 붕루, 자궁출혈 (비통혈, 간장혈)
■ 비-혈해
혈행관리, 자궁출혈, 월경곤란; 요실금
■ 비-음릉천
양위, 유정; 유뇨, 요폐; 신장염; 슬관절염, 하지마비
■ 비-지기
건비화혈(健脾和血)
당뇨
■ 비-삼음교
소간익신(疏肝益腎)
생식비뇨계 질환 (양위, 조설, 유정; 수종, 유뇨, 소변불리); 두통, 현훈, 심계, 불면, 건망, 야맹; 혈소판감소, 혈전증
■ 비-상구
소화불량, 피곤하고 목소리 잠길 때
■ 비-태백
소화불량, 위경련; 변비, 당뇨; 통풍
■ 비-은백
조경통혈(調經通血)
피부병 (비습), 아토피 (진습성); 붕루
개규성뇌(開竅醒腦)
간질, 혼절, 소아경기, 축연
건비익기(健脾益氣)
구토, 식불하, 설사, 복만